KR200292847Y1 -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 - Google Patents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847Y1
KR200292847Y1 KR2020020018606U KR20020018606U KR200292847Y1 KR 200292847 Y1 KR200292847 Y1 KR 200292847Y1 KR 2020020018606 U KR2020020018606 U KR 2020020018606U KR 20020018606 U KR20020018606 U KR 20020018606U KR 200292847 Y1 KR200292847 Y1 KR 200292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etal plate
lower mold
housing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주
Original Assignee
조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주 filed Critical 조은주
Priority to KR2020020018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847Y1/ko

Links

Landscapes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는 하부하우징(20)의 중앙에 안착되되 상면에 요철(18,18')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하부금형(22)과,
상기 하부하우징(20)과 대향되어 구동되는 상부하우징(10)의 중앙에 안착되되 상기 하부금형(22)과 대응되는 요철(18,18')이 형성된 상부금형(12)으로되는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2)과 상부금형(12)중 적어도 하나의 금형이 폴리우레탄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를 구비하여서,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중 적어도 하나의 금형이 적정한 탄성을 가진 폴리우레탄 재질로서 형성됨으로 인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사이에 얇은 금속판이 끼워져 금형에 의해 가압될 때 금속판이 요철에 문양이 형성되며 인장되는 것을 탄성을 가진 상부금형이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서 금속판이 파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제품 제작이 용이하며 불량률이 낮아지게 되어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게된다.

Description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A thin plate forming mould system}
본 고안은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얇은금속판에 요철에 의해 소정문양을 형성시키는 금형의 구조를 개선하여 얇은 금속판을 가압하여 문양을형성할 때 금속판이 금형에 의해 파열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을 개선한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얇은 금속판에 소정문양이나 글귀등을 요철에 의해 형성하여서 이를 액자등에 부착 한 후 장식용이나 전시용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된 제품들이 널리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얇은 금속판에 소정문양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소정문양이 형성된 하부금형에 금속판을 안치시킨 후 안치된 금속판의 상면을 따라 가압하며 진행되는 로울러를 구비하여 상기 로울러로 금속판을 가압하여 하부금형에 형성된 문양이 금속판에 형성되도록된 로울러방식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로울러방식에 의하면 로울러가 한쪽방향으로 진행하며 금속판을 가압함에 따라 금속판이 로울러의 진행방향으로 인장되므로, 제작되는 제품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금속판의 표면이 긁히거나 상하게 되고 심한경우에는 파열되어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하금형으로 이루어진 금형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경도가 높은 합금재질로되되 소정문양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이에 대응되는 문양이 형성된 상부금형을 구비하여 상기 상하부 금형사이에 금속판을 위치시킨 후 가압하여서 금속판에 금형에 새겨진 문양과 동일한 문양이 형성되도록 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하금형방식의 금형장치 또한 상하금형이 금속판보다 경도가 높은 경도를 가진 금속(합금)으로 제작됨으로 인해 가압시 얇은 금속판이 인장되는 것을 상,하부금형이 수용하지 못하여 금속판의 표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으며, 심할 경우에는 금속판이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 소정문양이 형성된 하부금형과 이에 대응되는 상부금형을 구비하되 상기 금형중 적어도 하나의 금형을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하여 얇은 금속판을 가압하여 문양 형성시 상부금형의 탄성에 의해 금속판의 인장이 보장되도록 하여 표면이 손상되거나 심할경우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금형장치의 구조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금형에 의해 금속판이 가압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금형에 의해 금속판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금형에 의해 금속판이 가압된 후 탈형된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하우징 12 : 상부금형
14 : 고정볼트 16 : 가이드공
18 : 요(凹)부 18' : 철(凸)부
20 : 하부하우징 22 : 하부금형
24 : 가이드봉 26 : 탈형돌기
28 : 탄성스프링 29 : 재료가이드
30 : 금속판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은 본 고안에 의한 금형에 의해 금속판이 가압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 은 본 고안의 금형에 의해 금속판이 가압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금형에 의해 금속판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금형에 의해 금속판이 가압된 후 탈형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먼저 고안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본 고안에 의한 박판성형용 금형장치는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는 하부하우징(20)의 중앙에 안착되되 상면에 요철(18,18')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하부금형(22)과,
상기 하부하우징(20)과 대향되어 구동되는 상부하우징(10)의 중앙에 안착되되 상기 하부금형(22)과 대응되는 요철(18,18')이 형성된 상부금형(12)으로되는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2)과 상부금형(12)중 적어도 하나의 금형이 폴리우레탄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여서 된다.
이하 본 고안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하우징(20)은 소정의 고정대(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하우징(10)은 별도의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하로 수직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두 하우징(10,20)은 서로 대향되어 결합과 이격을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결합시 상부하우징(10)은 상부하우징(10)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공이 하부하우징(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가이드봉(24) 끼워지는 것에 의해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상하운동이 반복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20) 중앙부에는 하부금형(22)이 끼워질 수 있도록 공간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금형(22)이 상기 공간부(23)에 끼워지면 다수의 고정볼트(14)에 의해 하부금형(22)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20)과 대응되는 상부하우징(10)은 상부금형(1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에 공간부(23)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23')에 상부금형(12)이 끼워지면 다수의 고정볼트(14)를 조여 단단하게 고정시키게된다.
이때 상기 하부하우징(20)의 공간부(23) 가장자리에는 하부금형(22)과의 사이에 가이드(29)가 끼워져 하부금형(22) 상면에 금속판(30)이 놓여질 위치를 지정하게 된다.
상기 하부금형(22) 상면과 상부금형(12)의 하면에는 요부(18)와 철부(18')에 의해 소정문양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금형의(22)의 요부는 상부금형(12)의 철부와 대응되고 하부금형(22)의 철부는 상부금형(12)의 요부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한 하부금형(22)은 경도가 놓은 일반적인 금형에서 사용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부금형(12)은 소정경도를 가지도록 특수 제작된 폴리우레탄 재질로 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하부금형은 폴리우레탄 재질과 그 물성이 유사한 실리콘 고무, 니트릴고무로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폴리우레탄, 실리콘, 니트릴고무등은 소정의 강도와 탄성을 동시에 발휘할 수 있는 재질인 것으로, 탄성에 의해 금속판의 인장을 수용할 수 있게 되어 금속판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표면손상이 방지됨으로 인해 표면에 문양을 형성한 후 금속판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중 적어도 하나의 금형을 폴리우레탄등 적정한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에 비해 그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고 그 재작단가가 낮아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을 하부금형(22)이 금속으로 되고, 상부금형(12)이 폴리우레탄재질로 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부금형(22)를 폴리우레탄 재질로 하고 상부금형(12)을 금속재질로 하여서 금형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하나의 실시예가 될 것이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중 적어도 하나의 금형이 적정한 탄성을 가진 폴리우레탄 재질로서 형성됨으로 인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사이에 얇은 금속판이 끼워져 금형에 의해 가압될 때 금속판이 요철에 문양이 형성되며 인장되는 것을 탄성을 가진 상부금형이 수용하게 되어 금속판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는 하부하우징(20)의 중앙에 안착되되 상면에 요철(18,18')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하부금형(22)과,
    상기 하부하우징(20)과 대향되어 구동되는 상부하우징(10)의 중앙에 안착되되 상기 하부금형(22)과 대응되는 요철(18,18')이 형성된 상부금형(12)으로되는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22)과 상부금형(12)중 적어도 하나의 금형이 폴리우레탄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
KR2020020018606U 2002-06-19 2002-06-19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 KR200292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06U KR200292847Y1 (ko) 2002-06-19 2002-06-19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606U KR200292847Y1 (ko) 2002-06-19 2002-06-19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847Y1 true KR200292847Y1 (ko) 2002-10-25

Family

ID=7312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606U KR200292847Y1 (ko) 2002-06-19 2002-06-19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8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38B1 (ko) 2010-03-30 2012-09-21 신의만 금속판재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5338B1 (ko) 2010-03-30 2012-09-21 신의만 금속판재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37007A (ja) 基板打抜き装置
CN110815749A (zh) 一种小型产品用模具固定装置
KR200292847Y1 (ko) 박판성형용 금형장치의 구조
WO2003010099A1 (fr) Moule, plaque, support par aspiration, moule metallique, appareil d&#39;assemblage/de desassemblage et procede d&#39;assemblage/de desassemblage
US20020180105A1 (en) Insert molding method and metal mold
KR910000362A (ko) 스트립에 의해 보강된 스크린을 사용하는 스크린 프로세스 프린팅 장치
KR100879150B1 (ko)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용 가로등 지주의 절삭성형장치
CN1420004A (zh) 一种陶瓷砖成型方法及设备
KR20000070510A (ko) 압출 성형 프로파일의 표면을 변형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633168B2 (ja) 菓子製造装置
JP6583873B1 (ja) 樹脂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389842Y1 (ko) 사출물의 부착방지장치가 구비된 금형장치
KR101767044B1 (ko) 미세 형압 장치
KR100607567B1 (ko) 플라스틱 용기 진공성형 장치
JP5047910B2 (ja) フィルムのトリミング方法及びトリミング装置
KR200368378Y1 (ko) 층계 굽형용 금형 장치
KR20050018916A (ko) 식별이 용이한 금형접촉 방지용 간격유지편
KR200383814Y1 (ko) 식별이 용이한 금형접촉 방지용 간격유지편
KR200269992Y1 (ko) 금속곡형제품제조용 스피닝기
KR20140123306A (ko) 프레스 장치
JP2005528261A (ja) 物体の印刷方法と装置
CN216938038U (zh) 一种汽车零部件用下模的安装结构
CN210966674U (zh) 一种预防轴承防尘盖凸起变形的冲压模具
KR100536129B1 (ko) 인서트물을 삽입하는 박막제품의 사출성형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한 박막제품
JPH02131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