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984Y1 -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984Y1
KR200291984Y1 KR2020020022163U KR20020022163U KR200291984Y1 KR 200291984 Y1 KR200291984 Y1 KR 200291984Y1 KR 2020020022163 U KR2020020022163 U KR 2020020022163U KR 20020022163 U KR20020022163 U KR 20020022163U KR 200291984 Y1 KR200291984 Y1 KR 200291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calcium chloride
opening
sal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 환 신
Original Assignee
정 환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환 신 filed Critical 정 환 신
Priority to KR2020020022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984Y1/ko

Links

Abstract

이 고안은 소금과 염화칼슘을 포장된 상태로 보관 하였다가 필요시에 서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혼합시켜 제설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료를 운반하는 호이스트 운반수단(10,10')이 각각 설치된 원료보관실(20)과 혼합실(30)이 구비되고; 상기 혼합실(30) 하부에 설치되는 격리부재(41)에 의해 양분되어 제1,2호퍼실(42,43)을 가지며 제1,2호퍼실(42,43)의 토출구(42a,43a)가 유압실린더(44,44')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토출조절부재(45,45')에 의해 개폐되는 호퍼(40)와; 상기 제1,2호퍼실(42,43)에 각각 고정된 지지부재(51)에 기립되어 설치되고 뾰족첨부(52) 양측으로 벌어지게 설치된 톱니형 칼날(53)을 가진 제1,2절개수단(50)과; 상기 제1,2호퍼실(42,43)의 토출구(42a,43a)와 통하도록 호퍼(40) 하부에 구비되는 수직형 교반통로(6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형 교반통로(60)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교반부재(71)와 스크류(72)가 버티컬감속모터(73) 동력으로 회전되는 수직축(74) 하단부에 고정되게 구성된 교반수단(70)과; 상기 수직형 교반통로(60)의 토출구(61)를 개폐하기 위해 유압실린더(81)에 의해 개폐프레임(82)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개폐부재(83)를 갖는 개폐수단(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Snow removing salt and calcium chloride keeping and mixing a device}
본 고안은 겨울철에 도로에 쌓인 눈이나 빙판을 녹여서 제설되게 하는 소금과 염화칼슘을 보관하고 필요시에 혼합하여 제설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전에 제설용으로 쓰이는 것은 모래와 염화칼슘을 섞어서 제설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이중에 염화칼슘의 경우 녹아서 하수도로 배수되지만 모래의 경우 제설용으로 쓰인 다음에는 도로에 그대로 방치됨으로써 2차 문제가 초래되었다.
즉, 모래가 도로에 깔려 있게 됨으로써 자동차 타이어와 도로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사고의 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가 오면 하수도로 쓸려 들어가서 하수도를 막히게 하는 2차적인 문제를 야기시키는 원인을 안고 있다.
따라서, 모래 대신에 제설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방안이 연구 되었으며, 이방안은 제설용으로 쓰인 다음에 액체로 녹아서 하수구로 배수될 수 있는 소금이 적합한 것으로 제안되었다.
그러나 소금과 염화칼슘은 서로 혼합하여 장기간 방치(보관)하면 서로 응결되어 커다란 덩어리가 됨으로써 서로 혼합시켜서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그러므로 소금과 염화칼슘을 포장된 상태로 보관 하였다가 필요시에 서로 혼합시켜 제설용으로 쓰이도록 하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소금과 염화칼슘을 포장된 상태로 보관 하였다가 필요시에 서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혼합시켜 제설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료를 운반하는 호이스트 운반수단이 각각 설치된 원료보관실과 혼합실이 구비되고; 상기 혼합실 하부에 설치되는 격리부재에 의해 양분되어 제1,2호퍼실을 가지며 제1,2호퍼실의 토출구가 유압실린더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토출조절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호퍼와; 상기 제1,2호퍼실에 각각 고정된 지지부재에 기립되어 설치되고 뾰족첨부 양측으로 벌어지게 설치된 톱니형 칼날을 가진 제1,2절개수단과; 상기 제1,2호퍼실의 토출구와 통하도록 호퍼 하부에 구비되는 수직형 교반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형 교반통로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교반부재와 스크류가 버티컬감속모터 동력으로 회전되는 수직축 하단부에 고정되게 구성된 교반수단과; 상기 수직형 교반통로의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유압실린더에 의해 개폐프레임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개폐부재를 갖는 개폐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퍼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호퍼의 격리부재 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2호퍼실의 토출 조절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절개수단과 교반수단을 보인 호퍼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X - X' 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교반수단을 나타낸 호퍼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교반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본 고안의 개폐수단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 호이스트운반수단 20 : 원료보관실
30 : 혼합실 40 : 호퍼
41 : 격리부재 42,43 : 제1,2호퍼실
45,45' : 토출조절부재 46 : 중공관
50,50' : 제1,2절개수단 52 : 뾰족첨부
53 : 톱니형칼날 60 : 수직형 교반통로
70 : 교반수단 71 : 교반부재
72 : 스크류 74 : 수직축
80 : 개폐수단 83 : 개폐부재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전체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그 일측면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소금포대(A) 및 염화칼슘포대(B)를 운반하는 호이스트 운반수단(10,10')이 각각 설치된 원료보관실(20)과 혼합실(30)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소금포대(A) 및 염화칼슘포대(B)는 차량에 의해서 운반되고 하차대(21)에서 정차한 상태에서 호이스트운반수단(10)에 의해 들어 올려져서 원료보관실(20)에 적재되어 보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보관되는 것은 제설이 필요로 되는 때까지 보관되는 것이며, 소금과 염화칼슘이 각각 포대에 담겨서 보관되기 때문에 서로 섞여서 덩어리가 되는 것이 전혀 없게 된다.
한편, 보관 상태에서 제설의 필요성이 있을 때는 원료보관실(20)에 있는 소금포대(A) 및 염화칼슘포대(B)을 호이스트운반수단(10')에 의해서 혼합실(30)로 운반해 오게 된다.
그리고 운반되어 온 소금포대(A) 또는 염화칼슘포대(B)는 제1절개수단(20)또는 제2절개수단(50')에 의해서 포대가 절개되어 그 내부에 들어 있는 소금(a) 또는 염화칼슘(b)이 호퍼(40)의 제1호퍼실(42) 또는 제2호퍼실(43)에 각각 쏟아지도록 한다.
상기 호퍼(4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혼합실(30) 하부에 다수개(도면에서는 2개)가 설치된다.
또한, 각각의 호퍼(40)는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격리부재(41)에 의해 양분되어 제1,2호퍼실(42,43)을 구비한다.
상기 격리부재(4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관(46) 양측에 고정되고 그 중공관(46) 내부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교반수단(70)의 수직축(74)이 관통되어 회전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제1,2호퍼실(42,43)의 토출구(42a,43a)는 유압실린더(44,44')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토출조절부재(45,45')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조절부재(45,45')가 열리는 정도에 따라 토출구(42a,43b)의 열리는 면적이 조절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토출구(42a,43b)로 나오는 소금(a)과 염화칼슘(b)의 토출되는 양이 조절되어 토출되므로 혼합비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호퍼(40) 하부에는 제1,2호퍼실(42,43)의 토출구(42a,43a)와 통하는 수직형 교반통로(6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형 교반통로(60)는 제1,2호퍼실(42,43)의 토출구(42a,43a)로 토출되는 소금(a)과 염화칼슘(b)이 서로 혼합되는 통로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2호퍼실(42,43)의 상부에는 각각 지지부재(51)가 기립되게 설치되고 그 첨부는 뾰족첨부(52)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양측으로는 톱니형 칼날(53)이 벌어지게 설치된 제1,2절개수단(50,50')을 각각 구비한다.
따라서, 호이스트운반수단(10')에 의해 운반되어 온 소금포대(A)를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제1절개수단(20) 위로 내려 뜨리면 그 낙하되는 힘에 의해서 제1절개수단(20)의 뾰족첨부(52)가 소금포대(A)를 뚫고 들어 가게 되면서 양측으로 벌어진 톱니형칼날(53)이 포대를 양측으로 찢게 된다.
다음, 소금포대(A)를 들어 올리면 밑둥이가 찢어져 있기 때문에 그 내용물인 소금(a)이 제1호퍼실(42)로 쏟아져서 부어지는 상태가 된다.
염화비닐포대(B)는 제2절개수단(50')에 의해서 포대가 절개되어 그 내부에 들어 있는염화칼슘(b)이 제2호퍼실(43)에 쏟아지게 되는 것이다.
도 9 및 도10을 참조하면, 수직형 교반통로(60)에는 교반수단(70)의 교반부재(71)와 스크류(72)가 수직축(74)에 설치된 상태에서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축(74)은 버티컬감속모터(73) 동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직축(74)은 중공관(46) 내부에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수직축(74)이 소금(a)이나 염화칼슘(b)에 의해서 지장을 받지 아니한다.
따라서, 호퍼(40)의 제1,2호퍼실(42,43)에 소금(a)과 염화칼슘(b)이 투입되면 토출조절부재(45,45')에 의해서 토출구(42a,43a)의 토출 면적을 조절하여 그들이 토출되는 양이 설정된 조절량 대로 토출되게 된다.
다음, 토출된 소금(a)과 염화칼슘(b)은 회전되는 교반부재(71)에 의해서 1차 교반되면서 스크류(72)로 이송되고 그 스크류(72)를 따라서 회전되면서 2차 교반되면서 밑으로 이송되어 토출구(61)로 토출된다.
도 8 및 도 11를 참조하면, 수직형 교반통로(60)의 토출구(61)는 개폐수단(80)에 의해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80)은 유압실린더(81)에 의해 개폐프레임(82)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개폐부재(83)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직형 교반통로(60)의 토출구(61)를 개폐부재(83)로 개폐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부호 84는 유압유니트이다.
따라서, 제설용 소금(a)과 염화칼슘(b)을 혼합시킬 때는 개폐부재(83)를 이동시켜 토출구(61)가 개방되게 하는 것이고, 비 혼합시에는 폐쇄되게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소금과 염화칼슘을 포장된 상태로 보관 하였다가 필요시에 서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혼합시켜 제설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금 및 염화칼슘포대(A,B)를 운반하는 호이스트 운반수단(10,10')이 각각 설치된 원료보관실(20)과 혼합실(30)이 구비되고; 상기 혼합실(30) 하부에서 중공관(46) 양측에 설치되는 격리부재(41)에 의해 양분되어 제1,2호퍼실(42,43)을 가지며 제1,2호퍼실(42,43)의 토출구(42a,43a)가 유압실린더(44,44')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는 토출조절부재(45,45')에 의해 개폐되는 호퍼(40)와;
    상기 제1,2호퍼실(42,43)에 각각 고정된 지지부재(51)에 기립되어 설치되고 뾰족첨부(52) 양측으로 벌어지게 설치된 톱니형 칼날(53)을 가진 제1,2절개수단(50)과;
    상기 제1,2호퍼실(42,43)의 토출구(42a,43a)와 통하도록 호퍼(40) 하부에 구비되는 수직형 교반통로(6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형 교반통로(60)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교반부재(71)와 스크류(72)가 버티컬감속모터(73) 동력으로 중공관(46) 내에서 회전되는 수직축(74) 하단부에 고정되게 구성된 교반수단(70)과;
    상기 수직형 교반통로(60)의 토출구(61)를 개폐하기 위해 유압실린더(81)에 의해 개폐프레임(82)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개폐부재(83)를 갖는 개폐수단(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KR2020020022163U 2002-07-24 2002-07-24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KR200291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163U KR200291984Y1 (ko) 2002-07-24 2002-07-24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163U KR200291984Y1 (ko) 2002-07-24 2002-07-24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607A Division KR100466704B1 (ko) 2002-07-24 2002-07-24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984Y1 true KR200291984Y1 (ko) 2002-10-12

Family

ID=73126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163U KR200291984Y1 (ko) 2002-07-24 2002-07-24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9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619A (ko) * 2017-02-07 2019-09-30 로라멘디, 에스.쿱. 고형 성분 혼합 장치 및 관련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619A (ko) * 2017-02-07 2019-09-30 로라멘디, 에스.쿱. 고형 성분 혼합 장치 및 관련 방법
KR102502790B1 (ko) * 2017-02-07 2023-02-23 로라멘디, 에스.쿱. 고형 성분 혼합 장치 및 관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8200A (en) Method for depositing snow-ice treatment material on pavement
US4162766A (en) Vehicular spreader for icy roads and the like
US3552346A (en) Sand-bagging attachment for dump trucks
CA2171841C (en) Transport-mixer for bulk-material/liquid mixtures
CA2355143C (en) Twin discharge conveyor for a truck mounted spreader system
KR100466704B1 (ko)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AU602316B2 (en) Apparatus for use in the transportation and production of cementitious mixes
KR200291984Y1 (ko) 제설용 소금과 염화칼슘 보관 및 혼합장치
US4326673A (en) Aggregate distributor
KR19990074660A (ko) 제설재 혼합 이송장치의 염화칼슘 저장호퍼
CN211333981U (zh) 一种便于调节的混凝土搅拌运输车用出料装置
KR100545543B1 (ko) 분진방지형 제설제 혼합투입장치
CN107227676B (zh) 一种路基灰土自动拌合布撒机
KR200344624Y1 (ko) 모래 비닐 포장장치
KR101318416B1 (ko) 제설제 살포차량의 고액살포제 혼합장치
KR200165497Y1 (ko) 염화칼슘 모래 살포장치
US16342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ement and bulk material
KR200385722Y1 (ko) 무인 자동 살포장치
KR100448263B1 (ko) 적설 용해장치
KR200203630Y1 (ko) 비닐 모래 자동 포장기
CN209652859U (zh) 一种大型发动机撒布机
JPH0242965B2 (ko)
KR200355014Y1 (ko) 적설 용해장치
CN212452172U (zh) 一种冷拌混合料生产装置
JP2001336174A (ja) 土質混合改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6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