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791Y1 -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 Google Patents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791Y1
KR200291791Y1 KR2020020018306U KR20020018306U KR200291791Y1 KR 200291791 Y1 KR200291791 Y1 KR 200291791Y1 KR 2020020018306 U KR2020020018306 U KR 2020020018306U KR 20020018306 U KR20020018306 U KR 20020018306U KR 200291791 Y1 KR200291791 Y1 KR 200291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recognition
contents
unit
learn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택
Original Assignee
고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택 filed Critical 고종택
Priority to KR2020020018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791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학습하고자하는 학습면 만을 정확히 감지하여 출력하도록 하므로써,학습자들 즉, 유아 및 어린이들에게 정확한 학습 내용을 전달할 수 있게 한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인식펜, 그 인식펜으로 읽혀지는 학습내용이 수록된 학습물과, 그 학습물을 올려 놓을수 있게 한 접이식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록된 학습물의 각 학습면에는 해당 학습면이 몇 쪽인가를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인식부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인식부와의 대응 위치에 그 본체에 놓여지는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의 인식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하게 하는 감지센서들이 설치됨에 의해, 상기 감지센서에의해 인식부를 통한 당해 감지면의 감지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펜으로부터 인식되는 내용중 해당 감지면에 대한 내용만을 출력하도록하여,학습자들에게 감지된 학습내용 만이 정확히 전달되어지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A Tranning Implement For Children's}
본 고안은 문자,숫자 및 각종 동식물 등의 그림을 학습하는데 사용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학습구 본체 위에 놓여지는 카드나 책 형태의 학습물에서 학습하고자 펼치게 되는 해당 학습면을 정확히 감지하여 그 감지된 면에 있는 학습 내용 만을 항시 출력되게 한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의 지능 개발과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형태의 학습구 및 교습구들이 개발되어지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 중 하나가 임의의 문자, 숫자 혹은 각종 동식물 모양이 나타낸 책이나 카드와 같은 학습물을 기기 본체에 올려놓은 후, 그 학습물에 표시된 학습 내용을 인식용 전자펜으로 인식하는 경우, 기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는 인식펜에 의해서 읽혀지는 인식 내용과 관련한 것을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갖게 하여 학습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전자 학습구가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의 전자 학습구는 학습자들이 학습을 하고자 펼친 학습물의 당 해면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 소망하는 또 다른 면으로 넘어가서 그 해당면을 학습하고자 인식펜으로 인식하는 경우 - 유아나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학습물의 책장을 넘기게되는 경우에는 임의로 넘기면서 학습을 하게 된다 - 해당 학습면에 대한 것이 감지가 안되어 기기 본체의 스피커를 통해서는 인식펜에 의해 터치(Touch)되어 읽혀진 해당 학습 내용과는 전연 관계가 없는 그 전에 인식하였던 내용들을 출력하여 유아 혹은 어린이들의 학습자에게 잘못된 내용을 출력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 내용의 출력 오류는 유아나 어린이들에 대한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오히려 학습에 역 효과를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근자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학습물이 놓여지는 기기 본체에 안내홈을 설치하여, 학습면을 넘길시 그 안내홈을 통해서만 학습면을 넘기도록 유도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면을 학습자들이 넘길 때에 감지되게 하므로써, 당해 학습면의 내용 만이 출력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이러한 구조 역시 유아나 어린이들의 경우는 물론 성인들의 경우에도 학습물의 학습면을 넘기는 경우에 있어, 항시 그 안내홈 만을 통하여 학습면을 넘기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여 넘기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본 고안의 사용자인 유아 및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더욱 심하다.
이 때문에 상기 학습구 역시 당해 학습면의 감지가 제대로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더 많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학습 내용의 정확한 음성 전달에 대한 오류가 발생되어, 학습자들 한테 호감을 주지 못하게 되고 오히려 학습 효과를 떨어뜨리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학습하고자하는 해당 학습면이 몇 면인가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면의 내용 만이 학습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항시 올바른 내용 만을 학습자들에게 전달 할 수 있게 한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의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는 청구항1의 고안과 관련된 판형상의 본체와, 그 본체 위에 올려 놓고 학습을 할수 있도록 한 지능 개발 및 학습을 위한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의 학습내용이 표시된 학습면들을 갖는 학습물과, 그 학습물의 학습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인식하기 위한 인식펜과, 상기 학습물로부터 인식펜에의해 인식된 학습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게 하는 제어부를 갖는 학습구에 있어서,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해당 학습면이 몇 쪽인가를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인식부; 상기 본체에서 상기 인식부와의 대응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그 본체에 놓여지는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의 인식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하게 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에의해 인식부를 통한 당해 감지면의 감지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펜으로부터 인식되는 내용중 해당 감지면의 내용 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인식부는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을 따라서 그 상단에 설치된 인식용 구멍들이고, 그 인식용 구멍들이 상기 감지센서와 일치되는 개수에 따라서 해당 학습면의 감지가 실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인식부는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의 상단에 설치된 인식용 바 코드이고, 상기 감지센서가 바 코드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당해 면의 감지가 실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상기 인식부는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의 상단에 설치된 도색부(塗色部)이고, 상기 감지센서가 그 도색부의 감지여부에 따라서 당해 면의 감지가 실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상기 학습물과 기기 본체에는 권수(卷數)를 알려주는 인식부 및 그 인식부를 감지하기 위한 권 감지센서가 상호 대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상기 제어부는 학습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학습물의 인식부에 대한 감지 신호를 받으며, 그 감지된 학습면의 학습내용이 인식펜에 의해 인식되어 입력시 이미 저장된 해당 학습물에서 인식된 학습 내용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CPU; 상기 CPU에의해 학습물과 관련된 내용을 제어받게 되는 램(RAM); 상기 CPU에의해 학습물과 관련된 내용을 제어받게 되며 상기 학습물의 학습내용들과 관련된 내용이 기 저장된 ROM; 상기 인식펜에의해 읽혀지는 내용을 CPU측으로 입력하기 위해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내용과 관련하여 ROM에 저장된 학습내용을 일정 모드로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체는 2개의 판형상 부재들을 힌지를 통해 접었다 펼칠수 있게 연결한 접이식이며, 그 내 측에는 학습물 및 인식펜을 놓을수 있게한 지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학습 내용에 대한 정확한 전달로 학습 효과를 극대화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에 내장된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또 다른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학습물에 표시된 인식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학습구 120 : 학습물
122,123 : 인식부 140 : 감지센서
160 : 본체 180 :인식펜
200 : 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100)의 구성을 대별(大別)하면, 책(冊)형태로 구성한 학습물(120), 학습물(120)의 인식부(122)를 인식하기 위한 감지센서(140)가 설치된 본체(160) 및 상기 학습물(120)의 학습면들(124a~124e)에 인쇄된 문자, 숫자,그림등의 학습내용들(126a~126c)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펜(180)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어린이용 학습구(100)의 한 셋(Set)을 이루게 된다.
먼저,학습물(120)은 책으로 유아 및 어린이들의 지능 개발과 학습을 위한 문자,숫자 및 동식물 그림 등의 학습내용들(126a~126c)이 표시된 학습면들 (124a~124e)를 하나로 결속하여, 상기 책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학습물 (120)의 학습면들(124a~124e)는 유아 혹은 어린이들로 하여금 싫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한 적은 면수를 이루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물(120)에는 그 학습물(120)에 대한 권수(卷數) 인식과 각 학습면들(124a~124e)를 인식하는데 사용 할 수 있게 한 학습면 인식부(122)와 권수 인식부(1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학습면 인식부(122)와 권수 인식부(128)은 후술하는 감지센서(140)에 의해서 실행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기 본체(16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학습면 인식부(122)는 상기 학습물(120)의 상단 부위에 소정 간격을 두고 천공된 인식용 구멍들(122a~122e)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인식용 구멍들(122a~122e)는 상기 학습물(120)의 전.후 표지들(124a,124e)에는 학습면들(124a~124e)의 전체 면수(페이지수)에 해당하는 만큼 설치되고, 그 밖의 학습면들(124b~124d)에는 당해 학습면이 해당하는 페이지에 대응하는 개수의 인식용 구멍들이 설치된다.
그 이유는 상기 학습면들(124b~124d)를 천공된 인식용 구멍의 개수에 의하여 후술하는 감지센서(140)으로 하여금 몇 면인가를 감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실시예따른 도면에서는 상기 인식용 구멍들(122a~122e)를 학습물(120)의 횡 방향으로 설치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학습물(120)에 인쇄되는 학습 내용들(126a~126c)에 피해를 주지않는 범위에서는 어느 위치나 어느 방향으로 설치 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학습물(120)의 권수 인식부(128)은 상기 학습물(120)의 전.후 표지 중 임의 위치에 점이나 혹은 원 등의 형태로 설치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학습물(120)의 후 표지(124e)의 표면에 원형의 점으로 설치된 것을 표시하였다.상기 권수 인식부(128)역시 후술하는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다.
상기 기기 본체(160)은 장방형을 이루는 2개의 판형상 부재들(162a,162b)를 힌지부(164)를 통하여 접었다 펼칠수 있게 연결한 접이식 구조로, 그 본체(160)의 내 측에는 학습물(120)과 그 학습물(120)에의 학습 내용들(126a~126c)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펜(180)을 수용할 수 있게한 지지홈들(163,16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기 본체(160)의 전개시의 넓이는 상기 학습물(120)을 펼쳤을 때와 거의 같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본체(160)의 상면에는 학습물(120)을 펼친 상태로 놓을수 있다.
상기 본체(160)에는 상기 학습물(120)의 면수와 권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센서(140)은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j)과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j)는 상기 학습물(120)의 면수 인식용 구멍들(122a~122e)를 감지하기 위해 그 인식용 구멍들(122a~122e)와의 대응 위치에 상기 인식용 구멍들(122a~122e)과 대응하는 개수로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j)의 위치나 설치 개수는 상기 학습물(120)에 설치된 인식용 구멍들(122a~122e)의 개수나 위치에 따라서 임의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는 상기 학습물(120)의 권수 인식부(128)를 감지하기 위해 그 권수 인식부(128)와의 대응 위치인 상기 본체(160)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역시 상기 학습물(120)의 권수에 따라서 임의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설치위치 역시 도면 표시 이외의 위치라도 무방하다. 도면부호(240)는 온/오프전원 버튼, (280)는 음성 출력용 스피커를 그리고 (250)은 학습물(120)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롬팩을 나타낸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학습구(100)을 다시 도 3을 참조하면서 작동 예를 설명한다. 평상시 기기 본체(160)은 도1 표시의 형태로 있게되고, 사용시에는 도3의 표시와 같이 학습물(120)을 놓을수 있게 힌지부(164)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학습자들은 상기 학습물(120)역시 본체(160)의 지지홈(163)내에 펼친 상태로 놓게된다. 이러한 사용법은 미리 사용 설명서를 통하여 진행된다. 상기 학습물(120)을 본체(160)에 놓게 되면, 상기 학습물(120)의 후측 표지(124e)의 후면에 인쇄된 권수 인식부(128)(도2참조)가 본체(160)의 대응면에 형성된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의 어느 하나와 접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권수 인식부(128)가 상기 권수 감지센서들(144a~144e)중 제일 상단에 위치한 첫번째의 권수 감지 센서(144a)와 만나게 되면 상기 학습물(120)은 첫번째 권수라는 것으로 감지되어, 후술하게 되는 제어부(200)측으로 입력된다. 상기 권수 인식부(128)은 학습물(120)의 권수에 맞게 표시되어 상기 권수 감지센서들 (144a~144e)에 의하여 감지되게 된다. 즉, 상기 학습물(120)이 다섯번 째의 권수라고 하면 상기 권수 인식부(128)은 상기 권수 감지센서들(144a~144e)중 제일 하단에 위치한 다섯번째의 권수 감지센서(144e)와 만나는 위치에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학습물(120)의 권수인식부(128)은 학습물(120)의 권수에 따라서 다른 위치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기 권수 감지센서들(144a~144e)의 개수도 정해지게 된다.
상기 학습물(120)의 학습면들(124b~124d)에 대한 감지는 그 학습물(120)에 설치된 인식부(120)의 인식용 구멍들(122a~122j)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학습물(120)을 도 3의 표시와같이, 본체(160)에 올려 놓게 되면, 상기 학습물(120)의 전.후 표지에 해당하는 학습면들(124a,124e)의 상단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인식용 구멍들(122a~122j)(도2참조)는 상기 본체(160)에 설치한 면수 감지센서들 (142a~142e)와 정확 일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학습자들은 학습 내용들 (126a~126c)를 보려고 학습면들(124b~124d)를 넘기는 경우가 있게 되는데, 예컨대, 도3의 표시와 같이 학습자가 학습을 하려고 펼친 쪽이 학습면(124b)와 (124c)라고 하면, 상기 학습면(124b)에 천공된 하나의 인식용 구멍 만을 이에 대응하는 면수 감지센서(142e)가 감지하여 후술하는 입력부로 보냄에 의해, 제어부에서는 하나의 구멍만이 천공된 학습면(124b)에 수록된 학습내용(126a)만을 스피커(280)을 통하여출력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한다. 따라서, 기 준비된 인식펜(180)을 사용하여 학습내용(126a)에 터치하여 읽은 학습내용이 후술하는 제어부 측으로 무선 송신되어 입력되면 스피커(280)을 통하여 그 감지된 면으로부터 인식펜(180)으로부터 입력된 내용만이 정확히 출력된다. 상기 인식펜(180)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학습면(124c)의 두개의 인식용 구멍이 감지센서들 (142i,142j)에 감지되는 경우에는 두개의 인식용 구멍이 형성된 학습면(124c)의 내용만을 출력하게 한다. 상기 감지센서들(142a~142j)와 인식용 구멍들의 개수는 학습면들의 쪽수에 따라서 변형 설치되며, 위치 역시 학습내용의 표시에 방해가 안되는 범위에서 도면 표시한 이외의 장소에 얼마든지 설치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에 내장된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부(200)은 학습구 본체(160)을 이루는 2개의 판형상 부재들(162a,162b)중 어느 하나의 내부 즉, 도면에서 보아 우측 부재(162b)의 내부에 내장되며, 도2 표시의 전원 버튼(240)의 조작으로 온/오프되고, 감지센서(140)으로부터 감지된 학습물(120)의 어느 학습면들(124b~124d)중 학습 내용들(126a~126c)을 인식펜(180)을 사용하여 터치하면서 이때 읽혀진 내용과 관련된 것을 기 저장된 롬팩(250)으로 부터 독출하여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의 구성은, 상기 본체(160)에 구비된 조작버튼(240)의 조작 여부에 따라 감지센서(140)의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과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j)에 의해 감지된 학습물(120)의 인식부(122) 및 (128)과 관련된 학습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게 제어하는 CPU(210), 상기 학습물(120)의 학습내용들 (126a~126c)과 관련된 내용이 기 저장된 ROM 팩(250), 상기 ROM 팩(250)과 관련된 내용을 CPU(210)의 제어를 받으면서 학습내용을 실행하는 램(RAM)(260), 인식펜 (180)에 의해 읽혀지는 내용을 수신하여 CPU(210)측으로 입력하는 수신부(270),상기 ROM 팩(250)에 저장된 학습물(120)의 학습내용들(126a~126c)과 관련된 학습 내용을 일정 모드로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CPU(210)측으로부터 받는 스피커(280), 전원부(290) 및 녹음용 마이크(2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학습구 본체(160)위에 학습물(120)을 위치시킴과 아울러 전원버튼(240)을 온(ON) 조작으로 하면, 상기 본체(160)에 구비된 감지센서(140)즉, 권수 감지센서들(144a~144e)과 상기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j)는 각각 학습물(120)에 표시된 인식부들(122,128)을 통하여 학습물(120)의 권수와 아울러 학습을 하고자하는 각 학습면들(124b~124d)를 감지하게 된다(도3참조).
이 상태에서 인식펜(180)으로 당해 감지면 즉, 도 3표시에 일예로 표시한 감지된 학습면(124b)혹은(124c)에 표시된 학습내용(126a) 혹은 (126b)를 터치하여 읽게 되면, 그 인식펜(180)에 의해 읽혀지는 인식된 내용은 상기 제어부(200)의 수신부(270)을 통하여 속히 CPU(210)로 입력되고, 이때 CPU(210)은 ROM 팩(250)에 기 저장된 학습 내용 중 그 감지면의 해당하는 학습내용 만을 읽어내어(讀出) 스피커(280)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유아 및 어린이등의 학습자로 하여금 항시 감지된 면의 학습내용 만을 들을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또 다른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본 실시예의 학습구(100a)는 학습물(120a)의 학습면들(124b,124c)에대한 감지에 제공되는 인식부(123)를 바코드들(123a,123b)로 형성하고, 상기 바 코드들 (123a,123b)의 인식부(123)는 그 인식부(123)의 바 코드들(123a,123b)과의 대응 위치에 설치된 감지센서들(140a,140b)에 의해서 실행되게 한 것이다. 상기 바 코드들(123a,123b)에는 각 학습면들(124b,124c)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것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학습자들이 학습 내용들(126a~126c)를 보려고 학습면들 (124b~124d)(도 2참조)을 넘기는 경우가 있게 되는데, 예컨대, 도5의 표시와 같이 학습자가 학습을 하려고 펼친 쪽이 학습면(124b)와 (124c)라고 하면, 상기 학습면(124b)의 상단 모서리에 설치된 학습면 인식용 바코드들(123a,123b)를 이에 대응 설치한 면수 감지센서(140a) 혹은 (140b)가 감지하여 제어부(200)(도 4참조)로 보내게 된다. 따라서,상기 제어부(200)는 인식펜(180)에 의해 학습면 (124b,124c)의 학습내용들(126a~126c)를 터치하여 읽게될 시 필히 면수 감지센서(140a) 혹은 (140b)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되는 학습면(124b) 혹은 (124c)에 에 수록된 학습내용(126a) 혹은 (126b)만을 정확히 스피커(280)를 통하여 출력되게 한다. 그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상기에서 감지센서들(140a,140b)와 인식용 바코드들(123a,123b)의 설치 위치는 학습면들의 학습내용의 표시에 방해가 안되는 범위에서 도면 표시한 이외의장소에 얼마든지 설치 가능하다
도 6은 도 5에서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학습물에 표시된 인식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는 학습물(120b)의 인식부(127)를 도색부(塗色部)들(127a,127b)로 형성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색부들(127a,127b)를 각 학습면들(124b,124c)의 상단에 각각 설치하여, 이와 대응 설치된 감지센서들 (140a,140b)(도 5참조)가 그 도색부들(127a,127b)를 감지하게 함에 의해, 학습하고자하는 면의 감지를 정확히 실행되게 한 것이다.
즉, 상기 도색부들(127a,127b)의 각 색을 학습물(120b)의 각 면(面)수에 따라 기 입력하여 놓게 되면(예컨대, 빨강색은 1면, 주황색은 2면, 노란색은 3면 등), 상기 감지 센서들(140a,140b)로부터 감지되는 도색부(127a) 혹은 (127b)에 따라 제어부(200)는 그 감지된 면에 대한 학습내용 만을 출력할 수 있게하여, 인식펜(180)에 의해 학습면(124b,124c)의 학습내용들(126a,126b)를 터치하여 읽게될 시 필히 면수 감지센서(140a) 혹은 (140b)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되는 학습면(124b) 혹은 (124c)에 수록된 학습내용(126a) 혹은 (126b)만을 정확히 스피커(280)를 통하여 출력되게 한다. 상기에서 색 감지 센서 자체의 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에서 감지센서들(140a,140b)와 인식용 도색부들(127a,127b)의 설치 위치는 학습면들의 학습내용의 표시에 방해가 안되는 범위에서 도면 표시한 이외의 장소에 얼마든지 설치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학습물을 책 형태로 형성한 것만을 예로들어 설명 하였으나, 카드형태로 형성하여 적용 시킬수 있다고 하는 것도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학습 물에는 학습면 인식부를 그리고 본체에는 그 인식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채용한 것에 의해, 학습시 감지 센서에 의한 인식부의 감지로 학습하고자 하는 해당 학습면이 몇 면인가를 감지하여, 해당 감지면의 내용 만을 학습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고, 이는 항시 올바른 내용 만을 학습자들에게 전달을 할 수 있게하여 유아 및 어린이들에게 높은 학습력을 얻을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판형상의 본체와, 그 본체 위에 올려 놓고 학습을 할수 있도록 한 지능 개발 및 학습을 위한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의 학습내용이 표시된 학습면들을 갖는 학습물과, 그 학습물의 학습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인식하기 위한 인식펜과, 상기 학습물로부터 인식펜에의해 인식된 학습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게 하는 제어부를 갖는 학습구에 있어서,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해당 학습면이 몇 쪽인가를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인식부; 및
    상기 본체에서 상기 인식부와의 대응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그 본체에 놓여지는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의 인식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하게 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에의해 인식부를 통한 당해 감지면의 감지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펜으로부터 인식되는 내용중 해당 감지면에 대한 내용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인식부는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을 따라서 그 상단에 설치된 인식용 구멍들이고, 그 인식용 구멍들이 상기 감지센서와 일치되는 개수에 따라서 해당 학습면의 감지가 실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인식부는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의 상단에 설치된 인식용 바 코드이고, 상기 감지센서가 바 코드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당해 면의 감지가 실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인식부는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의 상단에 설치된 도색부(塗色部)이고, 상기 감지센서가 그 도색부의 감지여부에 따라서 당해 면의 감지가 실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학습물과 기기 본체에는 권수(卷數)를 알려주는 인식부 및 그 인식부를 감지하기 위한 권수 감지센서가 상호 대면 위치에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학습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학습물의 인식부에 대한 감지 신호를 받으며, 그 감지된 학습면의 학습내용이 인식펜에 의해 인식되어 입력시 이미 저장된 해당 학습물에서 인식된 학습 내용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CPU;
    상기 CPU에의해 학습물과 관련된 내용을 제어받게 되는 램(RAM);
    상기 CPU에의해 학습물과 관련된 내용을 제어받게 되며 상기 학습물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내용이 기 저장된 ROM;
    상기 인식펜에의해 읽혀지는 내용을 CPU측으로 입력하기 위해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내용과 관련하여 ROM에 저장된 학습내용을 일정 모드로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2개의 판형상 부재들을 힌지를 통해 접었다 펼칠수 있게 연결한 접이식이며, 그 내 측에는 학습물 및 인식펜을 놓을수 있게한 지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KR2020020018306U 2002-06-17 2002-06-17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KR200291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306U KR200291791Y1 (ko) 2002-06-17 2002-06-17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306U KR200291791Y1 (ko) 2002-06-17 2002-06-17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791Y1 true KR200291791Y1 (ko) 2002-10-11

Family

ID=7308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306U KR200291791Y1 (ko) 2002-06-17 2002-06-17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7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78B1 (ko) 2007-01-25 2008-02-28 (주)셈투유 학습 보조 장치
KR101282239B1 (ko) * 2011-05-17 2013-07-10 주식회사 토이트론 학습용 리딩북 셋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78B1 (ko) 2007-01-25 2008-02-28 (주)셈투유 학습 보조 장치
KR101282239B1 (ko) * 2011-05-17 2013-07-10 주식회사 토이트론 학습용 리딩북 셋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3861A (en) Talking phonics interactive learning device
US20040140966A1 (en) Interactive apparatus using print media
US20070275356A1 (en) Learning bracelet
US7916124B1 (en) Interactive apparatus using print media
US7819433B2 (en) Letter guide sheet
JP2005517214A (ja) 会話形装置への記入及び方法
US8562024B2 (en) Number writing development guide
KR200291791Y1 (ko)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KR200291792Y1 (ko)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US20090061395A1 (en) Sequence dot connect sheets
KR102086820B1 (ko) 로봇을 이용한 학습 장치 및 그 방법
AU2003243364A1 (en) Method for teaching linguistics
KR101581348B1 (ko) 유아 교육용 학습 시스템, 학습교재 인식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30096693A (ko)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KR20170051831A (ko) 스토리텔링과 촉감을 활용한 학습교구 세트
CA2450295A1 (en) Interactive apparatus using print media
CA2887158A1 (en) Learning aid
CA2484917C (en) An electronic learning device for an interactive multi-sensory reading system
KR19990079730A (ko) 대화식 음성 교습구
KR102488893B1 (ko)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KR0130510Y1 (ko) 페이지 감지식 음향도서
KR101407594B1 (ko) 교육용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이의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630145B1 (ko) 발음 교육 장치
WO2005088580A1 (en) A writing system for teaching a writing objective
KR200279393Y1 (ko) 유아·아동학습용 교재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