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792Y1 -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 Google Patents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792Y1
KR200291792Y1 KR2020020018307U KR20020018307U KR200291792Y1 KR 200291792 Y1 KR200291792 Y1 KR 200291792Y1 KR 2020020018307 U KR2020020018307 U KR 2020020018307U KR 20020018307 U KR20020018307 U KR 20020018307U KR 200291792 Y1 KR200291792 Y1 KR 200291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s
main body
children
recognition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택
Original Assignee
고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택 filed Critical 고종택
Priority to KR2020020018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7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792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학습코자하는 학습면 만을 정확히 감지하여 출력하도록 하므로써,유아 및 어린이들에게 정확한 학습 내용을 전달할 수 있게 한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인식펜, 그 인식펜으로 읽혀지는 학습내용이 수록된 학습물과,그 학습물을 올려 놓을수 있게 한 접이식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그 본체에 놓여지는 상기 학습물의 각 학습면들의 변동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여 제어부로 입력하게 하는 면수 감지센서들을 설치하여, 상기 감지센서들에 의한 어느 학습면의 감지시 제어부에서 상기 인식펜으로부터 인식되는 내용중 해당 감지면의 내용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유아 및 어린이들에게 감지된 정확한 학습내용 만을 전달될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A Tranning Implement For Children's}
본 고안은 문자, 숫자 및 각종 동식물 등의 그림을 학습하는데 사용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학습구 본체 위에 놓여지는 카드나 책형태의 학습물로부터 학습하고자 펼치게 되는 해당 학습면을 정확히 감지하여 그 감지된 면의 학습 내용만을 출력되게 한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의 지능 개발과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형태의 학습구 및 교습구들이 개발되어지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 중 하나가 임의의 문자, 숫자 혹은 각종 동식물 모양이 나타낸 책이나 카드와 같은 학습물을 기기 본체에 올려놓은 후, 그 학습물에 표시된 학습 내용을 인식용 전자펜으로 인식하는 경우, 기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는 인식펜에 의해서 읽혀지는 인식 내용과 관련한 것을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갖게 하여 학습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전자 학습구가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존의 전자 학습구는 학습자들이 학습을 하고자 펼친 학습물의 당 해면에 대한 학습을 마친 후, 소망하는 또 다른 면으로 넘어가서 그 해당면을 학습하고자 인식펜으로 인식하는 경우 - 유아나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학습물의 책장을 넘기게되는 경우에는 임의로 넘기면서 학습을 하게 된다 - 해당 학습면에 대한 것이 감지가 안되어 기기 본체의 스피커를 통해서는 인식펜에 의해 터치(Touch)되어 읽혀진 해당 학습 내용과는 전연 관계가 없는 그 전에 인식하였던 내용들을 출력하여 유아 혹은 어린이들의 학습자에게 잘못된 내용을 출력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 내용의 출력 오류는 유아나 어린이들에 대한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오히려 학습에 역 효과를 주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근자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학습물이 놓여지는 기기 본체에 안내홈을 설치하여, 학습면을 넘길시 그 안내홈을 통해서만 학습면을 넘기도록 유도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면을 학습자들이 넘길 때에 감지되게 하므로써, 당해 학습면의 내용 만이 출력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이러한 구조 역시 유아나 어린이들의 경우는 물론 성인들의 경우에도 학습물의 학습면을 넘기는 경우에 있어, 항시 그 안내홈 만을 통하여 학습면을 넘기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여 넘기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본 고안의 사용자인 유아 및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더욱 심하다.
이 때문에 상기 학습구 역시 당해 학습면의 감지가 제대로 실행이 안되는 경우가 더 많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학습 내용의 정확한 음성 전달에 대한 오류가 발생되어, 학습자들 한테 호감을 주지 못하게 되고 오히려 학습 효과를 떨어뜨리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학습코자하는 해당 학습면을 감지하여, 그 해당 감지면의 내용만을 유아 및 어린이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하므로써, 항시 올바른 내용 만을 유아 및 어린이들에게 전달 할 수 있게 한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는 청구항1의 발명과 관련된 판형상의 본체와, 그 본체 위에 올려 놓고 학습을 할수 있도록 한 지능 개발 및 학습을 위한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의 학습내용이 표시된 학습면들을 갖는 학습물과, 그 학습물의 학습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인식하기 위한 인식펜을 구비하고, 상기 학습물로부터 인식펜에의해 인식된 학습 내용을 음성으로출력 하도록 된 학습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소정 위치에 그 본체에 놓여지게 되는 학습물의 학습면을 향해 검출 신호를 발생하게 설치되어, 학습면들의 변동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면수 감지센서 ; 상기 면수 감지센서에 의한 학습면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게 그 감지센서와 소정 회로를 형성하며 접속되고, 그 감지 신호 입력 후 상기 인식펜에 의한 학습면의 학습 내용이 인식시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해당 학습면의 내용 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상기에서 감지센서는 상기 본체의 내측 상단 각각에 설치된 2개의 감지센서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센서들은 펼쳐진 학습물의 각 학습면에 대응 되게 설치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상기 학습물과 본체에는 권수(卷數)를 알려주는 인식부 및 그 인식부를 감지하기 위한 권수 감지센서가 상호 대면 위치에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학습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 센서들로부터 학습면의 변동 여부에 대한 감지 신호를 받으며, 그 감지된 학습면의 학습내용이 인식펜에 의해 인식되어 입력시 이미 저장된 해당 학습물에서 인식된 학습 내용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CPU; 상기 CPU에의해 학습물과 관련된 내용을 제어받게 되는 램(RAM); 상기 CPU에의해 학습물과 관련된 내용을 제어받게 되며 상기 학습물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내용이 기 저장된 ROM; 상기 인식펜에의해 읽혀지는 내용을 CPU측으로 입력하기 위해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내용과 관련하여 ROM에 저장된 학습내용을 일정 모드로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상기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상기 본체는 2개의 판형상 부재들을 힌지를 통해 접었다 펼칠수 있게 연결한 접이식이며,그 내 측에는 학습물 및 인식펜을 놓을수 있게한 수용홈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에 내장된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학습구 120 : 학습물
128 : 권수 인식부 140 : 감지부
142a,142b : 면수 감지 센서 144a~144e : 권수 감지센서
160 : 학습구 본체 180 :인식펜
200 : 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100)의 구성을 대별(大別)하면, 책(冊)형태로 구성한 학습물(120), 학습물(120)의 학습면들(124a~124e)의 위치 변동 여부 및 권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40)가 설치된 본체(160), 상기 학습물(120)의 학습면들(124a~124e)에 인쇄된 문자,숫자,그림 등의 학습내용들 (126a~126d)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펜(180)으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100)의 한 셋(Set)을 이루게 된다.
상기 학습물(120)은 유아 및 어린이들의 지능 개발과 학습을 위한 문자,숫자 및 동식물 그림 등의 학습내용들(126a~126d)이 표시된 학습면들(124a~124e)를 결속하여 책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학습물 (120)의 학습면들(124a~124e)는 유아 혹은 어린이들로 하여금 싫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적은 면수를 이루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물(120)에는 그 학습물(120)의 권수(卷數)를 인식하는데 사용 할 수 있게 한 권수 인식부(1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학습물(120)의 권수 인식부 (128)은 상기 학습물(120)의 전.후 표지중 임의 위치에 점 혹은 원 등의 형태로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학습물(120)의 후 표지(124e)의 뒷 표면에 원형의 점으로 설치된 것을 표시하였다.상기 권수 인식부(128)은 후술하는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기 본체(16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부호(127)은 일반적인 시작 인식부로서, 인식펜(180)에의한 학습물(120)의 학습내용들(126a ~126d)에 대한 인식은 반드시 인식펜(180)으로서 시작 인식부(127)을 읽어서 인식한 경우에 만 실시된다.
상기 기기 본체(160)은 장방형을 이루는 2개의 판형상 부재들(162a,162b)를 힌지부(164)를 통하여 접었다 펼칠수 있게 연결한 접이식 구조로, 그 본체(160)의 내 측에는 학습물(120)과, 그 학습물(120)에의 학습 내용들(126a~126d)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펜(180)을 수용할 수 있게한 수용홈들(163,16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기 본체(160)의 전개(展開)시의 넓이는 상기 학습물(120)을 펼쳤을 때와 거의 같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본체(160)의 상면에는 학습물(120)을 펼친 상태로 자유롭게 놓을수 있다.
상기 본체(160)에는 상기 학습물(120)의 면수(Page)와 권수(volume number) 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부(140)은 적어도 2개의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과 다수개의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로 이루어져있다. 먼저, 상기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는 상기 본체(160)에 놓여지는 학습물(120)의 학습면들(124a~124e)의 위치 변동 여부 예컨대, 학습면들(124a~124e)을 넘기게 될시 그 학습면들(124a~124e)의 위치의 변동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160)의 내측 상단 중앙에 상기 학습물(120)이 펼쳐진 어느 학습 면에 대응하는 개수로서 2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의 위치는 본체(160)의 어느 위치에 설치하여도 무방한 데, 가능한 상기 본체(160)의 상단 중앙에 설치하여 상기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로부터 유도되는 검출신호가 학습면들(124a~124e)측을 향하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3참조). 또,상기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는 설치 위치를 어긋나게하여 본체(160)을 접을시 상호 만나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60)의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의 옆에 설치된 홈들(143a,143b)가 상기 본체(160)을 접을시 상호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는 상기 학습물(120)의 권수 인식부(128)를 감지하기 위해 그 권수 인식부(128)와의 대응 위치인 상기 본체(160)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역시 상기 학습물(120)의 권수에 따라서 임의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설치위치 역시 도면 표시 이외의 어느 위치라도 무방하다. 도면부호(240)는 온/오프전원 버튼, (280)은 음성 출력용 스피커를 그리고 (250)은 학습물(120)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롬팩을 나타낸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후에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학습구(100)을 다시 도 3을 참조하면서 그작동 예를 설명하면, 평상시 본체(160)은 도1 표시의 형태로 있게되고, 사용 시에는 도2 및 도3의 표시와 같이 학습물(120)을 놓을수 있게 힌지부(164)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전개를 하게 된다. 이러한 전개 상태에서 학습자들이 상기 학습물 (120)을 본체(160)의 지지홈(164)내로 펼쳐지게 놓으면 본체(160)에 설치된 감지부(140)의 감지센서들(142a,142b)는 펼쳐진 어느 학습면을 향하게 되고, 상기 학습물(120)의 후측 표지(124e)의 후면에 인쇄된 권수 인식부(128)(도2참조)는 본체(160)의 대응면에 형성된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전원 버튼(240)을 조작하면, 상기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는 권수 인식부(128)을 감지하게 한다. 즉, 상기 학습물(120)의 후측 표지(124e)의 후면에 인쇄된 권수 인식부(128)(도2참조)은 본체(160)의 대응면에 형성된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중 어느 하나와 접하면서, 상기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로 하여금 권수 인식부(128)을 감지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권수 인식부(128)가 상기 권수 감지센서들(144a~144e)중 제일 상단에 위치한 첫번째의 권수 감지 센서(144a)와 만나게 되면 상기 학습물(120)은 첫번째 권수라는 것으로 감지되어, 후술하게 되는 제어부(200)(도4참조)측으로 입력되게 하여, 제어부(200)으로 하여금 기 저장된 학습 내용중 그 제1권수와 관련된 학습 내용만을 출력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한다. 또한, 상기 학습물(120)이 다섯번 째의 권수라고 하면 상기 권수 인식부(128)은 상기 권수 감지센서들(144a~144e)중 제일 하단에 위치한 다섯번째의 권수 감지센서(144e)와 만나는 위치에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학습물(120)의 권수 인식부(128)은 학습물(120)의 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며, 이에따라 상기 본체(160)에 설치되는 상기 권수 감지센서들(144a~144e)의 개수도 정해지게 된다. 상기 학습물(120)의 권수는 학습 내용에 따라 달지는데, 대체적으로 10권 내외로 이루어진다.
상기 권수 감지 센서들(144a~144e)에의한 권수 감지가 있게 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본체(160)의 2개소에 설치된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로부터 발생되는 검출신호에 의해 학습물(120)의 학습면들(124a~124e)에 대한 위치 변동 여부가 검출된다. 즉, 도 3의 표시와 같이,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로 부터 유도되는 검출신호는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의 송광부(a)로부터 당해 학습면들 (124b,124c)에 닿은후 다시 수광부(b)로 수신되면서 당해 학습면들(124b,124c)인가를 감지하게 된다. 이 때 인식펜(180)으로 당해 학습면들(124b,124c)에 표시된 학습내용들(126b)혹은 (126c)를 인식하게 되면, 그 인식펜(180)으로 인식되는 내용은 후술하는 제어부(200)로 보내져서 감지된 당해 학습면(124b) 혹은 (124c)에 표시된 학습내용들(126b) 혹은 (126c)만을 스피커(280)을 통하여 출력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학습자들이 학습면(124b) 혹은 (124c)를 넘기게 되는 경우가 있게 되면,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되면서 송광부(a)로부터 수광부(b)로 순환되는 검출 신호는 넘기게되는 학습면(124b) 혹은 (124c)의 단면(端面)과 만나는 순간 단절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면수 감지센서들(142a ,142b)로부터 발생되는 검출신호의 단절은 제어부(200)의 CPU(210)으로 하여금 상기 학습면(124b) 혹은 (124c)에 대한 위치(페이지수)의 변동 즉, 그 다음 면으로 넘어 간다고하는 것을 인식하게 한다(도4참조).
따라서, 넘길려고 하는 상기 학습면(124b) 혹은 (124c)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놓게되는 경우 단절 되었던 검출신호는 즉시 각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의 송광부(a)로부터 수광부(b)로 수신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의 검출신호는 다시 CPU(210)으로 입력되어 원래의 학습면(124b) 혹은 (124c)가 그대로 있다고 하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학습면(124b) 혹은 (124c)중 어느 하나를 완전히 넘기게 되는 경우, 예컨대 도 3에서 학습면(124c)를 넘기게 된다고 하면, 먼저 상기 제1 면수 감지센서(142a)로부터 감지된 상기 학습면(124c)의 위치 변동 감지 신호가 CPU (210)측으로 입력된 후, 상기 제2 면수감지센서(142b)로부터도 넘어오게 되는 상기 학습면(124c)에 대한 위치 변동 감지 신호가 감지되어 후술하는 CPU(210)으로 입력되므로(도4참조), 그 CPU(210)은 상기 학습면(124c)이 완전히 위치가 변동된 것으로 인식하여 위치가 변동된 학습면의 학습내용을 출력할 것을 제어하게 한다.
따라서,학습면들(124a~124e)의 변동이 있게되는 경우, 면수 감지센서들 (142a,142b)에의한 정확한 위치 변동 여부의 감지로써, 인식펜(180)에 의한 감지된 학습면의 내용을 인식시 그 감지된 학습면에 개시된 내용만을 음성으로 출력되게 한다. 상기에서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의 설치 위치는 학습면들(124a~124e) 의 위치 변동(페이지수 변동)을 할 수 있는 위치라고 하면, 본체(160)의 어느 곳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들(142a,142b)를 본체(160)의 상단 양측으로 복수개 설치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어느 한쪽에 만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학습면들(124a~124e)의 변동 여부를 감지하게 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 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인식펜(180)에 대한 자체 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인식펜(180)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상기 제어부(200)에 대한 것은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구에 내장된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서, 다시 도1 내지 도3을 같이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어부(200)은 학습구 본체(160)을 이루는 2개의 판형상 부재들(162a,162b)중 어느 하나의 내부 즉, 도면에서 보아 우측 부재(162b)의 내부에 내장되어, 도2 표시의 전원 버튼(240)의 조작으로 온/오프되며, 감지부(140)으로부터 감지된 학습면들(124a~124e)의 학습 내용들(126a~126d)만이 인식펜(180)에의해 읽혀져서 입력될 경우 그 입력되는 내용과 관련된 것만을 독출하여 음성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그 렇지 않은 경우에는 어떠한 내용도 출력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즉,상기 제어부(200)은 상기 본체(160)에 구비된 전원 버튼(240)(도2 및 도3참조)의 조작 여부에 따라 감지부(140)의 권수 감지센서들(144a~144e)과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에 의해 학습물(120)의 학습면들(124a~124e)의 학습 내용들 (126a~126d)의 감지시 그 감지된 학습면의 내용 만을 음성으로 출력하게 제어하는 CPU(210), 상기 학습물(120)의 학습내용들(126a~126c)과 관련된 내용이 기 저장된 ROM 팩(250), 상기 ROM 팩(250)과 관련된 내용을 CPU(210)의 제어를 받으면서 학습내용을 실행하는 램(RAM)(260), 전자 인식펜(180)에 의해 읽혀지는 내용을 수신하여 CPU(210)측으로 입력하는 수신부(270), 상기 ROM 팩(250)에 저장된 학습물(120)의 학습내용들(126a~126c)과 관련된 학습 내용을 일정 모드로서 출력하기 위한 신호를 CPU(210)측으로부터 받는 스피커(280), 녹음용 마이크(230) 및 전원부(290)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은 제어부(200)의 구성으로, 상기 학습구 본체(160)위에 학습물(120)을 위치 시킴과 아울러 전원버튼(240)을 온(ON) 상태로 조작하여 전원부(290)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게하면, 상기 본체(160)에 구비된 감지부(140)즉, 권수 감지센서들(144a~144e)로부터 학습물(120)의 권수 감지신호가 CPU(210)측으로 입력되어 CPU(210)으로 하여금 롬팩(250)으로부터 해당 권수에 대응하는 학습물을 인식케하고, 이어서 면수 감지센서들(142a,142b)로부터는 도 2및 도 3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감지되는 당해 학습면들(124a~124e)의 감지 신호가 다시 CPU(210)측으로 입력되면, 상기 CPU(210)은 롬팩(250)으로부터 인식된 해당 권수 중에서 감지된 학습면의 내용을 인식한다. 이때 인식펜(180)에 의해 감지된 해당 학습면들(124a~124e)의 시작 인식부(127)의 인식과 아울러 학습내용들(126a~126d)를 읽게 되는 경우, 그 인식 펜(180)에 의해 읽혀지는 인식된 학습내용은 상기 제어부(200)의 수신부(270)을 통하여 속히 CPU(210)로 입력되고, 상기 CPU(210)은 ROM 팩(250)으로부터 인식하고 있는 학습 내용 중에서도 인식펜(180)로부터 인식되는 내용 만을 읽어 내어(讀出) 스피커(280)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항시 감지센서들(142a,142b)에 의해서 감지된 면의 내용만 정확히 출력되게 한 것이다. 또한, 이 상태에서 학습면들 (124a~124e)의 위치 변동 즉, 학습면들(124a~124e)의 페이지 변동이 있게되는 경우가 있더라도 면수 감지 센서들(142a,142b)에의한 도 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같은 학습면들(124a~124e)에 대한 변동 여부 감지가 속히 실행되어져서 인식펜에 의해 인식시 변동된 학습면의 내용만이 정확히 출력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학습구는 학습 물에 있어서의 학습면들의 변동여부를 검출하는 감지센서의 채용으로, 학습면의 변동이 있더라도 그 변동된 학습면을 정확히 감지하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감지는 항시 올바른 내용 만을 학습자들에게 전달을 할 수 있게하여 유아 및 어린이들로 항금 높은 학습력을 얻을수 있게 한다.

Claims (5)

  1. 판형상의 본체와, 그 본체 위에 올려 놓고 학습을 할수 있도록 한 지능 개발 및 학습을 위한 문자, 숫자 및 그림 등의 학습내용이 표시된 학습면들을 갖는 학습물과, 그 학습물의 학습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인식하기 위한 인식펜을 구비하고, 상기 학습물로부터 인식펜에의해 인식된 학습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 하도록 된 학습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소정 위치에 그 본체에 놓여지게 되는 학습물의 학습면을 향해 검출 신호를 발생하게 설치되어, 학습면들의 변동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면수 감지센서; 및
    상기 면수 감지센서에 의한 학습면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게 그 감지센서와 회로를 형성하며 접속되고, 그 감지 신호 입력 후 상기 인식펜에 의한 학습면의 학습 내용이 인식시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해당 학습면의 내용 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본체의 내측 상단 각각에 설치된 2개의 감지센서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센서들은 펼쳐진 학습물의 각 학습면에 대응 되게 설치 됨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학습물과 본체에는 권수(卷數)를 알려주는 인식부 및그 인식부를 감지하기 위한 권수 감지센서가 상호 대면 위치에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학습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 센서들로부터 학습면의 변동 여부에 대한 감지 신호를 받으며, 그 감지된 학습면의 학습내용이 인식펜에 의해 인식되어 입력시 이미 저장된 해당 학습물에서 인식된 학습 내용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CPU;
    상기 CPU에의해 학습물과 관련된 내용을 제어받게 되는 램(RAM);
    상기 CPU에의해 학습물과 관련된 내용을 제어받게 되며 상기 학습물의 학습내용과 관련된 내용이 기 저장된 ROM;
    상기 인식펜에의해 읽혀지는 내용을 CPU측으로 입력하기 위해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내용과 관련하여 ROM에 저장된 학습내용을 일정 모드로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상기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2개의 판형상 부재들을 힌지를 통해 접었다 펼칠수 있게 연결한 접이식이며, 그 내 측에는 학습물 및 인식펜을 놓을수 있게한 지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KR2020020018307U 2002-06-17 2002-06-17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KR200291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307U KR200291792Y1 (ko) 2002-06-17 2002-06-17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307U KR200291792Y1 (ko) 2002-06-17 2002-06-17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688A Division KR20030096693A (ko) 2002-06-17 2002-06-17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792Y1 true KR200291792Y1 (ko) 2002-10-11

Family

ID=7312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307U KR200291792Y1 (ko) 2002-06-17 2002-06-17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7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694B1 (ko) * 2008-07-29 2009-02-19 (주)시누스 무선신호를 이용한 범용 유아교육기기
WO2010013898A2 (ko) * 2008-07-29 2010-02-04 주식회사 시누스 학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694B1 (ko) * 2008-07-29 2009-02-19 (주)시누스 무선신호를 이용한 범용 유아교육기기
WO2010013898A2 (ko) * 2008-07-29 2010-02-04 주식회사 시누스 학습장치
WO2010013898A3 (ko) * 2008-07-29 2010-04-22 주식회사 시누스 학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0385B2 (en) Write on interactive apparatus and method
EP2369563A2 (en) Manipulable Interactive Devices
US20040076935A1 (en) Method for teaching linguistics
US10607502B2 (en) Phonics exploration toy
US20050095568A1 (en) Print media apparatus using cards
KR200291792Y1 (ko)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Kader et al. Developing a self-learning braille kit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KR20030096693A (ko)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EP1509855A1 (en) Method for teaching linguistics
KR200291791Y1 (ko)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KR200234062Y1 (ko) 소리 발생용 책
KR100881694B1 (ko) 무선신호를 이용한 범용 유아교육기기
KR200188721Y1 (ko) 입체형 그림그리기 학습완구
KR19990079730A (ko) 대화식 음성 교습구
KR200287159Y1 (ko) 유아용 학습기
AU2005219967A1 (en) Interactive electronic learning system with tactile objects
CA2484917C (en) An electronic learning device for an interactive multi-sensory reading system
KR101407594B1 (ko) 교육용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이의 콘텐츠 제공 방법
KR0130510Y1 (ko) 페이지 감지식 음향도서
KR20030081893A (ko) 유아용 학습기 및 그 학습 방법
WO2006073255A1 (en) Character learn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for preschool child
KR101991158B1 (ko) 정전용량 터치센서가 내장된 사운드 북
JP2023122177A (ja) 点字学習ツール
KR200279397Y1 (ko) 문자학습판
KR20100070543A (ko) 유아용 학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