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159Y1 - 유아용 학습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학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159Y1
KR200287159Y1 KR2020020011265U KR20020011265U KR200287159Y1 KR 200287159 Y1 KR200287159 Y1 KR 200287159Y1 KR 2020020011265 U KR2020020011265 U KR 2020020011265U KR 20020011265 U KR20020011265 U KR 20020011265U KR 200287159 Y1 KR200287159 Y1 KR 200287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voice
board
learning board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알텍
Priority to KR2020020011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159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저장된 문자나 숫자 등 학습 내용에 관련된 음성이 출력되고 이에 해당하는 문자나 숫자 등을 유아가 바르게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아의 문자나 숫자 등의 습득 여부를 확인하면서 학습을 진행하여 학습 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유연성 있는 학습판에 의해 보관 및 취급도 간편한 유아용 학습기 및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르면, 학습판이, 상기 다수의 학습 내용이 인쇄된 인쇄지의 뒷면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지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에 도전성 재질의 접속부들을 구비하는 유연한 재질의 상부 접속판과, 상기 상부 접속판의 뒷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접속판의 접속부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에 도전성 재질의 접속부들을 구비하는 유연한 재질의 하부 접속판 및, 상기 상부 접속판의 뒷면과 상기 하부 접속판의 앞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접속판의 접속부들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에 관통공들이 형성된 유연한 재질의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지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을 누르면, 상기 쿠션 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상부 및 하부 접속판의 접속부가 접속되면서 상기 본체에서 인쇄지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을 출력하도록 연결부를 통해 회로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아용 학습기{Learning apparatus for kid}
이 고안은 유아가 문자나 숫자 등 학습판에 표현된 학습 내용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가 본체를 통해 출력되면서 학습 내용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로 선택되어 출력되는 음성에 맞도록 유아가 유연성을 갖는 학습판의 학습 내용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여부에 따라 유아의 해당 학습 내용의 습득 상태를 파악하여 차후 학습에 적용함으로써, 유아에게 문자나 숫자 등의 학습 내용에 흥미를 유발시켜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관 및취급도 간편한 유아용 학습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유아용 학습판을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종래의 유아용 학습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 놓고 사용하고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제작된 종래 유아용 학습판(1)은, 그 정면에 문자나 숫자 등이 기재되어 있고, 그에 해당하는 그림 등도 함께 그려져 있어 유아의 시선을 집중시키면서 문자나 숫자 등을 습득하도록 하는 학습 도구이다.
이러한 종래 유아용 학습판(1)은, 벽에 부착시키거나 바닥에 펼쳐 놓은 상태에서 학습 진행자의 음성이나 지적에 대해 유아가 대답하거나 따라하는 방식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학습을 받고 있는 유아에게는 일시적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단순히 시각적인 부분에만 의존하여 쉽게 실증을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유아용 학습판(1)의 일시적인 흥미만을 유발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동시에 효과적인 학습 기능을 갖는 유아용 학습기가 개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카드식 입력 수단을 갖고 있다. 즉, 카드(2)가 갖고 있는 정보를 본체(5)에 입력하면, 본체(5)에 포함된 음성출력수단(9)을 통해 카드(2)가 갖고 있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카드(2)가 구겨지거나, 카드(2)에 정보가 수록된 마그네틱부(3)가 강한 자기장 내에 위치하면 카드(2)가 갖고 있던 정보를 본체(5)가 읽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아에게 여러 문자나 숫자 등을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카드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이런 많은 카드를 관리 및 보관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이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장된 문자나 숫자 등 학습 내용에 관련된 음성이 출력되고 이에 해당하는 문자나 숫자 등을 유아가 바르게 선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아의 문자나 숫자등의 습득 여부를 확인하면서 학습을 진행하여 학습 능력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유연성 있는 학습판에 의해 보관 및 취급도 간편한 유아용 학습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 내용이 표현된 학습판을 교체 가능하게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유아에게 여러 학습 내용을 제공하는 유아용 학습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유아용 학습판을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종래 유아용 학습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 은 이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는 도 3 의 학습기 중, 학습판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a 및 도 5b 는 도 4 의 학습판 중, 투명한 PET 필름 시트의 상부 접속판과 하부 접속판을 도시한 것이고,
도 6 은 도 3 의 학습기 중, 본체의 구성을 중심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 은 도 6 의 본체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 은 이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중, 본체의 구성을 중심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10' : 학습판 11 : 기능키
21 : 인쇄지 22 : 상부 접속판
23 : 쿠션부재 24 : 하부 접속판
25 : 배면지 26 : 투명 필름
31 : 접속부 32 : 연결부
33 : 관통공 35 : 입력선
40 : PCB 43 : 핀
49 : 학습판 식별부 50, 50' : 본체
51 : 신호처리부 53, 53a, 53b : MPU
55, 55a, 55b : 메모리 57 : 입력부
59 : 출력부 70 : 학습판 판독부
100, 100' : 학습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르면, 다수의 학습 내용이 표현된 학습판과, 상기 학습판으로부터 선택된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을 출력하는 본체로 이루어진 유아용 학습기에 있어서, 상기 학습판은, 상기 다수의 학습 내용이 인쇄된 인쇄지의 뒷면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지의 학습 내용에대응하는 일정 지점에 도전성 재질의 접속부들을 구비하는 유연한 재질의 상부 접속판과, 상기 상부 접속판의 뒷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접속판의 접속부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에 도전성 재질의 접속부들을 구비하는 유연한 재질의 하부 접속판 및, 상기 상부 접속판의 뒷면과 상기 하부 접속판의 앞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접속판의 접속부들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에 관통공들이 형성된 유연한 재질의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들은, 상부 접속판의 뒷면과 하부 접속판의 앞면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면서 도전성 재질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인쇄지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을 누르면, 상기 쿠션 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상부 및 하부 접속판의 접속부가 접속되면서 상기 본체에서 인쇄지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을 출력하도록 연결부를 통해 회로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유연한 재질의 상부 및 하부 접속판과 쿠션 부재를 학습판에 적용하는 것으로 하는데, 이러한 유연의 정도는 펼쳐 놓고 사용하고 접어서 보관 등의 경우에도 학습판 고유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판의 도전성 재질의 접속부 및 연결부가, 얇게 도포된 탄소 분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가, 상기 학습판의 학습 내용에 관한 음성과 멜로디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과 멜로디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학습판으로부터 입력되는 학습 내용에 관한 신호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임의로 선택된 학습 내용에 관한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신호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MPU ; Micro Process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가, 별도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입력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판이, 학습판 자체를 식별하는 학습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학습판 식별부를 판독하는 학습판 판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학습판을 교체시키는 경우, 상기 학습판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학습판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이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면에서, 도 3 은 이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 는 도 3 의 학습기 중, 학습판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a 및 도 5b 는 도 4 의 학습판 중, 투명한 PET 필름 시트의 상부 접속판과 하부 접속판을 도시한 것이고, 도 6 은 도 3 의 학습기 중, 본체의 구성을 중심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 은 도 6 의 본체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100)는, 문자나 숫자 등의 학습 내용이 다수 인쇄된 학습판(10)과, 학습판(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학습판(1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본체(50)를 포함한다.
학습판(10)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에는 자음과 모음(이하에서는 '문자'라고 함) 및 숫자 그리고 기능키(11)가 인쇄된 인쇄지(21)가 위치한다.
기능키(11)는, 누르기 기능, 따라하기 기능 및 맞춰보기 기능을 구비한다. 누르기 기능은, 학습판(10)에 인쇄된 누르기 키(11a)를 눌러 설정하고, 유아가 학습판(10)에서 문자나 숫자 등에 해당하는 누름부(12)를 눌러 선택하면 본체(50)에서 그에 해당하는 음성 또는 음성이나 멜로디가 출력된다.
또한, 따라하기 기능은 학습판(10)에 인쇄된 따라하기 키(11b)를 눌러 설정하고, 학습판(10)에 인쇄된 문자나 숫자 등에 대한 음성이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유아가 그 출력된 음성을 따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또한, 후술하는 이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100, 100')에서 구현되는 '맞춰보기' 기능도 구비한다.
인쇄지(21)의 뒷면에는 상부 접속판(22)이 위치하는데, 상부 접속판(22)은 유연한 재질의 투명한 PET 필름 시트에 인쇄지(21)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인 누름부(12)에 얇게 도포된 탄소 분말로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속부(31)들을 구비한다.
상부 접속판(22)의 뒷면에는 하부 접속판(24)이 위치하는데, 하부 접속판(24)도 유연한 재질의 투명한 PET 필름 시트에 상부 접속판(22)의 접속부(31)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에 얇게 도포된 탄소 분말로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접속부(31)들을 구비한다.
상부 접속판(22)의 뒷면과 상기 하부 접속판(24)의 앞면 사이에는 쿠션 부재(23)가 위치하는데, 쿠션 부재(23)는 유연한 재질의 발포성 스펀지에 상부 및 하부 접속판(22, 24)의 접속부(31)들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에 관통공(33)들이 형성된다.
하부 접속판(24)의 뒷면에는 배면지(25)가 위치한다.
그리고, 이런 인쇄지(21)의 앞면과 배면지(25)의 뒷면에 위치하는 두 장의 투명한 필름 시트(26)가 그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됨으로써, 두 필름 시트(26)의 내부에는 인쇄지(21), 상부 접속판(22), 쿠션부재(23), 하부 접속판(24) 및 배면지(25)가 적층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밖에서 보이는 것은 투명한 필름 시트(26)에 감싸여진 인쇄지(21)와 배면지(25)만 보이며 내부에 위치한 상부 및 하부 접속판(22, 24)과 쿠션 부재(23)는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지(21)의 문자나 숫자등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투명한 PET 필름 시트에 도전성 재질의 탄소 분말이 얇게 도포된 상부 및 하부 접속판(22, 24)의 접속부(31)들은, 상부 접속판(22)의 뒷면과 하부 접속판(24)의 앞면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면서 얇게 도포된 탄소 분말로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연결부(32)에 의해 연결되어 회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유아가 학습판(10)의 문자나 숫자 등을 선택하여 누르면 쿠션부재(23)에 형성된 관통공(33)을 통해 상부 및 하부 접속판(22, 24)의 접속부(31)가 접하게 되고, 유아가 누르는 것을 해제하면 쿠션 부재(23)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접속판(22, 24)의 접속부(31)는 이격되어 떨어져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부 접속판(22) 및 하부 접속판(24)에 형성된 다수 개의 접속부(31) 중에서 유아가 선택한 문자나 숫자에 대응하는 접속부(31)가 접속되면, 본체(50)에서는 그 접속부(31)의 접속에 의해 형성되는 회로에 따른 코드를 인식하여 유아가 선택한 문자나 숫자 등을 인식한다.
즉, 인쇄지(21)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인 누름부(12)를 누르면, 상기 쿠션 부재(23)의 관통공(33)을 통해 상부 및 하부 접속판(22, 24)의 접속부(31)가 접속되면서 본체(50)에서 인쇄지(21)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을 출력하도록 연결부(32)를 통해 회로를 형성시킨다.
이때, 유아가 학습판(10)의 문자나 숫자 이외의 다른 부분을 누르게 되면 쿠션 부재(23)가 상부 및 하부 접속판(22, 24)의 사이에 위치하여 탄소 분말의 접촉을 차단하여 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입력 방법에 따른 한 예로서, 학습판의 한 문자인 '바'를 유아가 선택하였을 때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지(21)에 '바'의 위치가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상부 및 하부 접속판(22, 24)의 접속부(31a, 31x)와 대응하는 지점이므로, 인쇄지(21)의 '바'를 눌렀을 때 상부 접속판(22)과 하부 접속판(24)의 두 접속부(31a, 31x)가 접속되고, 이는 상부 접속판(22)의 입력선(35b)과 하부 접속판(24)의 입력선(35??)이 연결되어 본체(50)에서는 두 입력선(35b, 35??)이 회로를 형성하면서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번호'8'을 인식하게 된다.
한편,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판(10)에는 본체(50)방향으로 연장된 입력선(35)이 형성되고, 이런 입력선(35)과 본체(50)가 접속된다.
그리고, 본체(50)는, 학습판(10)의 학습 내용에 관한 음성과 멜로디를 저장하는 메모리(55)와, 메모리(55)에 저장된 음성과 멜로디를 출력하는 출력부(59)와, 학습판(10)으로부터 입력되는 학습 내용에 관한 신호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51) 및, 임의로 선택된 학습 내용에 관한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상기 메모리(55)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출력부(59)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51)를 통해 처리된 신호가 상기 출력부(59)를 통해 출력된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상기 메모리(55)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출력부(59)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MPU ; Micro Processing Unit)(53)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MPU(53)에는 엄마의 목소리 등 유아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는 특수한 음성이나 멜로디를 입력하여 메모리(55)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부(57)가 연결된다.
아래의 표 1은 유아가 선택한 문자나 숫자 등에 따라 MPU(53)에서 인식하는 코드를 한 예시적으로 설정한 것이며, 이런 표 1은 어디까지나 MPU(53)의 인식코드에 대한 한 예로서 나타낸 것이지, 인식 코드를 표 1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입력부(57)를 통해 입력되어 다른 한 번호로 저장된 상태에서 출력부(59)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이 표 1에 표기된 음 이외에 다른 음성이 나올 수도 있다.
그 한 예로서, 유아의 부모가 입력 저장해둔 '어! 아닌데, 다시 해 보세요', '아니예요, 다시 해보세요', '아니, 아니, 이젠 다른 글자를 맞춰보세요', '딩동댕, 맞췄네', '와~ 맞았어요', '짝짝(박수소리), 참 잘했어요' 등의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녹음 저장하여 유아가 선택한 문자와 숫자가 맞았을 때에는 부모의 목소리로 칭찬을, 틀렸을 때에는 틀렸음을 유아에게 틀렸음을 인식시키고 다시 시도하도록 유도한다.
한편,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누르기 기능과 따라하기 기능 및 맞춰보기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바, 이미 설명된 누르기 기능과 따라하기 기능 이외의 '맞춰보기' 기능의 작동 관계를 도 7 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온 하여 본 고안의 학습기(100)를 작동시키면, 학습 내용이 한글인 경우에는 "재미있는 한글 놀이를 시작합니다." 라는 멘트가 먼저 출력된다. 이후에, 학습을 위한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할 때까지 누르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학습판(10)의 학습 내용중 어느 하나의 누름부(12)를 누르면 해당 학습 내용에 관련된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가 출력되도록 한다.
누르기 기능을 수행하던 중, 유아 또는 부모가 학습판(10)에 인쇄된 맞춰보기 키(11c)를 눌러 맞춰보기 기능을 선택하게 되면, 신호 처리부(51)는 MPU(53)에서 맞춰보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MPU(53)에 전송한다.
MPU(53)에서는, 맞춰보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신호 처리부(53)로부터 전송 받으면, 이전 학습시 메모리(55)에 학습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S701), 학습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학습하도록 출력부(59)를 통해 출력한다.(S702)
MPU(53)에서는, 학습 내용이 저장되어 있어 다시 학습한 이후 또는 학습 내용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카오스 난수발생 이론에 의해 표 1에 정해진 음성의 코드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한 후 메모리(55)로부터 그 학습 내용에 관한 음성을 출력부(59)를 통해 출력한다(S703).
그리고, MPU(53)에서는, 유아가 출력된 음성과 동일한 학습 내용이 학습판(10)을 통해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S704).
출력된 학습 내용과 입력된 학습 내용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입력할 수 있는 회수를 제한하기 위해 i=0 으로 설정한 후(S705) i=i+1 에 의해 다시입력하는 회수를 카운트한다.(S706)
i가 일정 회수를 넘어서고 있는가를 판단하여(S707) 넘어서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의 학습 내용을 유아가 습득하지 못하였으니 다시 입력하라는 의미의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출력한다(S708).
이 때 인식하지 못하였으니 다시 입력하라는 의미로 출력되는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로는 부모의 육성으로 녹음된 특수 음성(그 예로서, '어! 아닌데, 다시 해 보세요') 또는 멜로디로 1차 틀렸음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유아가 출력된 음성과 동일한 학습 내용이 학습판(10)을 통해 다시 입력되는가를 판단하여(S709) 출력된 학습 내용과 입력된 학습 내용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i=i+1 에 의해 다시 입력하는 회수를 하나 늘려 카운트한다.(S706)
i가 일정 회수를 넘어서고 있는가를 판단하여(S707) 넘어서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의 학습 내용을 유아가 습득하지 못하였으니 다시 입력하라는 의미의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출력(S708)하는 것을 i가 일정 회수를 넘어서고 있다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한다.(S707).
그리고, 상기 다시 입력하는 회수가 미리 설정한 회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상기 학습내용을 유아가 습득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하여 상기 학습 내용의 코드를 메모리(55)에 저장한다(S710).
한편, 유아가 입력한 학습 내용이 출력된 음성과 일치하였을 경우에는, 학습 내용을 습득하였다는 의미의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출력부(59)를 통해 출력한다(S711).
그리고, 상기 S709 와 S710 의 단계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학습 내용을 제외한 다른 학습 내용 중에 카오스 난수 발생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출력하고(S712) 상기에서 출력된 음성에 의해 맞춰보기 기능을 계속 수행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서의 유아용 학습기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유아용 학습기와는 학습판(10)을 본체에 대해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과, 교체되는 각 학습판들에 해당하는 각각의 MPU들이 본체에 수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물론, 제 1 실시예에서의 유아용 학습기와 동일하게 하나의 MPU 에 의해 교체되는 각 학습판들에 해당하는 학습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도 8 은 학습판을 교체할 수 있는 이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의 본체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의 학습판(10')들은, 예를 들면, 국문 또는 영문 등으로 구분되며, 본체(50')는 국문 또는 영문에 따라 각각의 MPU(53a, 53b)와 메모리(55a, 55b)를 각각 수용하고 있다. 또한, 학습판(10')에 인쇄된 문자가 영문인지 또는 국문인지를 나타내기 위해 각 학습판(10')에는 식별부(49)가 설치된다.
이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100')는, 학습판(10')의 원활한 교체를 위해 학습판(10')에 형성된 입력선(제 1 실시예의 도 6 에서의 35)을PCB(printed circuit board)(40)의 핀(43)으로 형성하는 카드 삽입식으로서, 본체(50')와 학습판(10')의 핀(43)이 체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본체(50')에는 이런 학습판(10')의 핀(43)이 삽입되도록 슬릿(도면에 도시안됨)이 형성된다.
따라서, 학습판(10')의 핀(43)이 형성된 PCB(40)가 본체(50')의 슬릿에 삽입되면, 본체(50')의 학습판 판독부(70)에서는 삽입된 학습판(10')의 식별부(49)를 감지하여 삽입된 학습판(10')이 영문인지 국문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선택된 학습 내용에 따라 복수의 메모리(55a, 55b)들과 MPU(53a, 53b)들 중에서 선택된 메모리와 MPU에 의해 학습을 진행하며, 이후에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유아용 학습기(100)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이와 같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50')의 슬릿에 학습판(10')의 핀(43)을 삽입하면, 학습판(10')의 핀(43)과 슬릿의 안쪽에 위치한 핀과 접속된다.
그리고, 학습판 판독부(70)에서는, 학습판(10')의 식별부(49)와 접속되면서 식별부(49)에 저장된 정보를 인식하고, 학습판 판독부(70)에서는 다수의 MPU(53a, 53b)와 메모리(55a, 55b)중에서 식별부(49)에 저장된 정보에 해당하는 MPU(53a)와 메모리(55a)를 선택한다. 즉, 식별부(49)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학습판(10')에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MPU(53a) 및 메모리(55a)를 선택하여 유아의 학습이 수행된다.
한편,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학습기(100, 100')에는 절전모드 기능을 갖고 있어, 본체(50, 50')에서는 30초~1분 가량의 시간동안 학습판(10, 10')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전환되어 본체(50, 5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감소시킨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유아용 학습기에 의하면, 유아가 문자나 숫자 등을 습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맞춰보기 기능으로 유아가 습득하지 못한 문자나 숫자 등을 파악하여 집중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유아의 문자나 숫자의 습득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의 유아용 학습기는 유연한 학습판을 사용하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고안의 유아용 학습기에 의하면, 여러 학습 내용이 표현된 학습판을 교체하면서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유아에게 다양한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이 고안의 유아용 학습기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하는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지 이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다수의 학습 내용이 표현된 학습판과, 상기 학습판으로부터 선택된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을 출력하는 본체로 이루어진 유아용 학습기에 있어서,
    상기 학습판은,
    상기 다수의 학습 내용이 인쇄된 인쇄지의 뒷면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지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에 도전성 재질의 접속부들을 구비하는 유연한 재질의 상부 접속판과,
    상기 상부 접속판의 뒷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접속판의 접속부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에 도전성 재질의 접속부들을 구비하는 유연한 재질의 하부 접속판 및,
    상기 상부 접속판의 뒷면과 상기 하부 접속판의 앞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접속판의 접속부들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에 관통공들이 형성된 유연한 재질의 쿠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들은, 상부 접속판의 뒷면과 하부 접속판의 앞면에 각각 대응하여 위치하면서 도전성 재질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인쇄지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일정 지점을 누르면, 상기 쿠션 부재의 관통공을 통해 상부 및 하부 접속판의 접속부가 접속되면서 상기 본체에서 인쇄지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을 출력하도록 연결부를 통해 회로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판의 도전성 재질의 접속부 및 연결부는, 얇게 도포된 탄소 분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학습판의 학습 내용에 관한 음성과 멜로디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과 멜로디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학습판으로부터 입력되는 학습 내용에 관한 신호를 인식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임의로 선택된 학습 내용에 관한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신호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신호가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MPU ; Micro Process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별도의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음성 또는 음성과 멜로디를 입력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판은, 학습판 자체를 식별하는 학습판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학습판 식별부를 판독하는 학습판 판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학습판을 교체시키는 경우, 상기 학습판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학습판의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내용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학습기.
KR2020020011265U 2002-04-15 2002-04-15 유아용 학습기 KR200287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265U KR200287159Y1 (ko) 2002-04-15 2002-04-15 유아용 학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265U KR200287159Y1 (ko) 2002-04-15 2002-04-15 유아용 학습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340A Division KR20030081893A (ko) 2002-04-15 2002-04-15 유아용 학습기 및 그 학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159Y1 true KR200287159Y1 (ko) 2002-08-30

Family

ID=7312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265U KR200287159Y1 (ko) 2002-04-15 2002-04-15 유아용 학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1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78Y1 (ko) * 2010-01-12 2012-06-22 유상업 다기능 유아용 학습기기
KR20180049529A (ko) * 2016-11-03 2018-05-11 서문환 이미지 시트의 교체가 가능한 공부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78Y1 (ko) * 2010-01-12 2012-06-22 유상업 다기능 유아용 학습기기
KR20180049529A (ko) * 2016-11-03 2018-05-11 서문환 이미지 시트의 교체가 가능한 공부상
WO2018084432A1 (ko) * 2016-11-03 2018-05-11 서문환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KR101944590B1 (ko) * 2016-11-03 2019-01-31 서문환 이미지 시트의 교체가 가능한 공부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3861A (en) Talking phonics interactive learning device
US5511980A (en) Talking phonics interactive learning device
US4425099A (en) Educational aid for use with workbook
EP0310766B1 (en) Electronic instructional apparatus
EP2053577A1 (en) Lear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5556283A (en) Card type of electronic learning aid/teaching apparatus
US20030162162A1 (en) Write on interactive apparatus and method
KR102049030B1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218012B1 (ko) 큐브 블록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US20050208458A1 (en) Gaming apparatus including platform
CN201327680Y (zh) 语言学习游戏装置和游戏板
US3541706A (en) Writing and reading device for the blin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127093B1 (ko) Iot 모듈형 복합교육 놀이가구 서비스를 기반으로한 스마트 블록 놀이 학습장치
KR200287159Y1 (ko) 유아용 학습기
KR20030081893A (ko) 유아용 학습기 및 그 학습 방법
US20150356882A1 (en) Learning system using nfc chart
US20080113321A1 (en) Interactive Electronic Learning System With Tactile Objects
KR100491947B1 (ko) 문자학습장치
KR101465670B1 (ko) Nfc를 이용한 학습차트를 이용하는 학습 시스템
KR19990079730A (ko) 대화식 음성 교습구
JP2023122177A (ja) 点字学習ツール
KR200193410Y1 (ko) 유희를 겸한 유아 교육용 학습기구
KR950010288Y1 (ko) 블럭/도서의 음향 학습구
RU75321U1 (ru) Говорящая книга-игра
KR200291792Y1 (ko)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