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778B1 - 학습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학습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778B1
KR100807778B1 KR1020070007757A KR20070007757A KR100807778B1 KR 100807778 B1 KR100807778 B1 KR 100807778B1 KR 1020070007757 A KR1020070007757 A KR 1020070007757A KR 20070007757 A KR20070007757 A KR 20070007757A KR 100807778 B1 KR100807778 B1 KR 100807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electronic pen
index
content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식
Original Assignee
(주)셈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셈투유 filed Critical (주)셈투유
Priority to KR102007000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가 직접 손에 쥐고 사용하는 전자펜에 연결된 데이터선을 제거시킴으로써, 상기 데이터선에 의한 학습 방해를 방지할 수 있는 학습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인식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인식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표시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펜 또는 본체는 알파(α)파 및 세타(θ)파 유도음원을 발생하는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음원 발생부와; 상기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음원 발생부에서 발생한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전자펜, 학습 보조, 인덱스, 광센서, 이동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학습 보조 장치{Supplementary apparatus to learning}
도 1은 종래의 학습 보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전자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전자펜 121...광센서
130...본체 131...스피커
133...디스플레이부 123...인식부
125...변환부 127...송신부
135...수신부 220, 230...이동 통신 단말기
132...중앙처리장치 134...메모리부
본 발명은 학습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교과서, 참고서 등과 같은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인식하여 학습자에게 그 내용을 표시하는 학습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책과 같은 소정의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인식하여 학습자에게 표시하는 학습 보조 장치는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외국어의 학습시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외국어 학습에는 청취가 필수적인데, 종래 학습 방식에서는 테이프 등에서 나오는 음성에 맞춰서 교재를 보는 방식을 취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학습자가 숙지하지 못했음에도 해당 내용이 지나가버리는 경우가 많아 학습자는 놓친 부분을 반복해서 청취하여 교재의 내용을 숙지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학습자의 현재 레벨을 고려하지 않은 방식으로서, 학습 능률 저하, 더 나아가서는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저하되는 악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른 방식이 제시되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후 설명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새롭게 제시된 방식은 학습자가 소정의 기기로 교재의 해당 부분은 선택하면 그에 대한 음성이 나오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학습자는 자신의 진도에 맞춰서 음성 설명을 들을 수 있으며, 교재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하면 바로 해당 음성 설명이 나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에 맞게 학습을 진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학습 능률 상승 및 더 나아가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게 된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는 이러한 방식의 학습 보조 장치는 학습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를 종래의 학습 보조 장치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자.
종래의 학습 보조 장치는 학습 대상물(10)의 내용을 인식하는 전자펜(20)과, 상기 전자펜에서 인식된 내용을 전송받아 스피커(31)로, 또는 디스플레이(33)로 출력하는 본체(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학습 대상물(10)은 학습 보조 장치의 사용을 위하여 별도의 인덱스(index)(1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전자펜(20)에서 인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자펜(20)은 상기 학습 대상물(10)에 형성되어 있는 인덱스(11)를 광학적으로 인식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끝단에 광센서(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전자펜(20)에서 인식된 내용을 전송받아 학습자에게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인식된 내용을 음성 출력(예: 외국어에 대한 발음 출력)하는 스피커(31) 및 인식된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예: 외국어를 한글 번역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3)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학습 보조 장치를 살펴보면, 상기 전자펜(20)과 본 체(30)가 유선으로 형성된 데이터선(40)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데이터선(40)은 상기 전자펜(20)에서 인식된 내용을 상기 본체(30)에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데이터선(40)에 의하여 학습자는 학습에 있어서 불편을 느끼게 된다.
일정 공간의 책상에서 이어폰을 사용하여 학습하거나, 컴퓨터에서 마우스로 작업해본 사람들이라면, 상기 이어폰(연결 대상을 책상이 아닌 곳에 배치 가능)과 마우스(주로 책상의 외곽에 배치)의 데이터선이 작업 반경을 직접 침해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에 방해됨을 느껴봤을 것이다.
학습 보조 장치에서는 그 정도가 더 심한데, 이는 상기 전자펜(20) 및 본체(30)가 학습자의 학습 반경 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전자펜(20)은 학습자가 직접 손에 쥐는 수단이 되고, 상기 본체(30)는 학습자가 그 출력을 확인해야하는 수단이 되기 때문에, 책상에 같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에 추가로, 책과 같은 학습 대상물(10)도 동시에 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데이터선(40)이 꼬이거나, 상기 학습 대상물에 걸리거나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러한 현상은 학습 중인 학습자의 집중을 급감시키는 요소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학습자의 학습을 방해하지 않는 학습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학습 보조 장치의 휴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언제 어디서나 학습 보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학습 보조 장치의 보급화를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는,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인식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인식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상기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표시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펜 또는 본체는 알파(α)파 및 세타(θ)파 유도음원을 발생하는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음원 발생부와; 상기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음원 발생부에서 발생한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펜은,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데이터화하는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전송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와 동시에 상기 수신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인식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에 대하여 학습 대상물의 언어와 다른 언어로 번역하여 표시하는 번역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펜 또는 본체는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전자펜 또는 본체는 MP3 재생부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펜은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자펜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부분이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자펜은 광센서를 이용하여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은 또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인식하는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인식된 내용을 학습자가 이용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본체가 일체로 형성되는 학습 보조 장치를 다른 특징으로 하며, 이때의 상기 학습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는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인식하는 전자펜(120); 및 상기 전자펜(120)으로부터 인식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학습자가 이용가능하도록 상기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표시하는 본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자펜(12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대상물(110)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인식하는 인식부(123)와, 상기 인식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데이터화하는 변환부(125) 및 상기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12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식부(123)는 상기 학습 대상물(110)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인식하는 요소로, 학습 대상물의 문자를 그대로 인식할 수도 있겠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학습 대상물(110)에 별도로 마련된 바코드나 기호와 같은 인덱스(index)(111)를 통하여 내용을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인덱스는 상기 인식부(123)가 광센서로 이루어진 경우를 주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 인식부(123)는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광센서(121)는 상기 학습 대상물(110)의 인덱스에 근접해야 할 것이므로, 도 2 및 3에서와 같이 전자펜(120)의 끝단에 형성이 된다.
상기 변환부(125)는 상기 인식부(123)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해독하여 디지털 기기에서 사용이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요소로서, 디코더(decod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인식부(123)에서 상기 학습대상물의 내용(문자)을 그대로 인식할 경우, 상기 변환부(125)는 상기 인식된 해당 문자 데이타를 디지털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타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인식부(123)에서 상기 인덱스를 인식할 경우, 상기 변환부(125)는 상기 인식된 인덱스를 디지털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타로 변환한다.
상기 송신부(127)는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본체(130)로 무선으로 송신하게 되며, 이때의 무선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필요한 경우 송신할 신호를 변조(變調)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자펜(120)은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는 마이크로폰(미 도시)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된 학습자의 음성 신호는 상기 인식부(123)에서 인식된 학습 대상물(110)의 내용과 함께 데이터화되어 송신된다.
또한, 상기 학습자의 음성을 상기 전자펜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펜에는 스피커(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음성 신호의 처리를 위한 코덱(codec)과 앰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펜(120)은 MP3 재생부(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펜(120)은 무선으로 형성이 되고, 그 규모가 휴대가 가능한 정도일 것이므로, MP3 재생부를 포함시켜 학습자가 학습 외의 시간에는 MP3 재생기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펜(120)을 평상시에도 소지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학습 도구의 항시 소지는 추후 학습 능률 향상에 도움이 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은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또한, MP3 재생부는 MP3 데이터가 저장될 메모리가 구비될 것이므로, 상기 메모리에 음악뿐만 아니라 각종 학습 관련 음성을 저장시켜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앞에서 언급한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된 학습자의 음성을 본체가 아니라 전자펜을 통하여 본인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녹음)할 수도 있어 학습 장소가 아닌 곳에서도 학습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30)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자펜(120)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전송받는 수신부(135)와; 상기 수신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3); 및 상기 수신된 내용을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스피커(13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신부(135)는 상기 전자펜의 송신부(127)에서 송신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받는 요소로서, 필요한 경우 복조기(미도시)를 배치하여 전송된 신호를 복조(複調)하게 된다.
상기 스피커(131)와 디스플레이부(133)는 어느 하나만, 또는 모두 배치가 가능하며, 상기 스피커(131)는 상기 수신부(135)로 전송된 신호 중 음성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로 출력하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33)는 화상(영상)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외부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스피커(131) 및 디스플레이부(133)가 함께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펜에서 인식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동시에 표시, 즉 상기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에서 동시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용을 변화시켜 출력할 수도 있다. 예로써, 별도의 번역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인식된 내용에 대하여 다른 언어로 번역하여 출력할 수 있는데, 학습자가 영어 단어의 인식을 요구할 경우, 해당 영어 단어에 대한 뜻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33)로 출력이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스피커(131)로는 해당 발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종래 학습 보조 장치에서 스피커와 디스플레이부가 별도로 동작하는 것에 대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로도 다른 언어로 번역하여 출력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커(131)는 상기 본체의 규모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성능 및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별도의 코덱(codec) 및 앰프가 설치되어야 할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어폰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3)는 일반적으로 적은 공간에 설치될 것이므로 LC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펜(120)에서 학습 내용의 인덱스를 인식하여 송신하는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30)에 중앙처리장치(CPU)(132) 및 메모리(134)를 더 구비한다. 즉, 상기 메모리(134)에는 상기 학습 대상물의 각 인덱스에 상응하는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화상 및 음성 신호로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32)는 상기 수신부(135)를 통해 상기 전자펜(120)에서 인식된 인덱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인덱스에 대응하는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상기 메모리(134)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3)로 출력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음성 신호는 상기 스피커(131)로 출력하여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130)는 상기 전자펜(120)에서와 마찬가지로 MP3 재생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펜(120)에 MP3 재생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중복이 되므로, 그 필요성이 감소되나, 디자인 및 사이즈(규모)가 중시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게 되는 상기 전자펜의 소형화를 위해 MP3 재생부를 상기 전자펜에 구비시키지 않을 수도 있는바, 이런 경우에 특히 적합할 것이다.
물론, 상기 본체(130)는 상기 전자펜(120)과 달리 휴대성에 제한을 받기는 하나, 그 기능에 있어서는 상기 전자펜에 구비되는 MP3 재생기와 동일하다.
부연 설명하자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자펜이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인식하여 음성을 재생할 때 음성에 해당하는 내용을 표시하고 MP3 재생기로 사용될 때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제목, 가수의 이름, 쟝르, 전송율 등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자펜이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인식하는 경우 해당 내용에 대한 번역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도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대상물에서 '사과'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는 'apple'과 같은 번역된 내용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번역 대상은 일본어, 중국어 등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동시에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피커와 연동하여 동작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펜에도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실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더욱이 이 경우는 후술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시 그 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상기 본체(130)는 상기 전자펜(120)과 마찬가지로 마이크로폰(미도시)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성 및 기능은 전자펜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전자펜(120) 또는 본체(130)는 알파(α)파 및 세타(θ)파 유도 음원 발생부(미도시)와, 상기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 효율의 향상을 위한 것으로, 참고로,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 음원은 음원 청취자(학습자)의 두정엽과 후두엽 부위의 자발 뇌파(EEG) 성분 중 인간이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일 때 가장 큰 진폭을 보이는 알파파 및 세타파 뇌파성분을 유도하는 특수 음원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파파 유도 음원을 8~12Hz의 알파파 스펙트럼을 보유한 사인파, 백색잡음, 자연음, 배경음악, 혼합음원 등으로 구성하여, 학습자의 좌우측 제8 뇌신경 경로를 통해 두정엽과 후두엽을 자극함으로써 자발뇌파의 알파파 성분을 증폭시켜 심신을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로 유도하도록 한다.
실질적으로는 모노, 스테레오, 배경음악을 포함한 스테레오 방식으로 학습자 에게 제공되며, 학습 전 10분에서 1시간 정도 청취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는 이미 배치되어 있는 스피커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유도 음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주변 소음의 유입이 적은 이어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의 요점은 학습자가 직접 손에 쥐고 사용하는 전자펜에서 불편을 초래하는 데이터선을 제거하는 것인 바, 이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출 가능하다. 이하 몇가지 예를 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220)가 전자펜으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동 통신 단말기(220)에 전자펜의 구성을 포함시킨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정 외측 부위에 인식부로서 광센서(121)를 배치하였다.
이동 통신 단말기(220)는 많은 사람들이 휴대하는 기기이므로, 이동 통신 단말기(220)내에 전자펜의 구성이 포함되면, 별도의 전자펜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20)에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는 물론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하지 않고 소프트 웨어만 보안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20)로 상기 본체(130)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20)를 전자펜(120)의 기능으로만 사용할 경우, 상기 본체(13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내부에 상기 본체와 대응되는 무선 수단(송신부)을 구비하여야 하며, 이와 반대로 상기 본체에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수신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와 반대로 이동 통신 단말기(230)가 본체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 학습 보조 장치 본체의 구성을 포함시킨 것으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음성 출력부(스피커)는 물론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를 본체의 그것에 대신하여 사용한다.
전자펜(120)과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상기 전자펜에 대응되는 수신부를 구비하여야 하며,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전자펜에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송신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기지국을 거쳐야하는 단점과 반응이 느릴 수 있으나, 학습자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도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전달할 수 있으며, 영어 단어의 뜻, 발음과 같은 실질적인 표시 대상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30)가 아닌 기지국의 서버에서 대신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학습 대상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시로 바꿔줘야 하는 불편이 해소될 수 있으며, 기지국의 서버를 관리하는 이동 통신 사업자와 학습 대상물 생산자가 연계될 것이므로 보다 넓은 분야의 학습 대상물 생산이 예상된다. 이러한 구성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체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대신하는 경우 모두에 해당된다.
한편,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펜(120)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부분으로 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할 경우, 평소 학습 보조 장치 전체를 휴대하는 것이 되므로, 필요할 때 언제 어디서든지 학습 보조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측면에 학습 대상물의 인덱스를 인식하는 광센서가 배치되며, 전면에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상기 인식된 인덱스 관련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후면(미도시)에는 스피커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장치내부에는 상기 도 3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환부(125), 메모리(134) 및 중앙처리장치(132)가 내장되어, 상기 변환부(125)가 상기 광센서에서 인식된 인덱스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장치(132)에 입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32)는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상기 메모리(134)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영상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음성신호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즉,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인식하는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인식된 내용을 학습자가 이용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본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종래 본체의 구성을 전자펜에 통합시킨 것이다.
더 나아가, 학습 보조 장치에 비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상기 일체형의 학습 보조 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학습 보조 장치의 이용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보조 장치는 학습자가 직접 손에 쥐고 사용하는 전자펜에 연결된 데이터선을 제거시킴으로써, 상기 데이터선에 의한 학습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보조 장치를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현시킴으로써, 별도의 학습 보조 장치가 필요치 않게 되며, 휴대가 가능하므로 언제 어디서든지 학습 보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학습 보조 장치를 구현시킴으로써, 학습 보조 장치를 다수에게 보급할 수 있다.
또한, 학습 보조 장치에서 알파(α)파 및 세타(θ)파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학습 및 일반 작업에 있어서의 능률 향상이 기대된다.

Claims (14)

  1.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인식하여 무선으로 송신하는 전자펜; 및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인식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무선으로 전송받아 상기 학습 대상물의 내용을 표시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자펜 또는 본체는 알파(α)파 및 세타(θ)파 유도음원을 발생하는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음원 발생부와;
    상기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음원 발생부에서 발생한 알파파 및 세타파 유도 음원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인식하는 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내용 또는 인덱스를 데이터화하는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상기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전송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내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와 동시에 상기 수신된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상기 인덱스에 상응하는 내용을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인식된 내용에 대하여 학습 대상물의 언어와 다른 언어로 번역하여 표시하는 번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 또는 본체는 학습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 또는 본체는 MP3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일부분이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펜은 광센서를 이용하여 학습 대상물의 내용 또는 인덱스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인덱스에 대응하는 음성신호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장치.
KR1020070007757A 2007-01-25 2007-01-25 학습 보조 장치 KR100807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757A KR100807778B1 (ko) 2007-01-25 2007-01-25 학습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757A KR100807778B1 (ko) 2007-01-25 2007-01-25 학습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778B1 true KR100807778B1 (ko) 2008-02-28

Family

ID=3938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757A KR100807778B1 (ko) 2007-01-25 2007-01-25 학습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7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618B1 (ko) 2009-12-31 2012-04-12 (주)셈투유 다국어 기능을 갖는 학습 보조 장치
KR200477158Y1 (ko) * 2014-01-22 2015-05-12 이-신 퍼블리싱 컴퍼니 리미티드 발음 분리식 블루투스 리딩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003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전자 사전 겸용 단말기
KR200291791Y1 (ko) 2002-06-17 2002-10-11 고종택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KR20030007211A (ko) * 2001-07-16 2003-01-23 박남교 인식센서를 부착한 학습기기를 통한 능동적 학습 자료제공 방법
KR200328263Y1 (ko) 2003-07-02 2003-09-26 허진수 부호인식시스템을 이용한 인쇄물 정보의 멀티미디어구현장치
KR20040017511A (ko) * 2002-08-21 2004-02-27 나중열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사전기능을 갖는 문자인식 스캐너
JP2004127199A (ja) 2002-10-07 2004-04-22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ペン用帳票、及び帳票記入内容テキスト化システム
KR200405004Y1 (ko) 2005-08-29 2006-01-10 (주)미디어파워하우스 모바일을 이용한 학습 연속성 부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003A (ko) * 1999-10-28 2001-05-15 박종섭 전자 사전 겸용 단말기
KR20030007211A (ko) * 2001-07-16 2003-01-23 박남교 인식센서를 부착한 학습기기를 통한 능동적 학습 자료제공 방법
KR200291791Y1 (ko) 2002-06-17 2002-10-11 고종택 유아 및 어린이용 학습구
KR20040017511A (ko) * 2002-08-21 2004-02-27 나중열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사전기능을 갖는 문자인식 스캐너
JP2004127199A (ja) 2002-10-07 2004-04-22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ペン用帳票、及び帳票記入内容テキスト化システム
KR200328263Y1 (ko) 2003-07-02 2003-09-26 허진수 부호인식시스템을 이용한 인쇄물 정보의 멀티미디어구현장치
KR200405004Y1 (ko) 2005-08-29 2006-01-10 (주)미디어파워하우스 모바일을 이용한 학습 연속성 부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618B1 (ko) 2009-12-31 2012-04-12 (주)셈투유 다국어 기능을 갖는 학습 보조 장치
KR200477158Y1 (ko) * 2014-01-22 2015-05-12 이-신 퍼블리싱 컴퍼니 리미티드 발음 분리식 블루투스 리딩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eitas et al. Speech technologies for blind and low vision persons
CN104601202B (zh) 基于蓝牙技术实现文件搜索的方法、终端及蓝牙设备
CN105206123B (zh) 一种聋哑患者交流装置
WO2018038235A1 (ja) 聴覚トレーニング装置、聴覚トレーニ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346057A (zh) 一种智能儿童玩具的语音处理系统
CN201131117Y (zh) 一种老人便携式电子设备
CN101494816A (zh) 一种适用于全聋患者的助听装置与方法
KR100807778B1 (ko) 학습 보조 장치
JPH0965424A (ja) 無線携帯端末を用いた自動翻訳システム
JPH09292971A (ja) 翻訳装置
US20030028379A1 (en) System for converting electronic content to a transmittable signal and transmitting the resulting signal
KR20130051278A (ko) 개인화된 tts 제공장치
US20200233634A1 (en) Usb-type bluetooth adaptor for smartphone
US20020132212A1 (en) Multi-functional portable information learning device
EP1998729A1 (fr) Systeme pour personne malentendante
WO2006001204A1 (ja) 自動翻訳装置及び自動翻訳方法
CN211319717U (zh) 用于语言交互的配件、移动终端及交互系统
KR100808984B1 (ko) 학습 보조 장치
KR102071900B1 (ko) 스마트폰용 유에스비 타입 이어폰 젠더
WO2019230363A1 (ja) 放音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775218B2 (ja) 嚥下情報提示装置
CN111033461A (zh) 信息提供方法及信息提供装置
CN202003519U (zh) 同时同步录播方式的电子学习系统
JP3227725U (ja) 文字表示機能付き補聴システム
JP2008039826A (ja) 音声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