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770Y1 - 조화 - Google Patents

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770Y1
KR200291770Y1 KR2020020017171U KR20020017171U KR200291770Y1 KR 200291770 Y1 KR200291770 Y1 KR 200291770Y1 KR 2020020017171 U KR2020020017171 U KR 2020020017171U KR 20020017171 U KR20020017171 U KR 20020017171U KR 200291770 Y1 KR200291770 Y1 KR 200291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ynthetic resin
resin film
round frame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일
Original Assignee
장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세일 filed Critical 장세일
Priority to KR2020020017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7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770Y1/ko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새로운 구성의 조화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0.4mm 정도의 굵기를 가지고 무탄성체인 금속선재로 줄기 상단에 둥근형틀(1)을 형성하고 둥근형틀을 변형하여 만든 꽃잎형 윤곽틀(1')에 유색의 투명합성수지재막(2)을 형성시킨 꽃잎(가)과 0.4mm 정도의 굵기를 가지고 무탄성체인 금속선재로 줄기 상단에 둥근형틀(3)을 형성하고 이를 변형하여 만든 잎사귀형 윤곽틀(3')에 유색의 투명합성수지재막(4)을 형성시킨 잎사귀(나)를 꽃형상으로 집합하여 그 줄기부를 접착테이프(5)로 접착시켜 구성시킨 조화로서, 합성수지재막이 얇고 투명하면서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이 될수 있고 금속선재와 결합하여 미감을 내기 때문에 금속조화와 합성수지재 조화의 특징을 복합적으로 얻을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둘래가 찢어질 위험이 없어 내구성이 좋고 방수가 되어서 취급하기 좋고 생동감이 높은 조화를 얻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화 {funeral flowers}
본 고안은 새로운 구성의 조화에 관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탄성이 없는 금속선재를 둥근형틀로 만들어서 이를 꽃잎이나 잎사귀 형상으로 변형하여 꽃잎 또는 잎사귀 형상의 윤곽틀을 구성하고 꽃 또는 잎사귀형상의 윤곽틀에 유색의 투명 합성수지제막을 형성시켜 응고시킨 것을 다수개 집합하여 꽃 형상이 되게 줄기부를 접착테이프로 접착시킨 것이다.
종래의 조화는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제 시트를 꽃잎 또는 잎사귀 형태로 오려서 이를 집합하여 조화를 만드는 것으로 꽃잎 또는 잎사귀가 투명으로 될수 없는 불편이 있고 꽃잎 또는 잎사귀의 윤곽선이 선명하지 못해 특이한 미감을 낼수가 없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불편을 시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꽃잎 구조 예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잎 구조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둥근형틀 1b : 줄기부
1' :꽃잎형윤곽틀 2 : 합성수지재막
3 : 둥근형틀 3b : 줄기부
3' :잎 사귀형 윤곽틀 4 : 합성수지재막
5 : 접착테이프
본 고안은 0.4mm 정도되는 굵기의 무탄성 금속선재를 사용하여 일정크기의 둥근형틀(1)을 줄기부(1b) 상단에 만들고 둥근형틀을 변형시켜 꽃잎형상의 윤곽틀(1')을 만들어 윤곽틀 사이에 유색의 투명 합성수지재막(2)을 형성하여 응고시킨 꽃잎(가)과 같은 굵기의 무탄성 금속선재를 사용하여 일정크기의 둥근형틀(3)을 줄기부(3b) 상단에 만들고 둥근형틀을 변형시켜서 잎사귀형상의 윤곽틀(3')을만들어 윤곽틀 사이에 유색의 투명합성수지재막(4)을 형성하여 응고시킨 잎사귀(나)를 꽃 형상으로 접합하여 접착테이프(5)로 접착시킨 구조이다.
본 고안에서 유색의 투명 합성수지재막은 합성수지롤에 안료와 토루앤을 혼합하여 용해시킨 합성수지 용액에 윤곽틀을 담구어서 건저내면 윤곽틀에 의지하여 내부에 합성수지제막이 형성 되고 그 상태로 응고되면 꽃잎 또는 잎사귀가 만들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고안은 둥근형틀을 변형하여 꽃잎 또는 잎사귀 형상의 윤곽틀을 만들수 있고 윤곽틀 소재는 탄성이 거의 없는 금속선재이기 때문에 형상변경이 용이 하게되고 둥근 형틀에서 변형이 된 것이기 때문에 틀 내부에 막을 형성시킬수 있어서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꽃잎 또는 잎사귀 연출이 가능케 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종래와는 판이한 느낌의 조화를 제조할수 있고 합성수지재막이 얇고 투명하면서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이 될수 있고 금속선재와 결합하여 미감을 내기 때문에 금속조화와 합성수지재 조화의 특징을 복합적으로 얻을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꽃잎 또는 잎사귀의 윤곽에 금속 선재에 의한 틀이 형성 되어서 둘래부분이 찢어질 염려가 없기 때문에 내구성이 좋고 방수가 되어서 간수하기가 편리하며 생동감이 높은 조화를 얻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0.4mm 정도의 굵기를 가지고 무탄성체인 금속선재로 줄기 상단에 둥근형틀(1)을 형성하고 둥근형틀을 변형하여 만든 꽃잎형 윤곽틀(1')에 유색의 투명 합성수지재막(2)을 형성시킨 꽃잎(가)과 0.4mm 정도의 굵기를 가지고 무탄성체인 금속선재로 줄기 상단에 둥근형틀(3)을 형성하고 이를 변형하여 만든 잎사귀형 윤곽틀(3')에 유색의 투명 합성수지재막(4)을 형성시킨 잎사귀(나)를 꽃 형상으로 집합하여 그 줄기부를 접착테이프(5)로 접착시켜 구성시킨 조화
KR2020020017171U 2002-06-04 2002-06-04 조화 KR200291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71U KR200291770Y1 (ko) 2002-06-04 2002-06-04 조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71U KR200291770Y1 (ko) 2002-06-04 2002-06-04 조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770Y1 true KR200291770Y1 (ko) 2002-10-11

Family

ID=7312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171U KR200291770Y1 (ko) 2002-06-04 2002-06-04 조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7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648B1 (ko) 2012-04-24 2014-06-10 이종구 엘이디를 구비하는 장식용 조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648B1 (ko) 2012-04-24 2014-06-10 이종구 엘이디를 구비하는 장식용 조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1770Y1 (ko) 조화
KR20020092155A (ko) 눈화장용 용구
KR200391556Y1 (ko) 전등갓
US1942174A (en) Material for making decorative devices such as artificial flowers, etc., and method of making such material
KR200179034Y1 (ko) 향기가 장기간 유지되는 조화
CN209776002U (zh) 一种实物仿生装饰结构
US4582744A (en) Ruffled ornament and method of forming same
CN211242044U (zh) 一种新型工艺品伸缩发夹
JP5379319B1 (ja) 造花及びその造花が含まれている造花装飾体
KR200180999Y1 (ko) 투명백용 수지
KR200243544Y1 (ko) 도금스티커를 부착한 장신구
KR200163212Y1 (ko) 마네킨용머리
KR200221225Y1 (ko) 조화
KR200231822Y1 (ko) 장식파트를 탈착하는 장신구
JPS634180Y2 (ko)
JPH0230409Y2 (ko)
KR200286476Y1 (ko) 알 껍질을 이용한 장신구
KR200362137Y1 (ko) 헤어밴드의 모양대
CN205624823U (zh) 免打孔粘贴式耳饰品
CN2368049Y (zh) 一种艺术照片
JP3194571U (ja) フラワーレイ
KR200292642Y1 (ko) 토끼 머리띠.
JPH0744163Y2 (ja) ボタン飾り用の台座
CN2741387Y (zh) 胸贴
JP2000265312A (ja) 香り付き造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