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666Y1 - 연도단열써포터 - Google Patents

연도단열써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666Y1
KR200291666Y1 KR2020020021659U KR20020021659U KR200291666Y1 KR 200291666 Y1 KR200291666 Y1 KR 200291666Y1 KR 2020020021659 U KR2020020021659 U KR 2020020021659U KR 20020021659 U KR20020021659 U KR 20020021659U KR 200291666 Y1 KR200291666 Y1 KR 200291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ner tube
support
heat insulating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20021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6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666Y1/ko

Links

Landscapes

  • Thermal Insulation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관 및 외부관으로 구성되어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연도에서, 내부관의 외부면에 돌출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 및 단열재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단열써포터에 관한 고안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고정핀 장착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접착제의 화학반응에 기인한 매연을 방지하며, 기존의 다중관 구조에 비하여 구성요소 및 시공을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도단열써포터{Heat Insulating Supporter of Chimney duct}
본 고안은 내부관 및 외부관으로 구성되어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연도에서 고온의 내부관 열기가 외부관으로 전도되지 못하도록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설치되는 연도단열써포터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발전기, 보일러 또는 가정용 보일러는 석탄, 석유등과 같은 원료를연소시켜 필요한 동력을 얻고 있으며, 이러한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배기가스는 굴뚝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배기가스를 굴뚝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관을 통상 연도(연관)이라 한다. 이러한 연도는 통상 연소량, 용도별로 2중관(가정용보일러, 산업용 보일러) 또는 3중관(산업용 발전기용) 형태로 제작하며, 재질은 세라믹 코팅된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철판 등을 이용하게 된다. 즉, 연도 내부를 경유하는 배기가스는 매우 높은 온도(발전기용 연도의 경우 개략 450-500°C)의 열기를 가지고 있어 연도 주위로 배기가스 등에 의한 열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단열구조의 다중관 형태의 연도가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다중관의 경우 다중관 구조를 형성하는 관들 사이에는 일정간격의 단열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강판재의 지지구조가 설치된다. 정지한 공기의 열전도율이 0.019 KCAL/mhc 이며 강판재의 열전도율이 38∼50 KCAL/mhc 임을 고려할 때 다중관 사이의 공기층이 단열기능을 수행하며 강판재는 단열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온의 배기가스를 지속적으로 배출할 경우 다중관들 사이를 연결하는 강판재의 지지구조를 통한 열전도에 의하여 외부관으로 고온의 열기가 전달되는 바 외부관의 표면온도를 제한된 기준값 이하로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관 외부면 표면에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핀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단열재로 외부관의 외부면을 감싼다. 이 경우 단열재로는 주로 암면이 사용되며 두께는 개략적으로 50 ㎜ 내외가 된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다중관의 경우 내부관에서 외부관으로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중관 구조를 형성하는 관들 사이에 단열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간격의 강판재의 지지구조를 설치하는 결과 대부분의 열기가 강판재 지지구조를 통하여 외부관으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외부관의 표면온도를 제한된 기준값 이하로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관의 외부면 표면에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핀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암면과 같은 단열재로 외부관의 외부면을 감싸고 있으나 외부관으로 전달된 고온의 열에 의하여 접착제가 화학반응을 일으켜 매연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접착력을 약화시켜 고정핀이 외부관으로부터 분리되어 단열재가 외부관 표면을 제대로 감싸지 못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다중관과 다중관을 형성하는 관들 사이에 강판재의 지지구조를 설치하는 공정이 복잡하여 시공상 비경제적이며 낭비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연도단열써포터를 설치하여 단열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접착제의 화학반응에 기인한 매연을 방지하며 기존의 다중관 구조에 비하여 구성요소 및 시공을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인 이중관구조의 반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인 삼중관구조의 반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부관 20 : 중간관
30 : 외부관 40 : 지지부
41 : 고정핀부착부 42 : 연결부
43 : 플랜지부 50 : 고정핀
60 : 단열재
본 고안은 내부관(10) 및 외부관(30)으로 구성되어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연도에서, 내부관(10)의 외부면에 돌출 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는 지지부(40)와 지지부(4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60) 및 단열재를 고정하는 고정핀(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도단열써포터에 관한 고안이다.
내부관(10)은 연도의 가장 내부를 형성하는 관으로서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그 재질은 스텐인레스스틸이나 스틸(연강)이 사용된다.
지지부(40)는 내부관과 같은 재질의 절곡된 판재형상으로서 고정핀(50)이 부착되는 고정핀부착부(41)와 고정핀부착부(41)의 장변방향의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연결부(42) 및 연결부(42)의 각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플랜지부(43)로 구성된다. 지지부(40)는 내부관(10)의 외부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용접시에는 지지부(40)의 플랜지부(43) 중에서 1개의 플랜지부(43)만 태그용접(Tag welding)하여 고정하고 나머지 1개의 플랜지부(43)는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내부관의 외부면에 접촉시켜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하여 내부관(10)이 신축하는 경우 내부관(10)과 지지부(40)의 용접되지 않은 플랜지 사이에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하여 지지부(4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핀(50)은 스틸(연강)으로 제작되는 핀으로서 지지부(40)의 고정핀부착부(41)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스팟용접(Spot Welding) 되거나 나사산 결합에 의하여 장착된다.
단열재(60)의 재질로 암면이 주로 사용되며 사용되는 두께는 50 ㎜ 내외가 된다. 단열재(60)로 내부관(10)의 주위를 둘러싸는 경우 고정핀(50)에 끼운 후 단열재(60)를 관통하여 단열재(60)의 외부로 돌출된 고정핀(50) 단부를 밴딩(bending)하여 단열재(60)를 고정한다. 따라서 단열재(60)가 설치되는 경우 내부관(10)과 외부관(30) 사이에는 지지부(40)의 연결부(42)의 높이에 해당하는 공기층과 단열재(60)의 두께에 해당하는 단열재층이 형성된다.
외부관(30)은 스테인레스스틸, 스틸(연강) 이나 알루미늄등으로 구성되는 판재로서 단열재(60) 주위를 둘러싸는 방법으로 케이싱하여 구성된다.
3중관을 사용할 경우에는 내부관(10)과 중간관(20) 사이에 지지부(40)를 설치하고 중간관(20)을 케이싱한 후 중간관(20)과 외부관(30) 사이에 지지부(40)와 고정핀(50)을 설치하고 단열재(60)를 고정핀(50)에 고정시킨 후 외부관(30)을 케이싱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내부관(10)과 중간관(2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며 중간관(20)과 외부관(30) 사이에는 공기층 및 단열재층이 형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내부관의 외부면에 돌출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 및 단열재를 고정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연도단열써포터를 설치하여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둘째, 고정핀 장착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접착제의 화학반응에 기인한 매연을 방지하며,
셋째, 기존의 다중관 구조에 비하여 구성요소 및 시공을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5)

  1. 내부관 및 외부관으로 구성되어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연도에서,
    상기 내부관의 외부면에 돌출되도록 일정간격으로 장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단열써포터.
  2. 내부관, 중간관 및 외부관으로 구성되어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연도에서,
    상기 내부관의 외부면 및 중간관의 외부면에 돌출되도록 일정간견으로 장착되는 지지부;
    상기 중간관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지지부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중간관과 외부관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및,
    상기 중간관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지지부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단열써포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절곡된 판재 형상으로서 고정핀이 부착되는 고정핀부착부와고정핀부착부의 장변방향의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연결부 및 연결부의 각단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단열써포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에 스팟용접(Spot Welding) 또는 나사산 결합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단열써포터.
  5. 제3항에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 플랜지부만 상기 내부관의 외부면 또는 상기 내부관의 외부면 및 중간관의 외부면과 태그용접(Tag Welding)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단열써포터.
KR2020020021659U 2002-07-20 2002-07-20 연도단열써포터 KR200291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59U KR200291666Y1 (ko) 2002-07-20 2002-07-20 연도단열써포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659U KR200291666Y1 (ko) 2002-07-20 2002-07-20 연도단열써포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666Y1 true KR200291666Y1 (ko) 2002-10-11

Family

ID=73126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659U KR200291666Y1 (ko) 2002-07-20 2002-07-20 연도단열써포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6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9943A (en) Heating boiler
US7634977B2 (en) Gas water heater
US20060201451A1 (en) Pipe in a fire tube boiler
RU2419040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KR200291666Y1 (ko) 연도단열써포터
RU2409793C2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EP3273162B1 (en) Thermal device, its use, and method for heating a heat transfer medium
JPH018875Y2 (ko)
RU2158394C1 (ru) Отопительный котел
CN206944763U (zh) 一种燃气灶余热回收利用装置
JP2001215006A (ja) 表面燃焼バーナ及びその炉壁への取付機構
CN216522351U (zh) 一种水套式真空热水锅炉
CN218914930U (zh) 一种贵铅精炼用耐高温烧嘴
CN216897838U (zh) 一种全预混燃烧波浪式火管燃气热水器
CN215637085U (zh) 一种蒸汽锅炉
KR102302861B1 (ko) 난로용 이중 연통구조
RU2191951C1 (ru) U-образный газовый нагреватель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KR100417209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RU2125205C1 (ru) Газоподогреватель
JPS6023305Y2 (ja) ラジアントチユ−ブ炉
RU34695U1 (ru) Водогрейный жаротрубный котел
JPH0979785A (ja) 管端部保護構造
JP2958263B2 (ja) 高温再生器
US4294198A (en) Heating boiler for liquid or gaseous fuels
KR200166209Y1 (ko) 보일러의 잔열 재사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