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601Y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601Y1
KR200291601Y1 KR2020020019627U KR20020019627U KR200291601Y1 KR 200291601 Y1 KR200291601 Y1 KR 200291601Y1 KR 2020020019627 U KR2020020019627 U KR 2020020019627U KR 20020019627 U KR20020019627 U KR 20020019627U KR 200291601 Y1 KR200291601 Y1 KR 200291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user
load distribution
neck support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훈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훈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훈기공
Priority to KR2020020019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601Y1/ko

Link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베개는 목받침부의 저면으로 하중분산홈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관계없이 사용자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함과 동시에 목받침부가 사용자의 목선에 적합하게 형태변경되므로서,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어,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조성은 물론 경추또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중분산홈으로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목받침부의 하중분산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베개{A PILLOW}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밀도 저반발 우레탄폼으로 베개몸체를 형성하되, 목받침부와 대응되는 베개몸체 저면으로 하중분산홈을 두어 사용자의 목으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되게시킴으로서 안락함의 제공에 따른 숙면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수면(睡眠)은 하루의 피로를 풀어주고 몸을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가게 하는 과정으로서 신체적인 요건과 함께 정신적인 피로또한 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바,
수면에 의해 피로가 완전히 풀리지 않은 경우에는 집중력이 약화되거나 그만큼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초래되며, 직업병의 근원이 되고 있다.
이와같이 일생생활에서 중요한 수면(睡眠)에 있어, 심신의 피로를 풀기 위해서는 숙면(熟眠)을 요하게 되며, 이러한 숙면환경을 조성하는 요건중에는 체형에 적합한 베개를 그 일례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베개는 통상적으로 베개몸체와 몸체를 감싸는 겉피로 구성되며, 몸체는 내피속으로 쿠션재인 솜 또는 플라스틱 칩 등을 충진하여 구성된다.
한편, 두형(頭形) 및 머리무게에 적합하지 않는 베개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람의 목뼈인 경추가 S자 형태로 변형되어 신경선 가지가 압박되므로 통증 등의 증세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와같은 경추변형은 근래에 들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그 발병빈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으며, 통증의 경중에 따라 목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경추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특히 S자형으로 휘어진 척추는 교정을 요하게 되는데, S자형의 경추를 교정을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물리치료를 요하게 되므로 그만큼의 많은 시간과 그에따른 비용이 소모된다.
이에따라, 근래에는 사람의 목선에 대응되는 구조로서 도 1에서와 같이 몸체(100)가 목받침부(200)와 머림받침부(300)로 분할형성되는 베개가 범용되고 있으며, 이와같은 베개몸체(100)는 탄력 및 쿠션(Cushion)이 우수한 고밀도 저반발 우레탄폼(Urethane foam) 또는 라텍스(Latex) 를 소정의 크기로 발포 성형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목받침부(200)와 머리받침부(300)가 분할형성되는 베개(100)는 도 1에서와 같이 목받침부(200)가 머리받침부(300)에 비해 현저하게 융기된 구조로서 그만큼 상당한 두께를 갖게 되므로, 특히 머리무게가 가벼운 여성 및 어린이가 사용할 경우 처음에는 목의 하중을 어느정도 완충하며 형태변경되지만, 어느시점이 지나면 자체두께에 의해 더이상 목의 하중을 완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에따라 목받침부(200)는 사용자의 목선에 적합하게 형태변경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인해 심하게는 경추 굴곡선이 비정상적으로 굴곡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머리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성인남성의 경우에는 베개의 사용시 목받침부(200)에 많은 하중을 주게 되므로 목받침부의 하중 완충작용에는 문제점이 없으나, 머리받침부가 지나치게 압축됨에 따라 역으로 안락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없는 단점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등록된 실용신안등록 "20-267389호"를 통해 목받침부의 저면으로 쿠션홈과 통풍홈을 형성하여 쿠션홈 내부에 위치했던 공기를 통풍홀 등으로 서서히 빠져나가 사용자는 더 편안하게 베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구조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선등록고안은 쿠션홈의 형성폭과 깊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전술한 문제점이 여전히 상존하는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베개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신체조건을 갖는 사용자에 관계없이 목으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되게하여, 목받침부가 사용자의 목선에 적합하게 형태변경되게하므로서 안락함의 제공에 따른 숙면환경조성과 함께, 목뼈인 경추또한 보호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르게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목받침부의 하중분산도를 조절하므로서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할 수 있는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베개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내부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개몸체 2 : 목받침부
3 : 머리받침부 4 : 지지부재
11 : 하중분산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겉피에 수용되는 베개몸체가 머리받침부와 목받침부로 분할형성되는 베개에 있어서,
목받침부와 대응되는 베개몸체 저면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하중분산홈을 형성한 베개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또한, 적어도 베개몸체보다 높은 경도를 갖으며 하중분산홈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내부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베개는 완만한 곡선면을 갖는 머리받침부(3)와, 이 머리받침부(3)보다 융기된 곡선면을 갖는 목받침부(2)로 분할형성되는 베개몸체(1)의 저면으로 하중분산홈(11)을 형성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개몸체(11)는 고밀도 저반발 우레탄폼을 소정의 크기로 발포형성하여 구성되며, 본 고안에서는 베개몸체(1)의 발포성형시 도 2에서와 같이 목받침부(2)에 대응되는 몸체(1) 저면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하중분산홈(11)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하중분산홈(11)은 목받침부(2)의 융기된 곡선면과 대응되는 구조로서 일측벽이 경사진 형태를 취하며, 적어도 목받침부(2)가 갖는 두께의 1/3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도록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목받침부(2)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하중분산홈(11)은 결과적으로 볼때 기존 목받침부의 두께를 줄이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일반 성인은 물론 특히 머리무게가 가벼운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은 목받침부(2) 곡선면의 형태변형과 함께 저면에 위치한 하중분산홈(11)의 형태변형으로 원활히 완충되므로, 목받침부(2)는 사용자의 목선에 적합한 형태로 변형되어 안락감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는 하중분산홈(11)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지지부재(4)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기호(약간 딱딱한 정도의 쿠션을 원할 경우)에 따라 지지부재(4)를 하중분산홈(11)에 삽입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지지부재(4)는 그 구성재질로서 적어도 베개몸체(1)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물체를 적용하므로서, 사용자의 하중이 목받침부(2)로 작용할 경우 목받침부(2)는 저면이 지지부재(4)에 지지되므로 하중분산도가 조절된 상태로 형태변경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쿠션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개는 목받침부의 저면으로 하중분산홈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관계없이 사용자로 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함과 동시에 목받침부가 사용자의 목선에 적합하게 형태변경되므로서,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어,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조성은 물론 경추또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중분산홈으로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목받침부의 하중분산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겉피에 수용되는 베개몸체가 머리받침부와 목받침부로 분할형성되는 베개에 있어서,
    목받침부와 대응되는 베개몸체 저면으로 소정의 깊이를 갖는 하중분산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하중분산홈에 삽입고정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3. 제 2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적어도 베개몸체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2020020019627U 2002-06-28 2002-06-28 베개 KR200291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627U KR200291601Y1 (ko) 2002-06-28 2002-06-28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627U KR200291601Y1 (ko) 2002-06-28 2002-06-28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601Y1 true KR200291601Y1 (ko) 2002-10-11

Family

ID=7312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627U KR200291601Y1 (ko) 2002-06-28 2002-06-28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6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536B1 (ko) * 2008-02-28 2010-11-30 문형근 숙면용 베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32549A (ko) * 2018-09-18 2020-03-26 주식회사 굿룩스 기능성 베개
KR102553761B1 (ko) * 2022-02-03 2023-07-07 김여현 기능성 베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536B1 (ko) * 2008-02-28 2010-11-30 문형근 숙면용 베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32549A (ko) * 2018-09-18 2020-03-26 주식회사 굿룩스 기능성 베개
KR102102538B1 (ko) * 2018-09-18 2020-04-20 주식회사 굿룩스 기능성 베개
KR102553761B1 (ko) * 2022-02-03 2023-07-07 김여현 기능성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262B1 (ko) 기능성 베개
JPH11512305A (ja) 治療用睡眠枕
US20140075677A1 (en) Neck support pillow
KR200489782Y1 (ko) 3중 구조 베개
US11627822B2 (en) Anti-wrinkle anatomic pillow
US20210235900A1 (en) Pillow for relieving sleep apnea and preventing snoring
KR100978285B1 (ko) 숙면용 베개
JP2008517686A (ja) 人間工学的枕
KR20070098544A (ko) 탄성 복원형 베개 몸체
US7856686B2 (en) Self-adjusting pillow
KR20180080808A (ko) 라운드형 베개
KR200291601Y1 (ko) 베개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20170074496A (ko) 기능성 베개
EP3449777A1 (en) Pillow
JP3212325U (ja) 枕の構造
AU2012101763A4 (en) TVS SNORE NO MORE PILLOW This anti snore pillow is believed to be the most effective anti snore pillow ever developed to date. By using a completely new approach we have achieved completely new results that no other person has to date achieved in common bed pillow design, and in particular anti snore pillows.
CN212521409U (zh) 一种枕头结构
KR20100133337A (ko) 높이조절코어가 구비된 베개
KR200226847Y1 (ko) 경추 보호용 목베개
CN211269783U (zh) 一种保健枕头
KR200312536Y1 (ko) 베개
KR200237755Y1 (ko) 경추보호용 목베개
KR102629541B1 (ko) 수면자세 맞춤기능 교정 베개
CN220898402U (zh) 一种3d打印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