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200Y1 - 변기용수 절약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용수 절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200Y1
KR200291200Y1 KR2020020017437U KR20020017437U KR200291200Y1 KR 200291200 Y1 KR200291200 Y1 KR 200291200Y1 KR 2020020017437 U KR2020020017437 U KR 2020020017437U KR 20020017437 U KR20020017437 U KR 20020017437U KR 200291200 Y1 KR200291200 Y1 KR 200291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container
weight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준묵
Original Assignee
양준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준묵 filed Critical 양준묵
Priority to KR2020020017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200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에 버려지는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절약되는 물의 양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수 절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용수저장통의 내부에 물을 담아주는 용수절약통을 설치하고 상기 용수절약통에 담긴 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용수저장통에서 변기로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용수절약통에 담긴 용수의 배출량은 용수저장통의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변기용수 절약장치{Water save-all for toilet stool}
본 고안은 변기에 버려지는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절약되는 물의 양을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수 절약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에는 도 1 과 같이 용수저장통(2)이 구비되어있으며, 상기 용수저장통(2)에 담겨진 용수는 용수배출레버(3)로 당김끈(4)을 당겨 용수배출캡(5)으로 막혀진 배출구멍(6)을 개방시킴으로써 변기(1)로 배출되어 용변을 씻어내도록 하고 있으나, 기존 용수저장통(2)에 담겨진 용수는 용변을 씻어내고도 남을 정도의 양를 갖고 있고 용수배출캡(5)이 열릴 때 모두 배출되므로 용수의 낭비가 많은 문제가 있어 각 가정에서는 변기용수를 절약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용수저장통(2)에 담겨진 용수의 배출을 제한시켜주고 있다.
그러나 용수저장통에 저장된 용수를 절약 배출시키는 장치는 최초에 설치할 때 절약되는 양을 조작하게 되면 사용중이나 또는 추후에 변경이 어렵고, 또한 일반 사용자는 조작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용수저장통에서 변기로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각 가정마다 필요한 만큼의 용수만 사용하고 그 이외의 용수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변기에서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용수저장통의 내부에 물을 담아주는 용수절약통을 설치하고 상기 용수절약통에 담긴 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용수저장통에서 변기로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용수절약통에 담긴 용수의 배출량은 용수저장통의 외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기존 변기의 용수저장통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용수저장통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용수저장통 일부절결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용수가 채워진 상태의 일실시예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서 하나의 구분공간에 물이 남겨진 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서 두 개의 구분공간에 물이 남겨진 상태의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실시예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위치고정휠 측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용수가 채워진 상태의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용수가 배출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용수가 채워진 상태의 단면도
도 12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용수가 배출된 상태의 단면도
도 13 은 본 고안의 버튼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 측단면도
도 14 는 본 고안의 버튼을 이용한 실시예의 배출구 사시도
도 15 는 본 고안의 버튼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16 은 본 고안의 버튼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의 작동전 측면도
도 17 은 본 고안의 버튼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의 작동중 측면도
도 18 은 본 고안의 버튼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의 작동후 측면도
도 19 는 본 고안의 버튼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의 작동완료 상태 측면도
도 20 은 본 고안의 버튼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의 레버내림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기 2 : 용수저장통 5 : 용수배출캡
6 : 배출구멍 10,30,40,50 : 용수절약통 13,31,41,51 : 용수배출구
12, 32 : 덮개 20 : 조절손잡이 21 : 롤러
22 : 위치고정휠 23 : 고정홈 24 : 위치고정휠
42,52 : 차단판 43 : 무게추 55 : 버튼
60 : 레버 63 : 고정판 65 : 받침판
70 : 래칫기어
본 고안은 용수저장통(2)의 내부에 설치되는 용수절약통(10)을 설치하되 상기 용수절약통(10)은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구분공간(11)으로 구획하고, 상기 구분공간(11)의 하부에는 용수배출구(13)를 형성시키며, 상기 용수배출구(13)는 덮개(12)에 의해 막혀지고 상기 덮개(12)는 당김끈(15)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되며, 상기 당김끈(15)은 롤러(21)에 감겨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롤러(21)는 용수저장통(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조절손잡이(2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용수절약통(10)은 용수저장통(2)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용수저장통(2)에 채워지는 물이 용수절약통(10)의 상부를 통하여 채워지게 되며, 상기 용수절약통(10)의 하부에 받침대를 설치하여 세워주거나 상부를 용수저장통(2)에 걸어주어 설치하도록 한다.
용수절약통(10)은 내측에 다수의 구분공간(11)이 형성되고 덮개(12)를 이용하여 구분공간(11)의 하부에 형성된 용수배출구(13)를 막아주도록 하고, 상기 덮개(12)는 당김끈(15)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되며, 덮개(12)가 용수배출구(13)를 막아주지 않을 경우 구분공간(11)에 채워진 용수는 용수배출구(13)를 통하여 용수저장통(2)으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당김끈(15)은 용수절약통(10)의 상부에 설치된 롤러(14)에 걸려 용수저장통(2)에 설치된 롤러(21)에 결합되는 것으로, 롤러(21)를 회전시킴에 따라 당김끈(15)이 당겨지게 되어 덮개(12)를 열어주도록 하되 상기 당김끈(15)의 길이가 달라 덮개(12)는 순차적으로 열리거나 닫혀지게 된다.
상기 롤러(21)는 조절손잡이(20)에 의해 회전되며, 조절손잡이(20)에는 용수저장통(2)의 내측으로 위치고정휠(22)을 설치하고, 상기 위치고정휠(22)에는 수 개의 고정홈(23)을 형성하여 위치고정편(24)이 상기 고정홈(23)에 끼워지도록 하므로써 힘을 가하지 않을 경우 회전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조절손잡이(20)를 회전시켜 당김끈(15)을 당김에 따라 덮개(12)의 개폐를 결정하게 되며, 상기 덮개(12)로 용수배출구(13)를 막아줌에 따라 절약되는 용수의 양이 결정된다.
이때 조절손잡이(20)를 회전시키면 위치고정휠(22)이 회전되면서 고정홈(23)에 위치고정편(24)이 끼워지게 되어 힘을 가하지 않으면 조절손잡이(20)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원하는 덮개(12)만 닫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저장공간(11)의 덮개(12)만 막아주고 나머지는 개방시킬 경우 용수저장통(2)의 용수배출캡(5)을 열어 배출구멍(6)으로 용수를 배출시키면 덮개(12)에 의해 막히지 않은 쪽의 구분공간(11)에 채워진 용수는 용수배출구(13)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고, 덮개(12)에 의해 막혀져 있는 구분공간(11)에 채워진 용수만 배출되지 않게 된다.
즉 덮개(12)의 막힘에 의해 배출되지 않은 만큼의 용수가 절약되는 것이다.
더 많은 양의 용수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조절손잡이(20)를 돌려 덮개(12)로 용수배출구(13)를 막아주면 된다.
상기 조절손잡이(20)는 용수저장통(2)의 외측에서 조절이 가능하므로 언제든지 용수저장통(2)의 내부를 열지 않더라도 용수절약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도 9 및 도 10 과 같이 용수절약통(3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수 개의 용수배출구(31)를 형성하고, 상기 용수배출구(31)은 상측에 힌지(33)가 형성된 덮개(32)로 막아주도록 하고, 상기 덮개(32)는 서로 당김끈(15)으로 연결되어 롤러(21)의 회전시 당김끈(15)이 당겨지면서 덮개(32)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덮개(32)는 자중에 의해서 용수배출구(31)을 막아 용수가 배출되지 않게 되며, 당김끈(15)으로 당겨지면 용수배출구(31)로 용수를 배출하게 된다.
특히 덮개(32)에 연결되는 당김끈(15)은 그 길이를 조절하여 당김끈(15)을 당김에 따라 상부의 덮개(32)부터 순차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당김끈(15)을 당겨 상부의 덮개(32)만 열어주고 나머지는 닫아줄 경우 용수저장통(2)의 용수를 배출시키면 용수절약통(30)에 채워진 용수중 상부의 용수배출구(31)로 배출되지 않은 용수만큼 용수의 배출을 제한하게 되어 용수를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절약통(40)의 하측으로 용수배출구(41)를 형성하되 상기 용수배출구(41)는 차단판(42)에 의해 막혀지는 정도가 조절되며, 상기 차단판(42)의 상부는 무게추(43)가 고정되는 한편 당김끈(15)이 연결되어 진다.
상기 당김끈(15)을 당기면 무게추(43)의 무게에 의해 하강되는 힘을 받고 있는 차단판(42)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면서 용수절약통(40)에 채워진 용수를 용수저장통(2)으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으로, 차단판(42)을 올릴수록 배출되는 용수의 양이 증가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용수저장통(2)의 용수를 변기(1)로 배출시킬 때 용수저장통(2)에 담긴 용수는 빠르게 배출되어지나 용수절약통(40)에 담겨진 용수는 용수배출구(41)가 차단판(42)에 의해 막혀있는 만큼 배출이 더디게 진행되어 용수저장통(2)의 용수가 완전히 배출된 후 배출이 차단될 때까지 많은 량의 물이 용수절약통(40)에 담겨져 있게 되어 용수가 절약되는 것이다.
용수절약통(40)의 용수배출구(41)를 개방시킬수록 절약되는 용수의 양은 적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도 13 내지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을 이용하여 용수 배출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용수저장통(2)의 외부에서 수 개의 버튼(55)을 누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버튼(55)을 선택적으로 누름에 따라 용수절약통(50)의 용수배출량을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용수절약통(50)의 하부 일측에 용수배출구(51)를 형성하되 상기 용수배출구(51)는 당김끈(15)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차단판(52)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당김끈(15)의 선단은 레버(60)의 선단에 연결하되 여러 개의 레버(60)를 구비하여 레버(60)와 차단판(52)을 당김끈(15)으로 연결하며, 상기 당김끈(15)은 서로 길이가 다르게 하여 연결한다.
상기 레버(60)는 래칫기어(70)와 함께 기어축(71)에 결합되게 되며, 상기 레버(60)의 선단에는 레버(60)와 같은 방향의 받침바(62)와 직각 방향의 고정바(61)를 형성시키고, 상기 레버(60)는 기어축(71)에 회전자재로 결합되며 래칫기어(70)는 기어축(71)과 함께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61)나 받침바(62)의 선단은 래칫기어(70)의 선단보다 길이가 짧게 한다.
상기 래칫기어(70)와 고정바(61)는 버튼(55)의 선단에 결합된 고정판(63)에 의해 걸려지도록 하는 한편 받침판(65)에 의해 상부에서 받쳐지게 구성하고, 상기 고정판(63)과 받침판(65)에는 각각 고정무게추(64)와 받침무게추(66)가 형성되어 있어 항시 원위치 되도록 하며, 상기 받침판(65)은 받침브라켓(67)에 결합되고, 고정판(63)은 버튼(55)의 선단에 결합되게 한다.
상기 고정판(63)과 받침판(65)은 각각의 무게추(64)(66)에 의해 항시 같은 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버튼(55)은 용수저장통(2)에 결합되어지는 것으로, 스프링(54)이 끼워져 버튼(55)을 누른 후 놓게 되면 원위치 되도록 한다.
상기 버튼(55)은 3 개 정도를 설치하여 용수 배출량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16 과 같이 레버(60)가 쳐진 상태에서 버튼(55)을 누르기 시작하면 버튼(55)이 스프링(54)을 압착하면서 밀리게 되고 이에 고정판(63)이 밀리면서 고정판(63)이 래칫기어(70)와 고정바(61)을 후방으로 밀게 되어 도 17 과 같이 래칫기어(70)가 회전하게 되는 동시에 레버(60)가 들려지게 된다.
이때 받침판(65)은 래칫기어(70)의 회전에 의해 뒤로 밀리게 되며, 레버(60)가 들어 올려지면 당김끈(15)이 당겨져 차단판(52)을 들어올리게 된다.
버튼(55)을 도 18 과 같이 충분히 눌러주면 레버(60)가 최고로 올려진 상태가 되고 버튼(55)을 누르지 않으면 버튼(55)이 스프링(54)에 의해 원위치 되면서 도 19 와 같이 이동하게 되며, 이때 받침판(65)이 래칫기어(70)와 받침바(62)를 눌러주게 되어 레버(60)의 무게에 의해 원위치 되지 못하고 레버(60)가 들린 상태를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하나의 레버(60)가 들려진 상태가 되면 나머지 레버는 모두 밑으로 쳐지게 되는 것으로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버튼(55)을 누르게 되면 래칫기어(70)가 회전하면서 기어축(71)을 회전시키게 되고 기어축(71)이 회전하면 버튼(55)이 눌려지지 않는 쪽의 래칫기어(70)가 기어축(71)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래칫기어(70)가 회전하면 받침판(65)이 래칫기어(70)를 이탈하기 직전에 받침바(62)가 먼저 받침판(65)을 이탈하게 되고, 받침바(62)가 받침판(65)을 이탈하는 순간 레버(60)는 도 20 과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60)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고정바(61)가 고정편(63)에 닿을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버튼(55)을 누르는 쪽의 레버(60)만 상승하게 되고 나머지 레버(60)는 하향 이동하게 되어 언제든 하나의 레버(60)만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레버는 하향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레버(60)에는 각기 길이가 다른 당김끈(15)이 연결되어 있어 어느 레버(60)를 당기느냐에 따라 차단판(52)의 이동정도가 달라지게 되어 용수배출구(51)에서 배출되는 용수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에서 버튼(55)을 눌러 쉽게 절약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변기(1)의 용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변기에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저장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수저장통에 담김 용수의 양을 절약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용수저장통의 외부에서 조절손잡이를 회전시켜 절약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임의로 간편하게 용수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용수절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용수배출캡(5)을 개방시켜 변기(1)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저장통(2)에 있어서,
    상기 용수저장통(2)의 내부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수 개의 구분공간(11)이 형성되는 용수절약통(10)과,
    상기 용수절약통(10)의 하부에 형성된 용수배출구(13)를 상하 이동하며 개폐시키는 덮개(12)와,
    상기 덮개(12)를 이동시키는 당김끈(15)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롤러(21)와,
    상기 롤러(21)를 용수저장통(10)의 외부에서 회전시키는 조절손잡이(20)와,
    상기 조절손잡이(20)의 내측에서 용수저장통(2)의 내부에 설치되고 위치고정편(24)이 고정홈(23)에 끼워져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고정휠(22)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 절약장치.
  2. 용수배출캡(5)을 개방시켜 변기(1)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저장통(2)에 있어서,
    상기 용수저장통(2)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벽으로 수 개의 용수배출구(31)가 형성된 용수절약통(30)과,
    상기 용수절약통(30)의 용수배출구(31)를 개폐시키며 상측이 힌지(33)로 결합되는 덮개(32)와,
    상기 덮개(32)를 이동시키는 당김끈(15)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롤러(21)와,
    상기 롤러(21)를 용수저장통(2)의 외부에서 회전시키는 조절손잡이(20)와,
    상기 조절손잡이(20)의 내측에서 용수저장통(2)의 내부에 설치되고 위치고정편(24)이 고정홈(23)에 끼워져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고정휠(22)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 절약장치.
  3. 용수배출캡(5)을 개방시켜 변기(1)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저장통(2)에 있어서,
    상기 용수저장통(2)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측으로 용수배출구(41)가 형성되는 용수절약통(40)과,
    상기 용수배출구(41)를 상하 이동하며 개폐시키는 차단판(42)과,
    상기 차단판(42)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강되는 무게를 제공하는 무게추(43)와,
    상기 무게추(43)에 연결된 당김끈(15)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롤러(21)와,
    상기 롤러(21)를 용수저장통(2)의 외부에서 회전시키는 조절손잡이(20)와,
    상기 조절손잡이(20)의 내측에서 용수저장통(2)의 내부에 설치되고 위치고정편(24)이 고정홈(23)에 끼워져 회전을 방지하는 위치고정휠(22)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 절약장치.
  4. 용수배출캡(5)을 개방시켜 변기(1)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저장통(2)에 있어서,
    상기 용수저장통(2)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측으로 용수배출구(51)가 형성되는 용수절약통(50)과,
    상기 용수배출구(51)를 상하 이동하며 개폐시키는 차단판(52)과,
    상기 차단판(52)의 상부에 고정된 당김끈(15)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레버(60)와,
    상기 레버(60)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바(61) 및 받침바(62)와,
    상기 레버(60)와 함께 기어축(71)에 결합되는 래칫기어(70)와,
    버튼(55)을 누를 때 상기 래칫기어(70)와 고정바(61)를 밀어주고 버튼(55)의 선단에 결합되며 무게추(64)가 구비된 고정판(63)과,
    상기 래칫기어(70)를 상부에서 받쳐주고 무게추(66)가 구비된 받침판(65)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 절약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받침판(65)으로 받쳐지는 래칫기어(70)와 레버(60)의 받침바(62)는 받침판(65)이 래칫기어(70)를 받치고 있는 상태에서 받침바(62)의 길이를 래칫기어(70)의 길이보다 짧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 절약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기어축(71)에는 래칫기어(70)를 고정 결합시키고, 레버(60)는 직각을 갖는 고정바(61)와 받침바(62)가 형성된 부분에서 기어축(71)에 회동되게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 절약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고정판(63)과 받침판(65)은 각각 버튼(55)의 선단과 받침브라켓(6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63)과 받침판(65)에는 고정무게추(64)와 받침무게추(66)를 일측에 형성시켜 무게에 의한 원위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수 절약장치.
KR2020020017437U 2002-06-07 2002-06-07 변기용수 절약장치 KR200291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437U KR200291200Y1 (ko) 2002-06-07 2002-06-07 변기용수 절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437U KR200291200Y1 (ko) 2002-06-07 2002-06-07 변기용수 절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200Y1 true KR200291200Y1 (ko) 2002-10-09

Family

ID=73124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437U KR200291200Y1 (ko) 2002-06-07 2002-06-07 변기용수 절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2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669B1 (ko) 2019-09-03 2020-06-02 손정우 변기밸브 개폐장치
KR20200076813A (ko) 2018-12-19 2020-06-30 한국토지주택공사 변기용수배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813A (ko) 2018-12-19 2020-06-30 한국토지주택공사 변기용수배출장치
KR102113669B1 (ko) 2019-09-03 2020-06-02 손정우 변기밸브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3047A (en) Toilet flushing system that allows use of gray water drained from a sink
US20070163034A1 (en) Flushing valve mechanism
WO2011142379A1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排水装置
JP2018516320A (ja) ロータンク洋式便器の洗浄水制御装置
KR200291200Y1 (ko) 변기용수 절약장치
JP2008223219A (ja) 直立式洋式便器用の補助水槽装置
US8430118B2 (en) Automatic flush device
JP2012522199A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リム側給水管物量調節弁
US20010052147A1 (en) Toilet stool with economized water
KR101600591B1 (ko) 대,소변에 대응하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세척수 배출장치
KR100354527B1 (ko) 절수형 수세식 변기
JPH0711680A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KR200457162Y1 (ko) 대변 및 소변에 따라 물내림양을 조절할 수 있는 좌변식 변기용 플러시밸브 구조
JP4968554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102258606B1 (ko) 대소변 구분 절수 플러쉬밸브
JP5441015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100531026B1 (ko) 절수를 위한 건축용 수세식 변기
KR101230354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100664910B1 (ko) 양변기
JP2001323530A (ja) 水洗トイレにおける洗浄水節水装置
KR101145228B1 (ko) 강제 배수식 변기 및 그 수세장치
KR200347510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200338316Y1 (ko)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
KR101135953B1 (ko) 양변기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200184930Y1 (ko) 변기용 수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