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075Y1 -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075Y1
KR200291075Y1 KR2020020017660U KR20020017660U KR200291075Y1 KR 200291075 Y1 KR200291075 Y1 KR 200291075Y1 KR 2020020017660 U KR2020020017660 U KR 2020020017660U KR 20020017660 U KR20020017660 U KR 20020017660U KR 200291075 Y1 KR200291075 Y1 KR 2002910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space
decomposition tank
tank
de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병환
Original Assignee
(주)크로바 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로바 환경 filed Critical (주)크로바 환경
Priority to KR2020020017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0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0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075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폐수중에 함유된 각종 고 농도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해처리할 수 있어 각종 폐수를 경제적으로 정화처리할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양측으로 폐수를 공급하는 급수관(2)과 폐수를 배출하는 배수관(3)을 가지며 폐수를 일정량 담수할 수 있도록 된 공간부(4)를 가지는 분해조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1)의 공간부(4)에 산화티탄 등과 같은 광촉매가 도포된 자외선램프(5)를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다수 배열 마련하고, 통상의 플라즈마발생기(6)에서 발생된 오존 및 각종 이온 등을 상기 공간부(4)에 폭기분사할 수 있도록 공간부(4)의 하부 일정위치에 폭기부재(7)가 마련되는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a discomposition Vessel for a waste water disposal plant}
본 고안은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 염색폐수, 피혁폐수, 석유화학폐수, 제지폐수와 같은 산업폐수와 축산폐수 및 생활폐수 등과 같은 각종폐수를 처리 정화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폐수중에 수화 된 각종 유기물이나 중금속 착이온들을 물층에서 이탈시키어 분해할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오염물질이 함유된 폐수는 색도가 높아서 강물이나 지하수 및 바닷물과 같은 수질을 오염시키고 또한 수중으로 유입되는 빛과 산소 등을 차단시켜 수중생물 및 미생물에 엄청난 피해를 끼치고 있으며 수자원의 오염으로 용수생산에도 큰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인구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에 따라 산업폐수의 발생량 또한 급증추세에 있으며 이들로 인한 환경공해 및 생태계파괴가 큰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방류폐수의 법적 환경기준치를 마련하여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그 처리수단 및 방법에 대하여 많은 고심과 더불어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도 화공약품으로 오염성분을 응집하는시키는 방법, 미생물에 의한 처리방법 등 여러 방식의 폐수처리장치가 안출 된 바 있으나, 폐수 중의 계면활성성분과 같은 난 분해성 오염성분의 분해나 물질변화 및 집체에 의한 정화 및 제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정화효율이 매우 낮고 처리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1급수나 2급수와 같이 COD가 비교적 낮은 상수도 원수를 오존으로 고도 정화처리하는 것은 가능하나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 고농도 축산폐수와 염색폐수, 석유화학폐수, 제지폐수, 제당폐수와 같은 고농도 산업폐수를 오존으로 정화처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쓰레기 매립장 침출수, 염색폐수, 피혁폐수, 석유화학폐수, 제지폐수와 같은 산업폐수와 축산폐수 및 생활폐수와 같은 각종 폐수중으로 광촉매에 의해 모든 유기물이나 세균을 소각 분해하고 각종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악취를 제거하여 할 수 있으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을 폭기 방사하여 폐수의 색도, 화학적 산소요구량,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그리고 분산된 고체입자 등을 크게 저하시며 정화 처리할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광촉매는 태양광이나 형광등에서 방사되는 300∼400nm 대역의 파장영역을 가지는 자외선을 산화티탄이 코팅된 물체의 표면에 조사하면 강력한 산화, 환원반응이 진행된다.
즉, 전자에 의한 반응(환원반응)과 정공에 의한 반응(산화반응)이 동시에 일어나게되는데 이것이 광촉매 반응이다.
산화티탄의 특징은 여기전자가 갖는 환원력보다도 정공이 갖는 대단히 강한 산화력이 있다.
이 정공의 에너지 위치는 전위로 나타내면 수소기준 전위로 약 +3V로써 물의 산화전위가 약 1.2V, 수처리에서 자주 사용되는 염소, 오존이 각각 1.36V, 2.07V인 것을 감안하면 산화력의 강도를 짐작할 수 있으며, 이를 열에너지와 비교하면 36,000℃의 에너지에 상당한다.
즉 산화티탄에 광을 조사하면 표면이 36,000℃로 가열되는 것과 같은 상태로 되어 모든 유기물이나 세균을 소각 분해할 뿐만아니라 각종 오염물질을 분해시키고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기 중에서 고전압 저전류에 의한 교류방전으로 생성되는 플라즈마는 이온, 라디컬, 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코로나 방전에서는 산소 이온, 오존 이온, 하이드록시 라디컬 등과 같은 음이온, 라디컬과 전자가 주로 발생함으로 플라즈마 발생장치는 이온발생장치라고도 한다. 그러나 스파크 방전에서는 오존이 주로 발생하므로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오존발생장치라 부르기도 한다.
이와 같이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이나 각종 이온 및 혼합가스를 폐수에 버블링시키면 산업폐수의 색도, 화학적 산소요구량,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그리고 분사된 고체입자(중금속)입자 등을 크게 저하시켜 폐수가 정화처리되며 산소 용해도 크게 증가한다.
이하, 본 고안의 폐수처리용 분해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
[도면중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해조, 2 : 급수관,
3 : 배수관, 4 : 공간부,
5 : 자외선램프, 6 : 플라즈마발생기,
7 : 폭기부재, 8 : 렌즈,
9 : 반사판 10 : 광촉매 분말,
11 : 제어부재 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1)는 양측으로 폐수를 공급하는 급수관(2)과 폐수를 배출하는 배수관(3)을 가지며 폐수를 일정량 담수할 수 있도록 된 공간부(4)를 가지는 분해조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1)의 공간부(4)에 산화티탄 등과 같은 광촉매가 도포된 자외선램프(5)를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다수 배열 마련하고, 통상의 플라즈마발생기(6)에서 발생된 오존 및 각종 이온 등을 상기 공간부(4)에 폭기분사할 수 있도록 공간부(4)의 하부 일정위치에 폭기부재(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분해조(1)의 상부에는 태양광을 투광할 수 있도록 된 렌즈(8)가 부설되며, 분해조(1)의 공간부(4)에는 상기 렌즈(8)에서 투광된 태양광을 반사하여 상기 공간부(4)에 방사할 수 있도록 반사판(9)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분해조(1)의 공간부(4)에는 산화티탄 등과 같은 광촉매 분말(10)이 마련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11은 제어부재 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1)는 폐수처리장치에 사용되어 폐수를 분해처리하는데 사용된다.
먼저 유입된 폐수는 급수관(2)을 통해 분해조(1)의 공간부(4)에 담수된다.
이와 같이 분해조(1)에 폐수가 담수된 후 제어부재(11)를 통해 자외선램프(5)에 전원을 인가하면 자외선 램프(5)와 광촉매 분말(10)에서는 광촉매 반응이 발생하고, 플라즈마발생기(6)에서는 크로나 방전이 발생하여 오존 및 각종 이온이 발생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발생기(6)에서 오존 및 이온이 발생을 하면 발생된 이온및 오존은 폭기부재(7)에 의해 분해조(1)의 공간부(4)에 폭기 방사되어 폐수중에 함유된 각조 이물질(중금속, 유기물, 무기물)등을 제거 분해 처리하게 되며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자외선 램프(5)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광촉매와 반응하여 강력한 산화, 환원반응이 진행되고 유기물이나 세균을 분해할 뿐만아니라 각종 오염물질을 분해시키고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렌즈(8)를 통해 투광된 태양광은 반사판(9)을 통해 분해조(1)의 공간부(4)로 방사되어 태양광에 의한 폐수의 정화작용이 촉진되게 되며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파장에 의해 광촉매 분말에서 산화,환원반응이 발생하여 폐수의 분해처리를 보다 촉진할 수있다.
이와 같이 분해조(1)에서 각종 산화 및 환원 반응이 일어나면 폐수 중에 용해되어 수화되어 있는 유기물이나 중금속착이온들 및 각종 유기물이나 세균들은 분해되며 각종 오염물질이 분해되고 악취 또한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폐수의 분해처리가 완료되면 배수관(3)을 통해 폐수처리장치의 다음 단계의 처리조로 이송시켜 폐수의 정화처리를 진행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분해조(1)가 적용된 폐수처리장치는 먼저 와류교반 터보믹서펌프를 이용하여 유입된 폐수를 분해조로 압송을 하면서 폐수에 오존을 투입시켜 오존에 의해 이물질을 정화처리할 수 있게 한 후, 분해조(1)로 유입된 폐수를 초음파진동 및 광촉매 반응 그리고 전해처리에 의해 각종 유기물, 무기물 중금속, 세균 등과 같은 유해물을 분해처리를 하고, 배수관을 통해 PH조정조로 투입을 시킨다.
이와 같이 PH조정조에 분해처리 된 폐수가 유입되면 산 및 알카리를 투여하여 PH치를 조정하고, 미생물반응조에서 미생물을 처리한 후, 침전제가 투여된 침전조에서 침전을 시키고, 활성탄 필터를 통해 여과 시킨 후 방류하여 정화된 물을 재사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는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폐수중에 함유된 각종 고 농도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해처리할 수 있어 각종 폐수를경제적으로 정화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양측으로 폐수를 공급하는 급수관(2)과 폐수를 배출하는 배수관(3)을 가지며 폐수를 일정량 담수할 수 있도록 된 공간부(4)를 가지는 분해조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1)의 공간부(4)에 산화티탄 등과 같은 광촉매가 도포된 자외선램프(5)를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다수 배열 마련하고, 통상의 플라즈마발생기(6)에서 발생된 오존 및 각종 이온 등을 상기 공간부(4)에 폭기분사할 수 있도록 공간부(4)의 하부 일정위치에 폭기부재(7)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해조(1)의 상부에는 태양광을 투광할 수 있도록 된 렌즈(8)가 부설되며, 분해조(1)의 공간부(4)에는 상기 렌즈(8)에서 투광된 태양광을 반사하여 상기 공간부(4)에 방사할 수 있도록 반사판(9)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분해조(1)의 공간부(4)에는 산화티탄 등과 같은 광촉매 분말(1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
KR2020020017660U 2002-06-10 2002-06-10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 KR2002910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660U KR200291075Y1 (ko) 2002-06-10 2002-06-10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660U KR200291075Y1 (ko) 2002-06-10 2002-06-10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075Y1 true KR200291075Y1 (ko) 2002-10-09

Family

ID=7312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660U KR200291075Y1 (ko) 2002-06-10 2002-06-10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0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daş et al. Treatment of pharmaceutical wastewater by combination of electrocoagulation, electro-fenton and photocatalytic oxidation processes
Kalra et al.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treatment of textile and dye wastewater: a review
US7160472B2 (en) Treatment of a waste stream through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xyhydrogen gas
KR20030094948A (ko) 악성폐수처리방법 및 그 장치
US7837882B2 (en) Treatment of a waste stream through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xyhydrogen gas
US9187347B2 (en) Treatment of a waste stream through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xyhydrogen gas
KR100808935B1 (ko) 플라즈마 및 광촉매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
Sathasivam et al. Industrial waste water treatment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A review
US9296629B2 (en) Treatment of a waste stream through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xyhydrogen gas
WO2014165998A1 (en) Treatment of a waste stream through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oxyhydrogen gas
JPH10305287A (ja) オゾン触媒反応装置
KR200287646Y1 (ko)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
KR200291075Y1 (ko) 폐수처리장치용 분해조
KR100390652B1 (ko) 광촉매 반응을 이용한 폐수의 처리방법
JP4662327B2 (ja) 排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232281B1 (ko) 전자 가속기를 이용한 폐수 처리 시스템
JP2004136274A (ja) 塗料廃水の処理方法
JP2000157972A (ja) 汚水高度処理装置
KR100271945B1 (ko) 방사선과tio₂를이용한하수및폐수의처리방법
JP2004089991A (ja) 塗装廃水の処理方法
KR20030076931A (ko) 고도산화처리시설
KR20050090663A (ko) 광펜톤산화메카니즘을 이용한 난분해성 폐수처리방법 및장치
KR100461894B1 (ko) 오폐수 고도 정화처리방법
Gopal et al. corrected Proof
KR20000059854A (ko) 광촉매기술을 이용한 폐수의 질소성분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