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1046Y1 - 낚싯줄용 홀더 - Google Patents

낚싯줄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1046Y1
KR200291046Y1 KR2020020020918U KR20020020918U KR200291046Y1 KR 200291046 Y1 KR200291046 Y1 KR 200291046Y1 KR 2020020020918 U KR2020020020918 U KR 2020020020918U KR 20020020918 U KR20020020918 U KR 20020020918U KR 200291046 Y1 KR200291046 Y1 KR 200291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holder
spiral
fishing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풍
Original Assignee
전재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풍 filed Critical 전재풍
Priority to KR2020020020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10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1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104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찌나 편납과 같이 낚싯줄에 장착되는 각종 낚시채비를 낚싯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낚싯줄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홀더(1)는 선형의 소재를 여러 바퀴 감은 나선(10)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10)의 입구(11)를 통해 상기 낚싯줄(2)을 접근시켜 돌리면 상기 낚싯줄(2)이 상기 나선(10)의 내부 공간(12) 안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낚싯줄(2)의 말단이 아닌 측면으로부터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선(10)은 내부의 고강도 소재(20)와 상기 고강도 소재(20)를 피복하는 탄성소재(30)로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홀더(1)는 그 나선(10)의 내경크기를 조절하고 찌삽입고무(40)나 편납권취대(50) 등을 추가함으로써, 고정찌고무, 유동찌고무, 편납홀더, 찌멈춤매듭 등을 대용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낚싯줄용 홀더{Holder for Fishing Line}
(기술분야)
본 고안은 낚싯줄용 홀더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찌나 편납과 같이 낚싯줄에 장착되는 각종 낚시채비를 낚싯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하는 낚싯줄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민물낚시나 바다낚시를 위한 채비를 마련함에 있어서는, 낚싯줄의 말단이 아닌 낚싯줄의 임의의 중간 부분에 장착해야 하는 채비들이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낚시찌와 편납(片鉛)이다.
도8은 종래의 예시적인 고정찌채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찌(100A)는 봉돌과 중력-부력의 균형을 이룬 상태에서 수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낚싯줄(1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낚시찌(100A)를 낚싯줄(110)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낚싯줄(110)에는 고정찌고무(120)가 장착된다.
고정찌고무(120)는 중앙에 관통구멍(121)이 형성된 관(pipe) 형상의 탄성고무로 되어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21)으로 낚싯줄(110)을 꿰어 넣음으로써 낚싯줄(11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고정찌고무(120)는 그 관통구멍(121)의 내경이 낚시찌(100A)의 찌날라리(101) 보다 작아서,관통구멍(121)으로 찌날라리(101)를 강제로 끼워 넣으면, 고정찌고무(120)의 탄성력이 관통구멍(121)에 끼워져 있는 낚싯줄(110)과 찌날라리(101)를 압박하게 되므로, 강제로 고정찌고무(120)를 당겨 올리거나 내리지 않는 한, 낚시찌(100A)는 낚싯줄(110)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채비를 '고정찌채비'라 한다.
고정찌채비에 대응하는 채비로서 유동찌채비가 있다. 유동찌는 낚시찌를 낚싯줄에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부력과 중력에 의해 낚싯줄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낚시찌를 낚싯줄에 장착하는 채비이며, 이를 위해 유동찌고무라고 하는 채비가 사용된다.
도9는 종래의 예시적인 유동찌채비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찌고무(130)는 낚싯줄(110)이 꿰어 넣어지는 고리구멍(131)과 유동찌(100B)의 찌날라리(101)가 끼워지는 찌삽입고무(132)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구멍(131)의 내경은 낚싯줄(11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유동찌고무(130)에 장착된 낚시찌(100B)는 낚싯줄(110)을 따라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된다.
따라서, 유동찌채비에서는 낚시찌(100B)가 수심에 맞는 위치까지만 낚싯줄(110)을 따라 올라가고 그 이상은 올라가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 바, 이를 위해 찌멈춤매듭(140)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찌멈춤매듭(140)은 낚싯줄(110)에 매어지되 낚싯줄(110)을 따라 강제로 밀어 올리거나 내리지 않는 한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낚싯줄(110)에 묶여진다. 찌멈춤매듭(140)의 매듭크기는 유동찌고무(130)의 고리구멍(131) 보다 직경이커서 유동찌고무(130)가 찌멈춤매듭(140)에 이르면 부력이 작용하여도 더 이상 위로 이동하지 못하고 멈추게 되며, 따라서 낚시인은 유동찌고무(130)를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낚시찌(100B)의 위치를 수심에 맞추게 된다.
낚싯줄의 중간에 장착되는 채비로서 봉돌을 대신하여 또는 봉돌과 함께 사용하여 낚시찌의 부력에 대응하는 중량을 제공하고, 이런 중량을 미세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박판의 납으로 된 편납을 들 수 있다. 편납은 기존의 봉돌 사용에 따른 미세한 중량 조절 어려움을 극복하고 봉돌에 의한 낚싯줄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서, 편납의 장착에는 편납홀더가 널리 사용된다.
도10은 종래의 예시적인 편납홀더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편납홀더(150)는 중앙에 관통구멍(151)이 형성된 상하로 길게 신장된 파이프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하에는 돌기(152)가 형성되어 있다. 편납홀더(150)는 상기 관통구멍(151)에 낚싯줄을 꿰어 넣음으로써 낚싯줄(110)에 장착되며, 돌기(152) 사이의 편납권취대(153)에 감기는 편납(154)의 량을 조절함으로써 부력에 대응하는 중력을 조절한다.
이상 도8 내지 도10에서, 도면부호 160은 낚시바늘, 170은 낚시바늘(160)을 결속하기 위한 도래, 180은 봉돌을 나타낸다.
낚시찌용 고정찌고무(120), 유동찌고무(130) 및 편납홀더(150)와 같이 낚싯줄(110)의 말단이 아닌 중간에 장착되는 채비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이들을 낚싯줄(11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 관통구멍(121, 151)이나 고리구멍(131) 등, 작은 구멍 안으로 낚싯줄(110)을 꿰어 넣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낚시채비를 처음 세팅할 때 실수로 고정찌고무(120) 등을 미리 낚싯줄에 꿰어 넣지 않은 상태로 도래나 봉돌을 결속해 버린 경우 다시 도래나 봉돌을 풀어내야만 하고, 낚시를 하는 중간에 이들 채비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도 도래나 봉돌 등을 모두 풀어내어 다시 결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일부 유동찌채비에 있어서는 한번 사용하면 재사용이 어려운 찌멈춤매듭(140)을 다시 마련하여야 하는 등,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낚시찌나 편납과 같이 낚싯줄의 중간에 장착되는 낚시채비를 낚싯줄에 장착하는 것에 관련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낚싯줄의 중간에 장착되는 낚시채비를 보다 용이하게 낚싯줄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싯줄용 홀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낚싯줄용 홀더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홀더에 적용된 예시적인 나선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홀더를 고정찌고무로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4는 본 고안의 홀더를 유동찌고무로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5는 본 고안의 홀더를 유동찌고무로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6은 본 고안의 홀더를 편납홀더로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7은 본 고안의 홀더를 찌멈춤매듭으로 사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8은 종래의 예시적인 고정찌채비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9는 종래의 예시적인 유동찌채비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10은 종래의 예시적인 편납홀더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내지 1E: 본 고안의 홀더 2: 낚싯줄 3, 3A, 3B : 낚시찌
4A, 4B: 찌날라리 5: 편납 6: 찌멈춤매듭
10, 10A,10B,10C,10D: 나선 11: 입구 12: 내선 내부공간
20; 고강도 소재 30: 탄성소재 40: 찌삽입고무
50: 편납권취대
본 고안에 따라, 낚싯줄의 중간에 장착되는 각종 낚시채비(낚시찌, 편납 등)를 상기 낚싯줄에 장착하기 위한 낚싯줄용 홀더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낚싯줄용 홀더는, 선형의 소재를 여러 바퀴 감아 스프링과 같은 형상의 나선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나선의 입구를 통해 상기 낚싯줄을 접근시켜 돌리면 상기 낚싯줄이 상기 나선의 내부 공간 안으로 끼워지고, 결국 본 고안의 낚싯줄 홀더는 낚싯줄의 말단이 아닌 측면으로부터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낚싯줄용 홀더에 의하면 낚싯줄의 말단을 통해 꿰어 넣기 위해 이미 낚싯줄에 결속한 다른 채비들(예, 봉돌, 낚시바늘 등)을 풀러내고 다시 결속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선은 내부의 고강도 소재와 상기 고강도 소재를 피복하는 탄성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나선은 끼워지는 고정찌의 찌날라리를 탄성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정도의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찌를 상기 낚싯줄에 고정시키는 고정찌고무를 대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나선의 일측에 유동찌의 찌날라리 삽입을 위한 찌삽입고무를 더 포함시키고 상기 나선은 상기 낚싯줄을 따라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유동찌를 상기 낚싯줄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유동찌고무를 대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나선은 상하 2개의 나선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나선은 편납이 감기는 길게 신장된 편납권취대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나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나선은 상기 낚싯줄을 따라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편납을 상기 낚싯줄에 장착하는 편납홀더를 대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나선은 상기 낚싯줄에 밀착 고정되어 강제로 이동시키지 아니하는 한 이동되지 않는 정도의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유동찌의 상부이동을 제한하는 찌멈춤매듭을 대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싯줄용 홀더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줄용 홀더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싯줄용 홀더(1)는, 선형의 소재를 마치 스프링과 같이 여러 바퀴 감은 나선(10)으로 되어 있다. 나선(10)은 예를 들러 고강도의 플라스틱 합성수지와 같은 단일의 탄성소재로 성형할 수도 있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이 발생하지 않는 금속 선재와 같은 고강도 소재(20)의 둘레를 플라스틱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소재(30)로 피복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후자의 이중구조에서 고강도 소재(20)는 홀더(1)의 전체적인 골격을 유지하여 후술하는 낚시찌(3)와 같은 채비를 낚싯줄(2)에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고, 탄성소재(30)는 찌날라리(4)와 같은 채비가 나선(10)의 내부로 끼워 넣어지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단 끼워진 채비가 탄성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낚싯줄용 홀더(1)는 상기 나선(10)의 입구(11)를 통해 낚싯줄(2)을 접근시켜 돌림으로써 낚싯줄(2)을 나선(10)의 내부 공간(12) 안으로 끼워 넣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낚싯줄(2)의 말단이 아닌 측면을 통해 낚싯줄(2)에 장착되며, 이로써 낚싯줄(2)의 말단을 통해 끼워 넣은 것과 같이 낚싯줄에 장착된다.
본 고안의 홀더(1)는, 매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각종 채비를 낚싯줄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하,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용도와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홀더(1)를 기존의 고정찌고무의 용도로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고정찌고무로서 사용될 수 있기 위해, 본 구체예의 홀더(1A)는 그 나선(10)이 여기에 끼워지는 고정찌(3A)의 찌날라리(4A)를 탄성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정도의 내경을 가진다. 따라서 나선(10)의 입구(11)로 낚싯줄(2)을 끼워 넣어 홀더(1A)가 낚싯줄(2)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나선(10)의 내부는 찌날라리(4A)를 강제로 끼워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하고, 따라서 이 공간에 찌날라리(4A)를 끼워 넣으면 고정찌(3A)가 낚싯줄(2)에 장착되고 홀더(1A)를 낚싯줄(2)을 따라 강제로 올리거나 내려서 고정찌(3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홀더(1)를 기존의 유동찌고무의 용도로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유동찌고무로서 사용될 수 있기 위해, 본 구체예의 홀더(1B)는, 나선(10)의 일측에 유동찌(3B)의 찌날라리(4B) 삽입을 위한 찌삽입고무(40)가 형성되어 있고, 나선(10)의 내경은 낚싯줄(2)을 따라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고 찌멈춤매듭(6)은 통과되지 못하는 정도의 내경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나선(10)의 입구를 통해 낚싯줄(2)을 삽입하여 홀더(1B)를 낚싯줄에 장착한 후에 상기 찌삽입고무(40)에 유동찌(3B)의 찌날라리(4B)를 꽂으면, 홀더(1B)는 낚싯줄(2)을 따라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낚싯줄(2)에 장착되고, 홀더(1B)의 상측이동은 낚싯줄(2)에 결속한 찌멈춤매듭(6)의 위치에서 제한된다. 찌멈춤매듭(6)은 기존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도7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인 찌멈춤매듭 대용 홀더(1E)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5의 홀더(1C)는 도4 구체예의 변형으로써 나선(10)을 상하의 2개의 나선(10A, 10B)으로 구성하고, 상하의 나선들(10A, 10B) 사이에 찌삽입고무(40)를 연결한 것이다.
도6은 본 고안의 홀더(1)를 기존의 편납홀더의 용도로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편납홀더로서 사용될 수 있기 위해, 본 구체예의 홀더(1D)는 상기 나선(10)을 편납(5)이 감기는 길게 신장된 편납권취대(50)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나선(10C, 10D)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나선(10C, 10D)의 내경은 낚싯줄(2)을 따라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내경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각각의 나선(10C, 10D)의 입구(11)로 낚싯줄(2)을 끼워 넣어 홀더(1D)가 낚싯줄(2)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두 나선(10C, 10D) 사이의 편납권취대(50)에 편납(5)을 감으면 편납(5)이 감긴 상태에서 홀더(1D)는 낚싯줄(2)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지만, 편납(5)의 하중에 의해 낚시바늘(7)을 연결한 도래(8)에 이르는 위치까지 내려가서 봉돌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편납권취대(50)는 편납(5)을 감기 편하도록 나선(10)에 대비하여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7은 본 고안의 홀더(1)를 기존의 찌멈춤매듭의 용도로 사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찌멈춤매듭으로 사용할 수 있기 위해, 본 구체예의 홀더(1E)는 그 나선(10)이 낚싯줄(2)에 삽입하였을 때 낚싯줄(2)에 밀착 고정되어 홀더(1E)를 강제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현재의 위치에 낚싯줄(2)에 견고하여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유동찌고무(3C)에 찌날라리(4B)를 삽입하여 장착한 유동찌(3B)는 홀더(1E)가 있는 위치까지만 상승하게 된다. 물론 이때 홀더(1E)의 외경은 유동찌고무(3C)에 형성된 구멍의 내경보다는 크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9는 일반 봉돌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다른 홀더(1)에 의하면, 낚시찌나 편납과 같이 낚싯줄의 중간에 장착되는 각종 낚시채비를 낚싯줄에 장착함에 있어서 낚싯줄의 말단으로부터 꿰어 넣을 필요 없이 바로 낚싯줄의 측면으로부터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이미 낚싯줄에 결속된 다른 채비들(예, 봉돌, 낚시바늘 등)을 풀러내고 다시 결속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보다 편리하게 각종 낚시채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낚싯줄(2)의 중간에 각종 낚시채비를 장착하기 위한 낚싯줄용 홀더에 있어서,
    선형의 소재를 여러 바퀴 감은 나선(10)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10)의 입구(11)를 통해 상기 낚싯줄(2)을 접근시켜 돌리면 상기 낚싯줄(2)이 상기 나선(10)의 내부 공간(12) 안으로 끼워짐으로써 상기 낚싯줄(2)의 말단이 아닌 측면으로부터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10)은 내부의 고강도 소재(20)와 상기 고강도 소재(20)를 피복하는 탄성소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10)은 끼워지는 고정찌(3A)의 찌날라리(4A)를 탄성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정도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고정찌(3A)를 상기 낚싯줄(2)에 고정시키기 위한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홀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10)의 일측에는 유동찌(3B)의 찌날라리(4B) 삽입을 위한 찌삽입고무(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선(10)은 상기 낚싯줄(2)을 따라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유동찌(3B)를 상기 낚싯줄(2)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홀더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10)은 2개의 나선(10A, 10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홀더.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10)은 편납(5)이 감기는 길게 신장된 편납권취대(50)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나선(10C, 10D)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선(10C, 10D)은 상기 낚싯줄(2)을 따라 상하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편납(5)을 상기 낚싯줄(2)에 장착하기 위한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홀더.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10)은 상기 낚싯줄(2)에 밀착 고정되어 강제로 이동시키지 아니하는 한 이동되지 않는 정도의 내경을 가지며, 유동찌(3B)의 상부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홀더.
KR2020020020918U 2002-07-12 2002-07-12 낚싯줄용 홀더 KR2002910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918U KR200291046Y1 (ko) 2002-07-12 2002-07-12 낚싯줄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918U KR200291046Y1 (ko) 2002-07-12 2002-07-12 낚싯줄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1046Y1 true KR200291046Y1 (ko) 2002-10-04

Family

ID=7312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918U KR200291046Y1 (ko) 2002-07-12 2002-07-12 낚싯줄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10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018B1 (ko) 2006-07-31 2007-12-14 서영대 찌매듭 유도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0337U (ko) 2018-08-01 2020-02-11 이몽용 찌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018B1 (ko) 2006-07-31 2007-12-14 서영대 찌매듭 유도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00337U (ko) 2018-08-01 2020-02-11 이몽용 찌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67754A (ja) 釣り具
KR200291046Y1 (ko) 낚싯줄용 홀더
KR200478387Y1 (ko) 웜루어 원터치 샷
US2709315A (en) Fishing pole
US20120000112A1 (en) Flexible shaft spinnerbait fishing lure assembly with&#34;V&#34; shaped stabilizer
KR101567021B1 (ko) 낚시추
US2911754A (en) Fishing float
CN214801811U (zh) 一种自动找底的免调浮漂
KR200354251Y1 (ko) 낚시줄 유동방지용 낚시찌
KR200344897Y1 (ko) 부력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수중찌
KR200227432Y1 (ko) 떡밥 뭉치기용 낚시바늘 지지체
KR100960264B1 (ko)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CN210808886U (zh) 一种钓鱼线组合
KR970001359Y1 (ko) 수중찌
JP2007061050A (ja) 釣部品の取付具及び取付具を備えた釣部品
US2623323A (en) Fishing sinker
KR102607742B1 (ko) 바닥추의 무게조절이 용이한 분할추채비
KR200344536Y1 (ko) 나선형 낚시용 봉돌
KR200401480Y1 (ko) 매듭처리가 가능한 고무 편납홀더
JP3175019U (ja) 釣り用変わりテンヤ仕掛け
JP4822930B2 (ja) 伸縮自在な釣り用天秤及びそれを備えた釣り用仕掛け
CN212937481U (zh) 一种鱼线前导线绑线器
JPH01285137A (ja) 釣機用しなり調節竿
KR960007062Y1 (ko) 낚시찌 멈춤구
KR200286355Y1 (ko) 낚시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