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264B1 -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 Google Patents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264B1
KR100960264B1 KR1020090130355A KR20090130355A KR100960264B1 KR 100960264 B1 KR100960264 B1 KR 100960264B1 KR 1020090130355 A KR1020090130355 A KR 1020090130355A KR 20090130355 A KR20090130355 A KR 20090130355A KR 100960264 B1 KR100960264 B1 KR 100960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trol unit
buoyancy
buoyancy control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갑수
Original Assignee
한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갑수 filed Critical 한갑수
Priority to KR1020090130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력을 가진 소재로 되며, 세로 방향으로 중공부(101)를 형성한 부구(1)와; 상기 부구(1)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조절부(2)와; 상기 부력조절부(2) 외부에 부착되는 중량조절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에 있어서,
상기 부구(1)와 부력조절부(2)를 일체로 형성하여, 부구(1)의 상단부에서 부력조절부(2)의 하단부까지 세로 방향으로 이어진 중공부(101)를 형성하며,
상기 부력조절부(2)의 하단부에는 부력조절부(2)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진 받침부(201)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수중찌의 중량을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수중찌의 부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현장 조황하에서도 입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낚시, 수중찌, 부력, 부구, 부력조절부, 중량조절부재

Description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Fishing float of which weight can be adjusted}
본 발명은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중찌의 하단부에 권취부를 형성하여 그 권취부에 중량조절부재를 권취하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으로 쉽게 조절하여 수중찌의 부력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한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 위한 채비를 살펴보면 낚시원줄과, 상기 낚시원줄에 끼워져 어신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시켜 주는 낚시찌, 상단부에는 상기 낚시원줄을 연결하고 하단부에는 낚시목줄을 연결하는 도래봉돌, 상기 낚시찌와 도래봉돌 사이에 끼워지는 수중찌, 상기 낚시목줄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 등이 있다.
한편, 상기한 낚시 채비 중에서 낚시찌와 도래봉돌 사이에는 끼워지는 수중찌는 주로 바다낚시에서 이용하는 것으로서, 바람과 상층조류의 방향에 영향을 받는 낚시찌를 하층조류의 방향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낚시바늘의 원거리 투하와 입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일반적인 수중찌는 주로 합성수지재로 된 몸체에 일정 중량의 무게추를 결합하여 적절한 부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일반적인 수중찌는 그 사용 목적 달성을 위해서 하층조류의 세기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부력을 수시로 조절해야 하나, 종래의 수중찌는 무게추를 교체하는 등의 방법으로 무게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부력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중찌 전체를 중량이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해야 함으로써, 다수의 수중찌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중찌를 일일이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수중찌를 일일이 교체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부 낚시꾼은 낚싯줄에서 원하는 위치에 납덩어리를 직접 압압하여 고정하는 경우도 있으나, 낚싯줄에 직접 납덩어리를 부착 고정하게 되면 점차 납의 응력이 저하되어 낚싯줄과의 결합이 헐거워짐으로써 결국엔 납덩어리가 낚싯줄을 타고 엉뚱한 곳으로 이동함으로써, 낚시꾼이 전혀 의도하지 않는 부력 변화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중찌의 중량을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수중찌의 부력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한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진 소재로 되며, 세로 방향으로 중공부(101)를 형성한 부구(1)와; 상기 부구(1)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조절부(2)와; 상기 부력조절부(2) 외부에 부착되는 중량조절부재(3)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한편, 상기 부구(1)와 부력조절부(2)를 일체로 형성하여, 부구(1)의 상단부에서 부력조절부(2)의 하단부까지 세로 방향으로 중공부(10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조절부(2)의 외경은 부구(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부력조절부(2)의 하단부에는 부력조절부(2)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진 받침부(20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구(1)의 중공부(101)에는 관체(4)를 삽설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체(4)의 하단부에는 받침부(402)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구(1)의 중공부(101)에는 관체(4)를 삽설하여 부구(1)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 관체(4)의 하부를 부력조절부(401)로 형성하고, 그 하단부에는 받침부(402)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찌의 중량을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수중찌의 부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현장 조황하에서도 입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부구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여 상품성이 우수한 이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량조절부재(3)를 권취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진 소재로 되며, 세로 방향으로 중공부(101)를 형성한 부구(1)와; 상기 부구(1)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조절부(2)와; 상기 부력조절부(2) 외부에 부착되는 중량조절부재(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구(1)는 높은 부력을 가진 목재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부력을 가진 소재라면 제조 원가를 고려하여 어떠한 것이든 선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한편, 부구(1)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부(101)에는 낚싯줄이 원활히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부구(1)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조절부(2)는 부구(1)와 일체로 형성하거나, 부구(1)와 별도의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구(1)와 부력조절부(2)를 일체로 된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부력조절부(2) 외부에는 중량조절부재(3)를 부착하게 되는데, 이 종량조절부재(3)는 낚시꾼들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납을 띠 형상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띠 형상의 납과 같이 밀도가 높으면서도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며, 쉽게 구부러지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함으로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부력조절부(2)의 외경은 부구(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부력조절부(2)의 하단부에는 부력조절부(2)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진 받침부(201)를 형성함으로써, 띠 형상으로 된 중량조절부재(3)를 부력조절부(2)에 적절히 감아서 중량을 조절할 때, 부력조절부(2)에 감긴 중량조절부재(3)가 아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중량조절부재(3)를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조절부(2)에 원하는 만큼 여러 겹으로 감으면 중량조절부재(3)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수중찌의 무게와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중량조절부재(3)를 이용하여 수중찌의 무게와 부력을 조절하게 되면, 가벼운 낚시채비의 저푼수 낚시를 할 때,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수중찌가 낚시원줄의 단부에 연결되므로 낚시바늘을 원하는 포인트로 던져 넣을 때, 가벼워서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저푼수 낚시의 단점을 수중찌의 무게가 보완해주기 때문에 낚시바늘을 원하는 포인트로 던져 넣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낚시바늘을 원하는 포인트에 던져 넣은 후에는 첨부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원줄(5)과 낚시목줄(7)을 연결하는 도래봉돌(6)에 의해 낚시원줄이 세로 방향으로 눌어진 후 수중찌는 그 부력에 의해 낚시원줄을 따라 부상하여 낚시꾼이 원하는 지점에 고정시켜 놓은 스토퍼(9)까지 부상하기 때문에 도래봉돌 아래에 연결된 낚시목줄에는 수중찌의 무게에 의한 영향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낚시바늘(8)에 끼워진 미끼의 안정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수중의 고기에게 주는 위화감이 감소하여 입질이 향상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 예시도로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부력조절부(2)를 일체로 형성한 부구(1)의 중공부(101)에는 관체(4)를 삽설하되, 그 관체(4)의 하단부를 부력조절부(2)의 하단으로 돌출 형성한 후 외측으로 접어서 받침부(402)를 형성함으로써, 받침부(402)를 부구(1)의 소재와 다른 소재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관체(4)를 부구(1)보다 내구성이 강한 소재로 형성할 경우에는 받침부(402)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낚싯줄에 의한 부구(1)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구(1)의 중공부(101)에는 관체(4)를 삽설하여 관체(4)의 하단부를 부구(1)의 하부로 돌출함으로써 관체(4)의 하부를 부력조절부(401)로 형성하고, 그 하단부에 받침부(402)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그 부력조절부(401)에 중량조절부재(3)를 감아서 설치할 수 있는데 이처럼 관체(4)가 부구(1)를 통과하도록 구성하더라도 위에서 설명한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량조절부재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부구
101: 중공부
2: 부력조절부
201: 받침부
3: 중량조절부재
4: 관체

Claims (6)

  1. 부력을 가진 소재로 되며, 세로 방향으로 중공부(101)를 형성한 부구(1)와; 상기 부구(1)의 하부에 형성되는 부력조절부(2)와; 상기 부력조절부(2) 외부에 부착되는 중량조절부재(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에 있어서,
    상기 부구(1)와 부력조절부(2)를 일체로 형성하여, 부구(1)의 상단부에서 부력조절부(2)의 하단부까지 세로 방향으로 이어진 중공부(101)를 형성하며,
    상기 부력조절부(2)의 하단부에는 부력조절부(2)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진 받침부(201)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130355A 2009-12-24 2009-12-24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KR100960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355A KR100960264B1 (ko) 2009-12-24 2009-12-24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355A KR100960264B1 (ko) 2009-12-24 2009-12-24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264B1 true KR100960264B1 (ko) 2010-06-04

Family

ID=4236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355A KR100960264B1 (ko) 2009-12-24 2009-12-24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7365B1 (en) * 2010-06-03 2018-01-16 Field Systems Research, LLC Fishing line accessor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639B1 (ko) 2001-05-28 2003-03-26 정윤기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 및 이를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639B1 (ko) 2001-05-28 2003-03-26 정윤기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 및 이를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7365B1 (en) * 2010-06-03 2018-01-16 Field Systems Research, LLC Fishing line accessor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US11109580B1 (en) * 2010-06-03 2021-09-07 Field System Research, Llc Fishing line accessor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445B2 (en) Adjustable buoyancy fishing bobber system
KR100960264B1 (ko)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KR100982541B1 (ko) 낚시추
JP2003092961A (ja) 多機能補助パイプを使用する可変浮力中通し浮き
KR100858909B1 (ko) 낚시추
KR101567021B1 (ko) 낚시추
US20140075823A1 (en) Fishing weight having optimized buoyancy characteristics
US20120030991A1 (en) Floating fishing lure supporting a dancing bait on the water surface
CN211607936U (zh) 一种带有便于安装钓鱼铅坠的渔具
CN208191942U (zh) 一种磁吸浮漂
KR101556764B1 (ko) 낚시용 채비
CN206150234U (zh) 多功能杠杆钓钩
CN214801811U (zh) 一种自动找底的免调浮漂
KR200399569Y1 (ko) 낚시용 찌
KR200344897Y1 (ko) 부력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수중찌
KR200381813Y1 (ko) 낚시용 찌
CN216088404U (zh) 一种软尾串珠浮漂
KR200377267Y1 (ko) 낚시용 흘림찌
KR200285738Y1 (ko) 낚시찌
KR200290053Y1 (ko) 바다 낚시찌
KR200291046Y1 (ko) 낚싯줄용 홀더
KR200390179Y1 (ko) 이동식 황동 파이프가 구비된 바다낚시용 어신찌
KR200393094Y1 (ko) 낚시용 찌
KR200227012Y1 (ko) 부력 조절용 낚시찌
JP2002191275A (ja) 釣り用浮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