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639B1 -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 및 이를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 및 이를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639B1
KR100377639B1 KR10-2001-0029337A KR20010029337A KR100377639B1 KR 100377639 B1 KR100377639 B1 KR 100377639B1 KR 20010029337 A KR20010029337 A KR 20010029337A KR 100377639 B1 KR100377639 B1 KR 100377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obber
buoyancy
fisher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618A (ko
Inventor
정윤기
Original Assignee
정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기 filed Critical 정윤기
Priority to KR10-2001-002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6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70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다 릴 찌낚시에 이용되는 어신찌와 수중찌의 부력 및 침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어신찌와 수중찌로 여러 계층의 수심을 탐색하며 낚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와 이를 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다낚시용 찌는 낚시 원줄에 연결되며 부력을 갖는 몸체의 하부에 일정한 무게의 추가 구비되어 수면에 떠서 이동하는 어신찌와, 몸체의 하부에 일정한 무게의 추가 구비되어 수중으로 하강하여 하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을 가이드하는 수중찌로 이루어진 바다낚시용 찌에 있어서, 상기 어신찌(30)와 수중찌(40)는 각각의 상대적인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추의 상호 교체 설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 및 이를 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 { A Float for Sea Fishing Being Possible Control Buoyancy and Water Gravity, and the Method for Using the Float }
본 발명은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 및 이를 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 릴 찌낚시에 이용되는 어신찌와 수중찌의 부력 및 침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어신찌와 수중찌로 여러 계층의 수심을 탐색하며 낚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와 이를 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다낚시 채비 중 릴 찌낚시에 있어서 어신찌와 수중찌는 바다의 수심이나 조류의 세기에 따라 그 부력과 침하력이 결정되어 낚시줄에 연결하여 이용된다. 이 어신찌와 수중찌는 "B(Buck)"나 "호"라는 중량의 단위를 통하여 그 부력과 침하력을 나타내는데, 예를 들면 2B 어신찌의 부력은 어신찌의 아래에 -2B의 수중찌를 달았을 때 상쇄되어 잔족부력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어신찌는 수면에 떠서 이동함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는 물속 고기들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해주고, 수중찌는 수중으로 하강하여 조류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함으로써 수중찌의 하단에 연결되는 낚시바늘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종래에 이용되었던 일반적인 어신찌(10)와 수중찌(20)를 도시한 것으로, 어신찌(10)와 수중찌(20)는 몸체(11)(21)의 중앙에 낚시 원줄(1)이 관통할 수 있는 파이프(13)(23)가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13)(23)를 통하여 몸체(11)(21)에 관통된 낚시 원줄(1)의 손상을 보호하기 위한 링가이드(12)(22)가 파이프(13)(23)의 상단에 구비된다. 또한, 몸체(11)(21)의 하단부에는 납으로 이루어진 추(14)(24)가 삽입되어 수중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어신찌와 수중찌는 수심과 조류의 세기에 따라 그 부력과 침하력이 선택되어 이용되는데, 보통 수심이 얕은 곳이나 조류의 세기가 약한 곳에서는 채비가 자연스럽게 수심층에 도달할 수 있도록 부력과 침하력이 약한 어신찌와 수중찌가 선택되고, 수심이 깊은 곳이나 조류가 강한 곳일 수록 채비가 빠른 시간내에 수심층에 도달할 수 있도록 부력과 침하력이 강한 어신찌와 수중찌가 선택되어 이용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어신찌와 수중찌를 이용할 경우 조사들은 수심이 바뀌거나 조류의 세기가 변할 경우 원줄을 잘라 어신찌와 수중찌를 제거하고 그때의 상황에 맞는 새로운 어신찌와 수중찌를 선택하여 원줄에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어신찌와 수중찌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추가 보통 납으로 이루어져 낚시행위로 인하여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 도중 수심이 바뀌거나 조류의 세기가 변할 경우 어신찌와 수중찌를 새로 교체하지 않고도 이용하던 어신찌와 수중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간단히 조절하여 변화된 환경에서도 계속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와 이를 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다낚시용 찌는 낚시원줄에 연결되며 부력을 갖는 몸체의 하부에 일정한 무게의 추가 구비되어 수면에 떠서 이동하는 어신찌와, 몸체의 하부에 일정한 무게의 추가 구비되어 수중으로 하강하여 하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을 가이드하는 수중찌로 이루어진 바다낚시용 찌에 있어서, 상기 어신찌와 수중찌는 각각의 상대적인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추의 상호 교체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어신찌와 수중찌는 몸체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와, 중앙에 낚시 원줄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와 결합되는 고정볼트와, 일측에 낚시원줄이 통과될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중앙에 고정볼트가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와 고정볼트에 의해 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형 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은 낚시원줄에 연결되며 부력을 갖는 몸체의 하부에 일정한 무게의 추가 구비되어 수면에 떠서 이동하는 어신찌와, 몸체의 하부에 일정한 무게의 추가 구비되어 수중으로 하강하여 하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을 가이드하는 수중찌를 이용하여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낚시환경에 적합하도록 상기 어신찌와 수중찌의 추를 상호 교체 설치하여 각각의 상대적인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바다낚시용 찌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다낚시용 찌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바다낚시용 찌에 구비되는 링형 추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다낚시용 찌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시 원줄 2 : 고리
3 : 면사매듭 30 : 어신찌
31, 41 : 몸체 32, 42 : 링가이드
33, 43 : 파이프 34, 44 : 고정너트
35, 45 : 링형 추 35a : 끼움부
35b : 절개부 36, 46 : 고정볼트
36a : 관통부 36b : 공구 홈
40 : 수중찌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다낚시용 찌의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 바다낚시용 찌의 어신찌가 자립 구멍찌인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신찌(30)는 물에 뜰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원형의 몸체(31)와, 낚시 원줄(1)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몸체(31)의 중앙에 관통되어 설치되는 원통형의 파이프(33)와, 상기 파이프(33)를 통과하는 원줄(1)을 보호하기 위해 이 파이프(33)의 상단에 설치되는 링가이드(32)와, 상기 몸체(31)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34)와, 상기 고정너트(34)와 결합되는 고정볼트(36)와, 상기 고정너트(34)와 고정볼트(36) 사이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형 추(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볼트(36)는 중앙 내부에 낚시 원줄(1)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부(36a)가 형성되며, 고정볼트(36)의 머리에는 공구 홈(36b)이 형성되어 공구나 손으로 상기 고정볼트(36)를 고정너트(34)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어신찌(30)는 상기 몸체(31)의 부력에 의해 물위에 뜰 수 있으며, 몸체(3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너트(34), 고정볼트(36), 링형 추(35)를 통하여 하단부에 무게가 집중되어 오뚜기처럼 물위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어신찌(30)의 부력은 몸체(31)의 재질이나 부피에 따라, 또는 고정너트(34), 고정볼트(36), 링형 추(35)의 무게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고정너트(34), 고정볼트(36), 링형 추(35)는 바닷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고 물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비중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황동이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상기 고정너트(34), 고정볼트(36), 링형 추(35)를 구성하였다.
수중찌(40)는 상기 어신찌(30)와 동일한 재질의 몸체(41), 파이프(43), 링가이드(42), 고정너트(44), 고정볼트(46), 링형 추(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수중찌(40)는 몸체(41)의 자체 부력이 작아 몸체(4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고정너트(44)와, 고정볼트(46), 링형 추(45)가 상기 부력을 마이너스(-)로 유지시켜 침하력이 형성됨으로 수중에 가라앉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중찌(40)의 몸체(41)에 결합되는고정너트(44)와, 고정볼트(46), 링형 추(45)의 크기를 상기 어신찌(30)와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수중찌(40)와 어신찌(30)의 링형 추(35)(45)간에 상호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너트(34)(44)와 고정볼트(36)(46)의 무게는 그 부력 및 침하력에 따라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3은 낚시 원줄(1)을 타고 상하로 이동하는 수중찌(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면사매듭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2는 낚시 원줄(1)과 낚시바늘이 연결된 목줄과의 연결을 위한 고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링형 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링형 추(35)(45)는 어신찌(30)와 수중찌(40)에 모두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어신찌(30)에 구비되는 링형 추(35)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추(35)는 중앙에 끼움부(35a)가 형성되고, 일측이 절개된 절개부(35b)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35a)는 고정볼트(36)에 끼워져 고정너트(34)와 고정볼트(36)의 결합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끼움부(35a)의 지름은 고정볼트(36)의 지름보다 약간 더 커 끼움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35b)는 낚시 원줄(1)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절개부(35b)는 어신찌(30)나 수중찌(40)의 몸체(31)(41)에 결합되는 링형 추(35)(45)를 제거하거나 추가 및 교환할 필요가 있을 경우, 낚시 원줄(1)을 제거하지 않고도 몸체(31)(41)의 고정너트(34)(44)에서 고정볼트(36)(46)를 푼 후링형 추(35)(45)를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링형 추(35)는 무게에 따라 그 종류를 구분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 개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링형 추(35)는 끼움부(35a) 내벽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고정볼트(36)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링형 추(35)가 끼움부(35a) 내벽에 형성되는 암나사를 통하여 고정볼트(36)에 나사 결합된 후, 이 링형 추(36)가 결합된 고정볼트(36)를 고정너트(3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링형 추(35)의 교환이 안정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형 추(35)가 고정볼트(36)와 고정너트(34)를 통하여 몸체(31)의 하부에 결합될 때, 이 링형 추(35)가 몸체(31)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링형 추(35)가 고정볼트(36)를 통하여 고정너트(34)에 결합될 경우, 이 링형 추(35)가 고정너트(34)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너트(34) 및 고정볼트(36) 또는 링형 추(35)의 규격을 변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신찌와 수중찌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신찌와(30) 수중찌(40)를 사용하기 위해 먼저 낚시 원줄(1)에 어신찌(30)를 연결한 후에 수중찌(40)를 원줄(1)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어신찌(30)를 낚시 원줄(1)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너트(34)가 결합된 몸체(31)의 중앙에 구비된 파이프(33)와 링가이드(32)에 낚시 원줄(1)을 끼우고 고정볼트(36)의 관통부(36a)에 낚시 원줄(1)을 끼운 후, 어신찌(30)의 부력에 맞는 링형 추(35)를 선택하여 선택된 링형 추(35)를 절개부(35b)를 통하여 원줄(1)에 끼우고 끼움부(35a)를 통하여 고정볼트(36)에 끼운 후 고정볼트(36)를 고정너트(34)와 결합시킴으로써 원줄(1)에 어신찌(30)가 연결된다.
어신찌(30)를 낚시 원줄(1)에 연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먼저 어신찌(30)의 부력에 맞는 링형 추(35)를 고정볼트(36)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링형 추(35)가 결합된 고정볼트(36)를 몸체(31)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너트(34)에 결합한 후, 낚시 원줄(1)을 몸체(31) 중앙의 링가이드(32), 파이프(33), 고정볼트(36)의 관통부(36a)를 통하여 형성된 구멍에 관통시켜 연결할 수도 있다.
이후, 수중찌(40)를 상기 어신찌(30)와 동일한 방법으로 원줄(1)에 연결한다. 수중찌(40)에 결합되는 링형 추(45)는 상기 어신찌(30)의 부력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원줄(1)에 어신찌(30)와 수중찌(40)가 연결된 낚시대를 이용하여 낚시를 하는 도중, 수심이 바뀌거나 조류의 세기가 변하여 어신찌(30)와 수중찌(40)의 부력과 침하력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어신찌(30)와 수중찌(40)의 부력 및 침하력을 변경시키는 방법은 고정볼트(36)(46)에 의해 몸체(31)(41)의 하단부에 결합된 링형 추(35)(45)의 무게를 변경시키면 된다. 어신찌(30)의 링형 추(35) 무게가 가벼울수록 부력이 커지고, 수중찌(40)의 경우에는 링형 추(45) 무게가 무거울수록 침하력이 강해진다.
수심이 깊어진 경우나 조류의 세기가 빨라진 경우에는 수심층에 낚시바늘을 빨리 하강시키고 조류의 영향을 덜 받도록 하기 위하여 침하력이 강한 수중찌(40)와 이에 따라 부력이 강한 어신찌(30)로 바꿔 주어야 한다. 따라서, 어신찌(30)의 경우에는 고정볼트(36)를 풀러 링형 추(35)를 가벼운 것으로 변경시키거나, 다수의 링형 추(35)가 결합되었던 경우에는 상황에 맞도록 링형 추(35)를 제거하면 된다. 또한, 상기 변경된 어신찌(30)의 부력에 맞춰 수중찌(40)의 고정볼트(46)를 풀러 링형 추(45)를 무거운 것으로 변경시키거나, 새로운 링형 추(45)를 추가시키면 된다. 이때에 변경되는 링형 추(35)(45)는 어신찌(30)와 수중찌(40) 모두 공동으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어신찌(30)에서 제거한 링형 추(35)를 그대로 수중찌(40)에 추가시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수심이 얕아지거나 조류의 세기가 약해진 경우에는 낚시 채비를 예민하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침하력이 약한 수중찌(40)와 부력이 약한 어신찌(30)로 변경시켜주어야 한다. 따라서, 수중찌(40)의 경우에는 고정볼트(46)를 풀러 상황에 맞도록 링형 추(45)를 가벼운 것으로 변경시키거나, 다수의 링형 추(45) 중에서 상황에 맞도록 일부 링형 추(45)를 제거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수중찌(40)의 침하력에 대응될 수 있도록 어신찌(30)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볼트(36)를 풀러 링형 추(35)를 무거운 것으로 변경시키거나, 종래의 링형 추(35)에 새로운 링형 추(35)를 추가하면 된다. 이때에도, 상기 수중찌(40)에서 제거된 링형 추(45)를 어신찌(30)의 링형 추(35)에 추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과 과정을 통하여 하나의 어신찌(30)와 수중찌(40)를 이용하여 수심 및 조류의 세기 변화 등 낚시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어신찌(30)를 자립 구멍찌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다른 종류의 어신찌(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막대찌와 같이 몸체의 중앙에 낚시 원줄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몸체를 상기 구멍찌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몸체의 하부에 고리를 만들어 낚시 원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다낚시용 찌는 수심이 변하거나 조류의 세기가 변하는 등의 낚시 환경이 변하여 어신찌의 부력과 수중찌의 침하력을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 어신찌와 수중찌에 결합되는 링형 추를 용이하게 추가시키거나 제거시켜 상황에 맞는 부력 및 침하력을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어신찌와 수중찌로도 다양한 환경에서 간편하게 낚시를 줄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신찌와 수중찌에 구비되는 추를 황동이나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수질을 오염시키지 않는 재질로 구성시킴으로써, 낚시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낚시 원줄에 연결되며 부력을 갖는 몸체의 하부에 일정한 무게의 추가 구비되어 수면에 떠서 이동하는 어신찌와, 몸체의 하부에 일정한 무게의 추가 구비되어 수중으로 하강하여 하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을 가이드하는 수중찌로 이루어진 바다낚시용 찌에 있어서,
    상기 어신찌(30)와 수중찌(40)는 각각의 상대적인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추의 상호 교체 설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낚시용 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신찌(30)와 수중찌(40)는 몸체(31)(4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너트(34)(44)와,
    중앙에 낚시 원줄(1)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부(36a)(46a)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34)(44)와 결합되는 고정볼트(36)(46)와,
    일측에 낚시 원줄(1)이 통과될 수 있는 절개부(35b)가 형성되고 중앙에 고정볼트(36)(46)가 끼워지는 끼움부(35a)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34)(44)와 고정볼트(36)(46)에 의해 몸체(31)(41)의 하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형 추(35)(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다낚시용 찌.
  3. 낚시 원줄에 연결되며 부력을 갖는 몸체의 하부에 일정한 무게의 추가 구비되어 수면에 떠서 이동하는 어신찌와, 몸체의 하부에 일정한 무게의 추가 구비되어 수중으로 하강하여 하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을 가이드하는 수중찌를 이용하여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낚시환경에 적합하도록 상기 어신찌(30)와 수중찌(40)의 추를 상호 교체 설치하여 각각의 상대적인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찌의 부력과 침하력 조절 방법.
KR10-2001-0029337A 2001-05-28 2001-05-28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 및 이를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 KR100377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337A KR100377639B1 (ko) 2001-05-28 2001-05-28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 및 이를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337A KR100377639B1 (ko) 2001-05-28 2001-05-28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 및 이를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618A KR20010070618A (ko) 2001-07-27
KR100377639B1 true KR100377639B1 (ko) 2003-03-26

Family

ID=1971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337A KR100377639B1 (ko) 2001-05-28 2001-05-28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 및 이를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6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134B1 (ko) 2004-07-05 2006-08-11 유한근 낚시찌세트
KR100960264B1 (ko) 2009-12-24 2010-06-04 한갑수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KR200477466Y1 (ko) * 2013-02-22 2015-06-10 정한복 낚시찌 어셈블리
KR20180015345A (ko) 2016-08-03 2018-02-13 주진미 수심측정이 용이하며 미세 부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낚시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7365B1 (en) * 2010-06-03 2018-01-16 Field Systems Research, LLC Fishing line accessory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KR200476223Y1 (ko) * 2014-08-28 2015-02-23 조형균 낚싯줄에 관통되어 낚싯줄을 타고 상하 유동하는, 부력구, 밑밥 부착구 및 무게 추 일체형 유동식 집어 봉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69A (ja) * 1992-03-30 1994-02-01 Tsuriken:Kk 水中うきの沈み力の調整方法
JPH08182452A (ja) * 1995-01-03 1996-07-16 Mitsuru Seisakusho:Kk 中通し浮き及び調整重錘付き中通し浮き
KR970010950A (ko) * 1995-08-03 1997-03-27 이동수 장기저장을 할 수 있는 탁, 약주의 제조방법
JPH09172924A (ja) * 1995-12-25 1997-07-08 Tsuriken:Kk 釣り用浮き及びその浮力調整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69A (ja) * 1992-03-30 1994-02-01 Tsuriken:Kk 水中うきの沈み力の調整方法
JPH08182452A (ja) * 1995-01-03 1996-07-16 Mitsuru Seisakusho:Kk 中通し浮き及び調整重錘付き中通し浮き
KR970010950A (ko) * 1995-08-03 1997-03-27 이동수 장기저장을 할 수 있는 탁, 약주의 제조방법
JPH09172924A (ja) * 1995-12-25 1997-07-08 Tsuriken:Kk 釣り用浮き及びその浮力調整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134B1 (ko) 2004-07-05 2006-08-11 유한근 낚시찌세트
KR100960264B1 (ko) 2009-12-24 2010-06-04 한갑수 중량 조절이 용이한 수중찌
KR200477466Y1 (ko) * 2013-02-22 2015-06-10 정한복 낚시찌 어셈블리
KR20180015345A (ko) 2016-08-03 2018-02-13 주진미 수심측정이 용이하며 미세 부력조절이 가능한 이중 낚시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618A (ko) 200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7064A (en) Offshore fish cage for farming fish
US6978735B1 (en) Artificial fish habitat
NO20031031D0 (no) Oppdrettsanleggsystem og fremgangsmåte
KR100377639B1 (ko) 부력과 침하력 조절이 가능한 바다낚시용 찌 및 이를이용하여 찌의 부력과 침하력을 조절하는 방법
AU2021291806A1 (en) Apparatus, assembly and method for use in high energy marine environments
KR20190058268A (ko)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AU2019210923B2 (en) Semi-submersible spar-type offshore fish farm with an adjustable ballast system
KR100692362B1 (ko)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KR200344879Y1 (ko) 개선된 바다낚시용 찌
CN102217574B (zh) 可调式浮漂
WO2008035899A1 (en) Self-standing fishing float
CN208349166U (zh) 一种半潜式网笼用led沉水灯
KR200328819Y1 (ko) 낚시용 찌
CN109843049B (zh) 钓鱼用浮标
RU151034U1 (ru) Конструк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оздания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рифа
KR100433190B1 (ko) 해저 침체물 수거장치
KR200344511Y1 (ko) 미세부력조절 원형 고리찌
KR200453617Y1 (ko) 낚시용 구멍찌
KR102642125B1 (ko) 생분해에 의하여 그물과 분리되는 어구용 바다 그물추 및 그 어구용 바다 그물추의 제조방법
Yoo et al. Zebra mussel (Dreissena polymorpha) monitoring using navigation buoys
KR200377386Y1 (ko) 수중찌
KR101040910B1 (ko) 친환경적인 낚시용 봉돌
CN106069946A (zh) 一种深水网箱系统及其架构建造方法
JP3024419U (ja) 浮力交換式のうき
KR200179398Y1 (ko) 낚시용 찌 부력 조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