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679Y1 -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 Google Patents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679Y1
KR200290679Y1 KR2019990002715U KR19990002715U KR200290679Y1 KR 200290679 Y1 KR200290679 Y1 KR 200290679Y1 KR 2019990002715 U KR2019990002715 U KR 2019990002715U KR 19990002715 U KR19990002715 U KR 19990002715U KR 200290679 Y1 KR200290679 Y1 KR 200290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inge
shaft hole
floor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310U (ko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박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칠웅 filed Critical 박칠웅
Priority to KR2019990002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67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3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679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에 관한 것으로 박스형 케이스에서 힌지조립체의 위치를 조정해주더라도 플로어힌지 내부로 물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기 위해서 힌지축공(1)을 형성하는 통상의 금속제분할형외부커어버(3)와, 상기 힌지축공(1)과 대응하는 힌지축공(4)을 가진 원형돌출부(8)주위에 동심원상으로 여러개의 요철형주름(9)이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에는 케이스(1)의 플랜지(12)와 끼워맞춤되는 돌기(14)가 형성된 고무제내부커어버(5)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임.

Description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Floor hinge cover of superior water proofing property}
본 고안은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바닥에 매입되는 박수형케이스에 내장되는 플로어힌지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는 커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어힌지는 일측에서 도어의 하측이 결합되는 힌지축이 상부로 돌출된 힌지조립체가 상부개방형의 박스형케이스내에 장착되어 도어가 설치되어 건물의 바닥면에 케이스의 상면이 일치되게 매입되고,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는 힌지축이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힌지축공을 갖는 판상의 커어버가 덮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힌지조립체는 케이스내에 사전에 장착된 상태에서 건물바닥에 매입된 경우 힌지축이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케이스에 대하여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그 위치가 미세조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커어버는 일체형커어버와 분할형커어버로 나눌수 있는데 일체형커어버는 플로어힌지의 설치후 도어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으면 박스형케이스를 개방시켜줄수 없기 때문에 힌지조립체의 위치조정이 불가능하다. 분할형커어버는 커어버의 일측에서 힌지조립체의 힌지축이 관통하는 힌지축공을 중심으로 하여서 나누어지는 작은면적을 갖는 제 1 커어버과 큰 면적을 갖는 제 2 커어버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힌지축에 도어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커어버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박스형케이스를 쉽게 개방하여서 힌지조립체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그러나 힌지축공이 힌지조립체의 위치조정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힌지축이 관통하는 플로어힌지조립체의 캡크기보다 커야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분할형커어버와 플로어힌지조립체의 캡사이로 물이 스며들게 되어서 플로어힌지조립체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위치조정볼트의 부식을 초래하므로 플로어힌지조립체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해졌었고, 또 플로어힌지 조립체내부로 물이 유입되어서 플로어힌지의 고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자는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검토한 결과 힌지조립체의 위치가 조정되더라도 커어버와, 커어버의 힌지축공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물이나 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만 있다면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것임을 알게 되어서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힌지조립체의 위치가 커어버와 케이스 사이에서 조정에 의하여 변화되더라도 힌지축공주변과 힌지조립체의 주변이 밀착되어서 힌지축공을 통해서 플로어힌지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힌지조립체의 위치가 조정에 의해서 변화되더라도 커어버의 힌지축공주변과 힌지조립체간의 밀착상태를 지속시켜 줄수 있도록 함으로서 물의 유입에 의한 플로어힌지의 고장발생우려를 배재하는데 예술적 과제를 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커어버를 점선으로 표시한 플로어힌지의 평면도.
도 2 는 도 1에서 보인 본 고안에 의한 커어버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커어버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 는 도 3의 부분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4...힌지축공, 3...외부분할형커어버,
5...고무제내부커어버, 6...힌지조립체, 8...원형돌출부,
9...요철형주름.
본 고안은 도 1 ∼ 도 3에 예시한 바와같이 서로 맞대었을때에 힌지축공(1)을 형성하는 제 1 커어버(2-1)과 제 2 커어버(2-2)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스테인제스스틸제 분할형 외부커어버(3)와, 상기 힌지축공(1)과 대응하는 힌지축공 (4)을 가진 고무판으로된 내부커어버(5)로 이루어진 것이다.
내부커어버(5)는 도 2 ∼ 도 4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힌지조립체(6)의 힌지축(7)의 관통하는 힌지축공(4)주위가 상기 외부커어버(3)의 힌지축공(1)밖으로 보여지는 원형돌출부(8)로 되었있고, 이 원형돌출부(8)의 주위에는 동심원상으로 여러개의 요철주름(9)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최외곽에 있는 요철형주름(9)의 직경크기는 상기 외부커어버(3)의 힌지축공(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도 1과 도 3에서 보인 조정볼트(10)들을 이용하여 힌지조립체(6)의 위치를 조정할때에 즉,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힌지조립체(6)와 내부커어버(5)의 원형돌출부(8)주위 다시말해서 요철형주름(9)들이 외부커어버(3)의 힌지축공(1)과 편심되더라도 외부커어버(3)와의 밀착된 상태가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커어버(5)의 테두리쪽에는 도 1 과 도 2에 잘 표현된 바와같이 케이스(11)의 플랜지(12)에 형성된 구멍(13)에 억지끼워맞춤되는 돌기(14)가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커어버(5)자체를 케이스(11)에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내부커어버(5)의 돌기(14)들중 한 돌기(14')는 도 3과 도 4에 잘표현된 바와같이 케이스(11)의 한쪽에 고정된 끼움안내편(15)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내부커어버(5)를 간편하면서 정확하고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외부커어버(3)는 상기 내부커어버(5)와 함께 케이스(11)의 플랜지(12)에 나사(16)로 고정된다.
본 고안은 힌지조립체(6)의 셋팅위치를 케이스(11)속에서 조정해주더라도 내부커어버(5)의 원형돌출부(8)와 동심원상으로 배열된 여러개의 요철형주름(9)이 외부커어버(3)와 항상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어서 플로어힌지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서 고장발생의 우려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장점이 있다.

Claims (1)

  1. 힌지축공(1)을 형성하는 제 1 커어버(2-1)과 제 2 커어버(2-2)으로 이루어진 통상으로 금속제 분할형 외부커어버(3)와, 상기 힌지축공(1)과 대응하는 힌지축공(4)을 가진 원형돌출부(8)주위에 동심원상으로 여러개의 요철형주름 (9)이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에는 케이스(11)의 플랜지(12)에 있는 구멍(13)에 억지끼워맞춤되는 돌기(14)가 형성된 고무제내부커어버(5)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KR2019990002715U 1999-02-23 1999-02-23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KR200290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715U KR200290679Y1 (ko) 1999-02-23 1999-02-23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715U KR200290679Y1 (ko) 1999-02-23 1999-02-23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310U KR20000017310U (ko) 2000-09-25
KR200290679Y1 true KR200290679Y1 (ko) 2002-10-04

Family

ID=5475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715U KR200290679Y1 (ko) 1999-02-23 1999-02-23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6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309B1 (ko) * 2020-10-21 2021-11-11 주식회사 제철 방수기능을 보강한 플로어힌지의 방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673B1 (ko) * 2007-11-21 2009-03-26 이혜근 힌지 케이스
KR200452904Y1 (ko) * 2010-10-14 2011-03-31 김충식 도어용 플로어 힌지 케이스 조립체
KR101469180B1 (ko) * 2013-09-12 2014-12-04 주식회사 제철 플로어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309B1 (ko) * 2020-10-21 2021-11-11 주식회사 제철 방수기능을 보강한 플로어힌지의 방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310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1399B1 (en) A window sash construction kit adapted for standardized manufacture
KR200290679Y1 (ko)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KR200263885Y1 (ko)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KR200377777Y1 (ko)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KR200245741Y1 (ko) 방수성이 우수한 플로어힌지커어버
JP2007126070A (ja) 車両の室内外への部品の取付け構造
KR100348046B1 (ko) 체커 기능을 갖는 도어힌지
US5271124A (en) Hinge suitable for use in a roof window assembly
KR100432063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구조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JP6472409B2 (ja) 扉の取付構造
KR100321796B1 (ko) 방수기능을 갖는 플로어힌지 및 그 설치방법
WO2019153527A1 (zh) 高度可调铰链和淋浴房
KR200246919Y1 (ko) 도어용 장식테
KR200325016Y1 (ko) 도어 스톱퍼
KR200251739Y1 (ko) 플로어 힌지의 박스
WO2024055314A1 (zh) 一种车门组件、车门及车辆
KR0160045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앵커플레이트와 케이지의 설치구조
KR200187444Y1 (ko) 플로어힌지의 박스
KR100402120B1 (ko) 도어 힌지의 마운팅 보강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사이드 패널
KR0139427Y1 (ko) 도어 힌지의 결합구조
KR200310472Y1 (ko) 플랩밸브의 힌지결합구조
JP6585004B2 (ja) 建具
KR970003350Y1 (ko) 교통신호제어기용 경첩(hinge)
KR0123264Y1 (ko) 차량 도어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