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671Y1 - 운반상자 - Google Patents

운반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671Y1
KR200290671Y1 KR2020020020882U KR20020020882U KR200290671Y1 KR 200290671 Y1 KR200290671 Y1 KR 200290671Y1 KR 2020020020882 U KR2020020020882 U KR 2020020020882U KR 20020020882 U KR20020020882 U KR 20020020882U KR 200290671 Y1 KR200290671 Y1 KR 200290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loading
protrusions
plates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승
Original Assignee
화산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산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산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0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671Y1/ko

Link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상자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운반상자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다단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에 의하면; 베이스판(10)의 전후 및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적재돌기(51)(52)들이 일정간격(L3)(L4) 이격되게 마련되고, 전후면판(20L)(20R) 및 좌우측판(30L)(30R)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적재돌기(51)(52)들과 대응하도록 적재홈(61)(62)들이 일정간격(L5)(L6)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반상자들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한 운반상자의 적재돌기(51)(52)가 하측에 위치한 운반상자의 적재홈(61)(62)에 삽입 결합되어 상호 맞물림으로써, 운반상자들의 적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운반상자{A CARRIER BOX}
본 고안은 운반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상자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다단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운반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상자는 농수산물과 같은 각종 상품을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전후면 가장자리에 마련된 전후면판과, 베이스판의 좌우면 가장자리에 마련된 좌우측판을 구비하여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운반상자는 창고 또는 차량 등에 다단 적재 시 이웃하는 것과의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통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종래 운반상자의 다단 적재 시 이들 사이에는 별도의 지지구조가 없기 때문에, 무너질 염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높게 적재할 수 없다. 따라서 차량 등에 운반상자를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후면판과 좌우측판 및 베이스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운반상자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다단 적재할 수 있는 운반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의 저면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들이 상하로 일치되게 다단 적재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들이 좌우로 어긋나게 적재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들이 전후 및 좌우로 어긋나게 적재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베이스판 20L,20R..전후면판
30L,30R..좌우측판 51,52..적재돌기
61,62..적재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각형상으로 마련된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전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전후면판과, 베이스판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좌우측판을 구비하여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운반상자에 있어서,
베이스판의 전후 및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적재용 돌기들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전후면판 및 좌우측판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적재용 돌기들과 대응하도록 적재용 홈들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다단 적재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한 운반상자의 적재용 돌기가 하측에 위치한 운반상자의 적재용 홈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운반상자의 세로길이와 가로길이의 비율은 대체로 1 : 1.5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함으로, 사각형상으로 마련된 베이스판(10)과, 이 베이스판(10)의 전후측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는 전후면판(20L)(20R)과, 베이스판(1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힌지 결합되는 좌우측판(30L)(30R)과, 이 좌우측판(30L)(30R) 및 전후면판(20L)(20R)을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로커(40)를 갖추고 있다.
베이스판(10)은 운반상자의 바닥을 이루는 것으로, 이의 전후면측 및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힌지부(1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베이스판(10)의 세로길이(L1)에 비해 이의 가로길이(L2) 비율은 대략 1 : 1.5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비율은 후술하겠지만, 운반상자들을 다양한 방향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후면판(20L)(20R)은 베이스판(10)의 전후면측 가장자리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전후면판(20L)(20R)의 최하단은 베이스판(10)의 전후면측 힌지부(11)와 힌지 결합된다. 또한, 좌우측판(30L)(30R) 역시 베이스판(1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해 좌우측판(30L)(30R)의 최하단이 베이스판(10)의 좌우측 힌지부(12)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베이스판(10)으로부터 전후면판(20L)(20R)과 좌우측판(30L)(30R)을 각각 세운 후 로커(40)를 통해 이들을 잠그면, 전후면판(20L)(20R)과 좌우측판(30L)(30R)은 세워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운반상자에는 다단 적재시 상호 맞물려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적재 안내부재(51)(52)(61)(62)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들을 안정적으로 다단 적재할 수 있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적재 안내부재(51)(52)(61)(62)는 베이스판(10)의 가장자리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적재돌기(51)(52)와, 이 적재돌기(51)(52)들과 대응하는 전후면판(20L)(20R) 및 좌우측판(30L)(30R)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적재홈(61)(62)을 구비하고 있다.
적재돌기(51)(52)들은 베이스판(10)의 전후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L3) 이격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성형된 제1돌기(51)들과, 베이스판(10)의 좌우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L4)으로 성형된 제2돌기(52)들로 정의된다. 이러한 제1돌기(51)들의 간격(L3)과 제2돌기(52)들의 간격(L4)은 동일하다(L3=L4).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제1돌기(51)들은 베이스판(10)의 전후측에 3개, 제2돌기(52)들은 베이스판(10)의 좌우측에 2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적재홈(61)(62)들은 전후면판(20L)(20R)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L5) 이격되면서 오목하게 단차진 제1홈(61)들과, 좌우측판(30L)(30R)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L6)으로 마련된 제2홈(62)들로 정의된다. 또한, 제1홈(61)들의 간격(L5)과 제2홈(62)들의 간격(L6)은 동일하다(L5=L6).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제1홈(61)들은 제1돌기(51)들의 간격(L3) 및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전후면판(20L)(20R)의 최상부에 3개, 제2홈(62)들 역시 제2돌기(52)들의 간격(L4) 및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좌우측판(30L)(30R)의 최상부에 2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다단 적재 시 적재홈(61)(62)들에는 적재돌기(51)(52)들이 각각 삽입 결합됨으로써 운반상자들이 안정적으로 적재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것은 후술하는 적재상태 설명에서 상술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의 적재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들을 상하방향으로 일치되게 적재하면, 바닥면에 위치한 운반상자의 전후면판(20L)(20R) 및 좌우측판(30L)(30R)에 형성된 적재홈(61)(62)들에는 각각 상부에 위치한 운반상자 베이스판(10)의 적재돌기(51)(52)이 정확하게 수용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운반상자들이 맞물림 방식으로 적재되기 때문에, 이들은 다단 적재가 안전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적재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들을 좌우방향으로 어긋나게 적재하여도 본 고안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상측에 위치한 운반상자와 하측에 위치한 운반상자들을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게 적재하여도, 상하층으로 이웃하는 운반상자들은 상호 어긋나지만 각 운반상자들의 전후면판(20L)(20R)에 형성된 적재홈(61)들에는 각각 상부에 위치한 운반상자의 베이스판(10)에 형성된 적재돌기(51)들이 정확하게 수용 결합된다. 따라서 운반상자들을 좌우방향으로 교차되게 적재하여도 상호 맞물림되기 때문에, 이들의 적재가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들을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90도 어긋나게 적재하여도, 운반상자 베이스판(10)의 적재돌기(52)들은 하측에 위치한 운반상자들의 전후면판(20L)(20R)에 형성된 적재홈(61)들에 정확하게 수용 결합된다.
한편, 이러한 적재 방법 이외에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들은 다른 방법으로 적재하는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한 운반상자들의 적재돌기(51)(52)들은 하측에 위치한 운반상자의 적재홈(61)(62)들에 삽입 결합되며, 이로 인해 다단 적재가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운반상자들을 상하로 일치시키거나 전후 및 좌우 어떠한 방향으로 어긋나게 적재하여도 상하로 맞물림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운반상자의 세로길이(L1)와 가로길이(L2)의 비율이 1 : 1.5 이고, 아울러 제1,제2돌기(51)(52)들의 간격(L3,L4)과 위치가 동일하며 제1,제2홈(61)(62)들의 간격(L5)(L6)과 위치 역시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운반상자에 의하면, 베이스판의 전후 및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적재돌기들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전후면판 및 좌우측판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적재돌기들과 대응하도록 적재홈들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반상자들을 다단으로 적재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한 운반상자의 적재돌기가 하측에 위치한 운반상자의 적재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호 맞물림으로써, 운반상자들의 적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각형상으로 마련된 베이스판(10)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전후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전후면판(20L)(20R)과, 상기 베이스판(1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마련된 좌우측판(30L)(30R)을 구비하여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운반상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의 전후 및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적재돌기(51)(52)들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전후면판(20L)(20R) 및 좌우측판(30L)(30R)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적재돌기(51)(52)들과 대응하도록 적재홈(61)(62)들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다단 적재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한 운반상자의 적재돌기(51)(52)가 하측에 위치한 운반상자의 적재홈(61)(62)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상자의 세로길이(L1)와 가로길이(L2)의 비율은 대체로 1 : 1.5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상자.
KR2020020020882U 2002-07-12 2002-07-12 운반상자 KR200290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882U KR200290671Y1 (ko) 2002-07-12 2002-07-12 운반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882U KR200290671Y1 (ko) 2002-07-12 2002-07-12 운반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671Y1 true KR200290671Y1 (ko) 2002-10-04

Family

ID=7312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882U KR200290671Y1 (ko) 2002-07-12 2002-07-12 운반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6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47B1 (ko) * 2012-01-16 2013-07-23 엔피씨(주)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47B1 (ko) * 2012-01-16 2013-07-23 엔피씨(주) 절첩 및 포개짐이 가능한 운반 상자
US8684209B2 (en) 2012-01-16 2014-04-01 National Plastic Co., Ltd. Foldable and overlappable carrier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518B2 (en) Stackable system container and transport system
US7481316B2 (en) Article storage case
US4258847A (en) Nondeformable container
KR0139921B1 (ko) 권취롤용 단부벽
CA1225045A (en) Sidewall assembly for tote box
US7152752B2 (en) Modular and transportable bookshelves
EP0138281B1 (en) Stackable carrier or crate for goods or articles
KR100480197B1 (ko) 접철식 운반상자
JP2002002696A (ja) 折り畳みコンテナの積載構造
KR200290671Y1 (ko) 운반상자
JP2004292054A (ja) パック収納用トレー
KR100823656B1 (ko)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상자
US20110240578A1 (en) Stackable and nestable article holder
JP2000085773A (ja) 運搬用容器
JP2021178659A (ja) コンテナセット
JP2020019549A (ja) 折畳み容器
KR200389025Y1 (ko) 포장용 칸막이
KR200444006Y1 (ko) 접이식 컨테이너 팔레트 시스템
JP2001048178A (ja) 多段積みトレイ
US20040129655A1 (en) Stackable container, paper holder or the like
KR200449426Y1 (ko) 접이식 플라스틱 운반상자
JP2001048177A (ja) 多段積みトレイ
KR200238181Y1 (ko) 수납상자
CN216887742U (zh) 错位筐
CN208217266U (zh) 盒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