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669Y1 -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669Y1
KR200290669Y1 KR2020020020659U KR20020020659U KR200290669Y1 KR 200290669 Y1 KR200290669 Y1 KR 200290669Y1 KR 2020020020659 U KR2020020020659 U KR 2020020020659U KR 20020020659 U KR20020020659 U KR 20020020659U KR 200290669 Y1 KR200290669 Y1 KR 200290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mpartment
water
cabbage
container
perforat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0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오
이근학
Original Assignee
임옥순
오유섭
이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옥순, 오유섭, 이근학 filed Critical 임옥순
Priority to KR2020020020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669Y1/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추나 무등의 농산물을 한번에 다량 수송할 수 있으며, 수송도중 일정한 염도로 절여지도록 하는 농산물 절임 운반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박스형 컨테이너에 있어서 , 기계실과 저장실로 양분되어지며, 기계실에는 비중계, 온도계등의 계기와 공기압축기, 냉각기, 펌프등의 기계장치가 설치되며, 저장실 바닥에는 다수개의 물 투과공을 갖는 타공판을 가지며, 저장실 상방 천장에는 물 분사 노즐을 다수개 갖는 파이프라인이 설치되며, 특히 저장실의 바닥에는 저장실에 장입되는 농산물 적재함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 또는 안내바퀴를 갖는 한편 농산물 적재함의 바닥에는 물 배수공을 가지며, 농산물을 눌러 주는 누름판을 갖도록 하며, 물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소금물은 숯층, 맥반석층, 여과포등의 여과재로 구성되는 여과장치를 통해 공급토록 한 것으로, 산지에서 수집한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운송도중 적정한 염도로 절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container for salting and carrying of cabbage}
본 고안은 배추나무등의 농산물을 한번에 다량으로 수송할 수 있으며, 수송도중 일정한 염도로 절여지도록 하는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추 또는 무 등의 농산물을 산지로부터 운반하는 도중 일정염도로 절여지도록 하는 것으로, 컨테이너 내측에 소금물을 저장하는 물탱크를 가지며, 소금물을 컨테이너 내부로 골고루 분사하는 샤워 및 물 공급장치를 가지며, 소금물의 염도 및 온도를 측정하는 비중계 및 온도계를 갖는 한편 배추등을 신선하게 절여지게 하기 위하여 소금물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를 갖는 한편 배추등의 농산물이 적정한 염도로 절여진 후에는 소금물 공급을 중단하는 자동 절임수단등을 갖는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본 고안자에 의해 개발되어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147286호 고안의 명칭: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를 더욱 개량 발전시킨 것이다.
상기 본 고안자에 의해 고안된 종래 농산물 운반 절임 컨테이너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산지에서 배추나 무등의 농산물을 운반도중 일정한 염도로 절여지는 것이나 많은 양의 농산물을 절임상태로 운반할 수 없어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이득이 그리 높지 않았다.
즉 종래 선등록된 고안에 있어서는 컨테이너로 배추등을 운반하여 실음에 있어서 산지에서 배추등의 겉껍질을 제거하는 등의 다듬질 공정을 거친 다음 2명이 들을 수 있는 소포장 용기로 담아 운반한 다음 소포장 용기를 다단으로 컨테이너에 적재하여 배추등을 운반도중 절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고안을 이용한 배추절임방식은 배추등을 담는 소포장 용기만큼 배추등을 실을 수 없었으며, 배추등을 담아 넣는 소포장 용기에는 각각 여유공간이 발생하여 그만큼 배추등을 실을수 없게 되며. 또한 소포장의 용기를 컨테이너 내측으로 적재하고 적재한 것을 풀어 내리는데에도 많은 인원과 시간이 소요되어 경제적으로 컨테이너를 운영할 수 없었다.
또한 컨테이너에 장입하는 배추등의 농산물을 소포장 단위로 담겨 컨테이너내측으로 다단으로 적층됨으로 인해 상방에서 샤워형태로 공급되는 소금물에 완전히 담겨지지 못함으로 인해 골고루 절임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선등록된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의 그 구조적인 결함으로 인해 배추등의 농산물을 다량으로 실을 수가 없었으며, 소금물에 절여지는 배추등이 소금물속에 전부 담궈지지 않고 단위포장상자 상방에 뜨는 이유로 인해 배추등이 완전히 절여지지 못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이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은 배추 또는 무등의 농산물을 수송 도중 신선하며, 영양가가 많은 상태로 절여지도록 하여 수송비를 절감하여 김치생산에 따른 쓰레기 발생을 최소로 되게 하고 저렴하게 절임 배추를 제공하거나 저렴하게 김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컨테이너 내측에 소금물을 담는 물탱크를 가지며, 물탱크의 소금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파이프라인과 물 분사구 및 펌프등을 가지며, 특히 소금물을 정화하는 여과설비와 소금물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가열 및 냉각설비와 컨테이너 내측 타공판 바닥에 농산물 적재함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이나 바퀴등을 갖도록 한 것이다.
도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3 - 도2의 A-A선 단면도.
도4 - 도2의 B-B선 단면도.
도5 - 본 고안의 농산물 적재함의 개략 단면도.
도6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7 - 여과장치의 단면도.
박스형 컨테이너(1) 일측에는 기계실(2)을 가지며, 상기 기계실(2)에는 압축공기발생기(4), 냉각기(5), 펌프(6)등의 기계장치와 비중계, 온도계등의 각종 계기가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1)의 내측의 저장실(3) 바닥에는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타공판(8)을 가지며, 타공판(8) 아래에는 타공판(8)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버팀대(7)와 버팀대(7) 사이에 다수개의 소금물 저장탱크(9)를 가지며, 저장실(3)의 천장에는 다수개의 물분사노즐(26)을 부착한 물분사파이프(16)를 다수열 가지며, 상기 물분사파이프(16)는 펌프(6)와 이어지며, 상기 일측의 소금물 탱크(9)내에는 여과장치(11)를 갖는 것에 있어서, 저장실(3)의 바닥을 구성하는 타공판(8)에는 농산물 적재함(21)을 이동하는 레일(19)이나 바퀴등의 이동안내수단을 가지며, 저장실(3)의 천장에는 환기구(18)를 가지며, 상기 여과장치(11)는 그 내측에 여과포(12)와 일정두께의 숯층(13)과 맥반석층(14)으로 구성된 다단의 여과층을 갖도록 하며, 상기 저장실(3) 바닥의 레일(19)을 따라 주행하는 다수개의 농산물 적재함(21)을 갖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농산물 적재함(21)은 그 바닥에 다수개의 물배수구멍(22)과 그 내측에 장입되는 배추등의 농산물을 눌러 주는 물투과구멍(23-1)을 다수개 형성한 누름판(23)을 갖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는 31은 배수밸브, 32는 기계실 출입문, 33은 개폐문이며, 51은 배추등의 농산물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보다 자세히 살펴봄과 동시에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테이너(1) 내측 공간인 저장실(3)의 바닥, 즉 타공판(8)의 아래에는 타공판(8)을 지시하는 다수개의 버팀대(7)가 일정간격을 띠고 설치되며, 버팀대(7)와 버팀대(7) 사이의 공간은 염도 8~12%의 소금물이 장착되는 소금물 저장탱크(9)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금물 저장탱크(9)에 저장되는 소금물은 펌프(6)를 통해 저장실(3) 천정의 물분사파이프(16)의 노즐(26)을 통해 분사된 후 다시 바닥인타공판(8)을 통해 소금물 저장탱크(9)로 순환되어지게 된다.
상기 저장실(3)의 바닥인 타공판(8)을 지지하는 버팀대(7)는 바닥에 저장된 소금물의 출렁거림을 방지하는 격벽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기계실(2)에 설치되는 압축 공기발생기(4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산소)는 저장실 바닥의 소금물 저장탱크(9) 혹은 물분사파이프(16)를 통해 저장된 소금물 혹은 분사되는 소금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소금물을 신선하게 한다.
또한 상기 소금물 저장탱크(9)에 설치되는 냉각코일(15)에 의해 소금물의 온도가 항시 4~8℃가 되도록 유지시켜 주게 된다.
컨테이너(1) 내측의 저장실(3)은 소금물에 견딜수 있는 스텐레스재질이나 F.R.P등 내염수성 재질로 구성하게 되며, 저장실(3)의 내측벽과 컨테이너(1)의 외벽사이에는 단열재가 삽치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1) 내측의 저장실(3)에 절임하고자 하는 농산물, 즉 배추나 무를 장입하고 펌프를 가공하여 바닥인 타공판(8) 아래 저장된 소금물을 저장실(3) 천정에 설치된 물분사파이프(16)의 노즐(26)을 통해 소금물을 분사할 때 배추나 무등의 농산물은 절임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저장실에 배추나 무등의 농산물을 장입할 때 운반과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크기의 농산물 적재함(21)을 사용하는 것이 작업능률을 향상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저장실(3) 바닥인 타공판(8) 위에는 농산물 적재함(21)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9) 또는 다수개의 바퀴따위의 이동안내수단을 구비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이동안내수단에 의해 저장실(3)로 장입되는 농산물 적재함(21)은 바닥에다수개의 배수구멍(22)을 가지며, 그 상방에는 절임배추를 눌러 주는 누름판(21)를 갖되 누름판(21)에는 소금물이 통과되는 다수개의 구멍(23-1)을 갖게 된다.
배추나 무등의 농산물을 소금물에 절임할 때 삼투압 작용에 의해 배추나 무등으로부터 수분이 빠져 나오게 되며, 염분이 스며들어 간이 배이게 된다.
이와 같이 절임될 때 배추 또는 무로부터 빠져 나오는 수분은 소금물의 농도를 낮추게 되며, 수위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승되는 수위를 감지하거나 소금물의 농도변화를 검사하여 배추 또는 무등의 절임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배추나 무등의 농산물이 소금물에 절여지는동안 독특한 냄새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배출하는 환기구(18)가 저장실(3)의 천정에 구비되어지게 된다.
또한 산지에서 수집한 배추등의 농산물은 흙등의 이물질이 묻어 붙어있게 되며, 이와 같이 표면에 붙은 이물질은 소금물을 연속하여 분사함으로 씻겨 청결하게 되며, 물분사노즐(26)을 통해 분사되는 소금물은 여과장치(11)를 통해 펌프(6)로 공급되므로 깨끗한 소금물을 계속하여 공급하게 된다.
특히 여과장치(11)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일정두께의 여과포(12)와 살균, 정화작용을 하는 숯층(13)과 물을 신선하게 하며, 물에 미네랄을 공급하는 맥반석층(14)으로 구성토록 하여 항상 신선하며, 살균처리되며 여과된 소금물을 배추에 공급하게 되어 최상의 상태로 배추를 절여지게 된다.
보통 배추로 김치를 담글 경우 사용가치가 없는 배추의 겉껍질을 제거한 후소금물에 일정시간 담궈 절인 다음, 이를 재차 물에 행구어 씻은 다음 배추속에 양념을 넣어 김치를 담그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추를 소금물 절임에 있어 염도는 8~12℃의 소금물에 약6~10시간 절이게 되며, 이때 적당한 온도는 4~8℃이다.
배추를 소금물 절임에 있어 염도가 높게 되면 빨리는 절여지게 되나, 배추의 수분이 다량으로 배출되어 섬유질만 남아 김치가 질겨지게 되며, 염도를 낮출 경우에는 절임시간이 길어지는 폐단을 갖게 된다.
또한 염수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절임시간이 단축되나 반면 신선도가 저하되며, 부패가 촉진되게 되어 염수의 온도는 상온(20℃)보다 낮은 온도 4~8℃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추로 김치를 담금에 있어 절임시 염도 및 그 온도는 김치의 맛과 질을 좌우하게 된다.
또한 김장철에 있어서는 배추 겉껍질에 의한 쓰레기의 발생이 막대하게 되며, 이에 대한 처리비용도 막대하게 되나, 산지에서 배추나 무등의 농산물을 수집할 때 배추의 겉껍질이나 무청등을 제거하여 본 고안의 컨테이너에 장입하게 되면 그 부피가 적어져서 많은 양을 실을 수 있게 되어 수송량 증가를 꾀할 수 있으며, 수송도중 적절한 염도를 신선하게 배추등을 절여 김치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장착된 공기발생장치는 소금물에 공기를 공급하여 소금물을 신선하게 하며, 소금물의 온도를 냉각장치로 인해 4~8℃의 적정온도를 유지하여 신선하게 배추가 절여지게 되며, 펌프에 의해 소금물을 순환시킴에 있어 여과장치를 거쳐소금물을 순환시켜 항상 깨끗한 소금물로 배추가 절여지도록 하여 영양가가 많은 절임 배추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산지에서 생산된 배추등을 운반도중 절임하여 소비자에게 빠른시간내에 신선한 절임 배추등을 제공하게 되며, 김치제조에 대한 쓰레기 발생을 최소로 하여 한번에 많은 양의 배추를 수송할 수 있어 김치생산에 대한 생산비용 및 인건비등을 줄여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저장실의 재질이 내염수성 재질인 스텐레스 스틸이나 F.R.P등과 같은 내염수성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냉각장치, 공기압 발생장치등을 구비함으로 인해 필요에 따라서는 냉장창고 또는 활어 운반용 컨테이너 등으로 충분히 전용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박스형 컨테이너(1) 일측에는 기계실(2)을 가지며, 상기 기계실(2)에는 압축공기발생기(4), 냉각기(5), 펌프(6)등의 기계장치와 비중계, 온도계등의 각종 계기가 설치되며, 상기 컨테이너(1)의 내측의 저장실(3) 바닥에는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타공판(8)을 가지며, 타공판(8) 아래에는 타공판(8)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버팀대(7)와 버팀대(7) 사이에 다수개의 소금물 저장탱크(9)를 가지며, 저장실(3)의 천장에는 다수개의 물분사노즐(26)을 부착한 물분사파이프(16)를 다수열 가지며, 상기 물분사파이프(16)는 펌프(6)와 이어지며, 상기 일측의 소금물 탱크(9)내에는 여과장치(11)를 갖는 것에 있어서, 저장실(3)의 바닥을 구성하는 타공판(8)에는 농산물 적재함(21)을 이동하는 레일(19)이나 바퀴등의 이동안내수단을 가지며, 저장실(3)의 천장에는 환기구(18)를 가지며, 상기 여과장치(11)는 그 내측에 여과포(12)와 일정두께의 숯층(13)과 맥반석층(14)으로 구성된 다단의 여과층을 갖도록 하며, 상기 저장실(3) 바닥의 레일(19)을 따라 주행하는 다수개의 농산물 적재함(21)을 갖도록 하며, 상기 각각의 농산물 적재함(21)은 그 바닥에 다수개의 물배수구멍(22)과 그 내측에 장입되는 배추등의 농산물을 눌러 주는 물투과구멍(23-1)을 다수개 형성한 누름판(23)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
KR2020020020659U 2002-07-10 2002-07-10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 KR200290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59U KR200290669Y1 (ko) 2002-07-10 2002-07-10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0659U KR200290669Y1 (ko) 2002-07-10 2002-07-10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669Y1 true KR200290669Y1 (ko) 2002-10-04

Family

ID=73055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0659U KR200290669Y1 (ko) 2002-07-10 2002-07-10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66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4588A1 (en) * 2003-01-17 2004-08-05 Yo-Sep Ji An apparatus for storing and delivering a food, which has sterilizing and reheating functions
KR101290419B1 (ko) 2010-09-20 2013-07-26 한응수 이동식 절임배추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200481517Y1 (ko) * 2016-07-15 2016-10-1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디자인 공간 확장 및 접이식 판을 갖춘 컨테이너
KR102185611B1 (ko) * 2019-06-07 2020-12-02 박찬권 가축 사체 냉온 보관장치
KR102672217B1 (ko) 2023-07-14 2024-06-04 최정훈 농산물 파렛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4588A1 (en) * 2003-01-17 2004-08-05 Yo-Sep Ji An apparatus for storing and delivering a food, which has sterilizing and reheating functions
KR101290419B1 (ko) 2010-09-20 2013-07-26 한응수 이동식 절임배추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200481517Y1 (ko) * 2016-07-15 2016-10-1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디자인 공간 확장 및 접이식 판을 갖춘 컨테이너
KR102185611B1 (ko) * 2019-06-07 2020-12-02 박찬권 가축 사체 냉온 보관장치
KR102672217B1 (ko) 2023-07-14 2024-06-04 최정훈 농산물 파렛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8028A (en) Low temperature hypobaric storage of metabolically active matter
US4061483A (en) Low temperature hypobaric storage of metabolically active matter
DE69631545T2 (de) Verfahren zur trocknung von nahrungsmitteln mit strahlung im fernen infrarot unter reduziertem druck und bei niedrigen temperaturen
KR101239886B1 (ko) 냉동용 딸기 세척시스템
CN210671926U (zh) 一种鲜切蔬菜保鲜系统
EP2252846A1 (en) A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preservation and transportation of products including live aquatic species
KR200290669Y1 (ko)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
JP2604305B2 (ja) 冷蔵庫の青果物新鮮度維持装置
CN108426407A (zh) 一种内置杀菌过滤系统的高保鲜冰箱
FR2572252A1 (fr) Conteneur pour la conservation de produits alimentaires, notamment pour le maintien en vie d'animaux aquatiques tels que des crustaces
CN213345070U (zh) 一种具有加湿功能的风幕柜
CA2437961A1 (en) Process improved to preserve whole coconut meat with its water inside
CA2620798A1 (en) A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preservation and transportation of products including live aquatic species
CN116697663A (zh) 一种超长波解冻保鲜移动冷库
JP2622646B2 (ja) 青果物のオゾン処理装置
CN106717609A (zh) 一种绿叶蔬菜保鲜库
WO2007009474A1 (en) Method for the application of plant protection agents to harvested produce by means of electrostatically charged spray nozzles
CN114468253A (zh) 一种立式腌制腌菜的平台
CN213604123U (zh) 冻干果蔬原料加工用蒸汽杀菌装置
KR20100125024A (ko) 농산물 예냉 장치
CN219134906U (zh) 一种果蔬存储装置
KR200147286Y1 (ko) 농산물 절임 운반 컨테이너
KR101359732B1 (ko) 친환경 감 탈삽기
RU2312562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лодоовощной продук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20157495U (zh) 一种冷冻海产品保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