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687Y1 -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687Y1
KR200288687Y1 KR2020020018424U KR20020018424U KR200288687Y1 KR 200288687 Y1 KR200288687 Y1 KR 200288687Y1 KR 2020020018424 U KR2020020018424 U KR 2020020018424U KR 20020018424 U KR20020018424 U KR 20020018424U KR 200288687 Y1 KR200288687 Y1 KR 200288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worm
fecal soil
earthworms
sorting
f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혁
Original Assignee
조남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혁 filed Critical 조남혁
Priority to KR2020020018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6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687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 지렁이와 분변토, 미처리물질을 선별하기위한 장치로서, 모터, 지렁이 선별핀, 분변토 선별 스크린, 미세물질 선별 스크린 등으로 구성, 지렁이 및 분변토, 미처리물질의 선별을 자동화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선별된 분변토의 품질저하에 따라 상품성 가치가 떨어지는 기존 선별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기계 구성의 단순함에 따른 초기시설 투자비 및 운영유지비가 저렴하며, 설비의 고장시 수리와 보수가 간편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HY-COM wormcast dispenser }
본 고안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기술에서 처리 후 발생되는 부산물인 지렁이와 분변토의 효과적인 선별을 위하여 고안된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렁이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시 처리 후 혼합되어 있는 지렁이와 분변토, 지렁이가 먹지 않아 처리되지 않고 분변토와 혼합되어 배출되는 물질(오버스 : OVERS, 이하 오버스라 칭한다.)를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드럼 내부에 투입하여 드럼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지렁이 선별핀과 분변토 선별스크린에 의하여 지렁이와 분변토, 오버스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고안된 자동 선별장치이다.
지렁이의 분변토는 주로 퇴비로서의 효용가치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분변토는 단립구조를 이루고 있어 토양의 공극을 유지하여 배수가 잘 되고, 통기성이 우수하여 식물뿌리가 성장하는데 효과적이며, 기존의 비료성분인 N, P2O5, K2O 외에도 탄소, 아민산, 유기물 등이 함유되어 있어 식물체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고 탈취효과가 있어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기간중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이러한 분변토의 물리, 화학적, 생물학적 우수성으로 인하여 최근 탈취제, 탈황제, 종균제 등으로 개발되어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농림부와 환경부의 조율로 분변토 활용계획에 관한 부숙토법이 환경부 고시 제2000-78호로 제정되어 분변토의 법적인 판매 근거를 가지게 되었으며, 그 시장영역은 매립지 토양, 토양개량제, 조경용, 간척지용, 녹생토 등으로 판매가 가능하게 되어 점차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지렁이 사육시설에서 지렁이 및 분변토를 선별하는 공정은 분변토의 활용목적 및 여건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지렁이의 습성을 이용한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사육상에 급이한 먹이를 지렁이가 다 먹으면 사육상 상부에 새로운 먹이를 급이하고 지렁이는 새로운 먹이를 따라 상부로 올라오게 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면서 사육상의 높이는 서서히 높아지게 된다.어느 정도 사육상이 높아지면 새로운 먹이를 찾아 올라온 지렁이를 분리시키고 스키로우더와 선별기를 이용하여 사육상을 뒤집어 분변토를 선별한다. 이러한 과정의 분변토 선별작업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대부분 인력에 의한 방법으로 많은 인력이 소요되면서도 선별 작업시간이 길다. 이에작업능률이 떨어져 생산단가가 상승되어 경쟁력이 저하된다.
둘째, 현재 판매되는 분변토는 흙이나 모래 등의 불순물, 비소화물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입도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상태이고, 선별이 안된 지렁이가 함유되어 있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분변토 선별기는 분변토 판매시 문제시되는 커다란 협잡물을 제거하는 수준이어서 분변토뿐만이 아니라 지렁이가 먹지 않고 분변토와 혼합되어 있는 물질까지 포함되어 분변토라 판매, 상품성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불순물과 지렁이 등을 제거하여 고품질의 분변토를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기술에서 처리 후 발생되는 부산물인 지렁이와 분변토의 선별을 자동화함으로써 적은 노동력으로 지렁이 및 고품질의 분변토 선별이 가능하며, 설비의 단순함에 따른 시설투자비 및 운영유지비가 저렴하며, 설비의 고장시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처리계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의 선별 원리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렁이 선별핀이 연결된 분변토 선별 스크린을 펼쳐놓은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미세물질 선별 스크린을 펼쳐놓은 상태도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렁이, 분변토 및 오버스가 혼합되어 있는 물질을 콘베이어 벨트(도 2-①)를 이용하거나 인력을 이용, 또는 삽, 포크레인, 스키로우더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모터(도 2-⑦)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지렁이 분변토 선별기에 투입한다. 투입된 혼합물질은 1∼5。의 각도로 기울어져 회전하는 드럼내부(도 2)에서 중력에 의하여 배출구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투입된 혼합물질중 지렁이는 분변토 선별 스크린(도 3-⑧)에 연결되어 있는 지렁이 선별핀(길이 30mm∼150mm, Φ3∼10)에 의하여 선별, 지렁이 선별BOX(도3-⑤)에 떨어지게 된다. 회전하는 지렁이 선별핀에 혼합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지렁이가 걸리게 되고, 선별핀에 걸린 지렁이는 회전하다가 지렁이 선별BOX 상부에서 중력에 의하여 낙하, 지렁이 선별BOX에 떨어져 선별된다.
분변토 선별 스크린에 의하여 분변토와 오버스가 선별된다. 분변토 선별 스크린(도 4-④)은 2.5mm 타공망(도 4-⑩)으로 제작되어 평균 입도가 2mm인 분변토가 타공 사이로 배출, 선별하게 되며, 2.5mm이상 크기를 가지는 오버스는 타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배출, 선별된다.
2.5mm 타공에 의하여 선별된 분변토에는 순수 분변토 뿐만 아니라 분변토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오버스도 포함되어 있다. 2.5mm. 타공을 통과한 물질을 다시 1.5mm 타공(도 5-⑪)을 가지는 미세물질 선별 스크린(도 5)을 통과, 순수 분변토와 미세 오버스를 선별, 분리된다.
본 고안에 의한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기는 기존 선별방식의 낮은 작업효율성과 분변토 품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기존 선별기에 비해 초기 설치 비용이 저렴하며,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4)

  1. 지렁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시 혼합되어 있는 지렁이와 분변토, 오버스의 동시 선별이 되도록 하는 지렁이 분변토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1∼5°기울어져 중력에 의해 투입물질이 앞으로 이동되면서 지렁이와 분변토, 오버스가 선별이 되는 지렁이 분변토 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 투입물질 중 지렁이를 선별할 수 있도록 지렁이 선별핀이 회전하는 분변토 선별스크린에 결합되어 있는 지렁이 분변토 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 선별된 분변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작은 입경의 오버스를 선별할 수 있도록 설치된 미세물질 선별 스크린을 장치한 지렁이 분변토 선별장치
KR2020020018424U 2002-06-18 2002-06-18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 KR200288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24U KR200288687Y1 (ko) 2002-06-18 2002-06-18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424U KR200288687Y1 (ko) 2002-06-18 2002-06-18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687Y1 true KR200288687Y1 (ko) 2002-09-11

Family

ID=7308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424U KR200288687Y1 (ko) 2002-06-18 2002-06-18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6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05B1 (ko) * 2013-05-16 2013-12-09 주식회사 누리 동애등에를 이용한 대량 음식물 쓰레기 친환경 처리의 자동화 컨베이어 시스템
KR20210019165A (ko) 2019-08-12 2021-02-2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지렁이분변토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05B1 (ko) * 2013-05-16 2013-12-09 주식회사 누리 동애등에를 이용한 대량 음식물 쓰레기 친환경 처리의 자동화 컨베이어 시스템
KR20210019165A (ko) 2019-08-12 2021-02-2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지렁이분변토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T101842B (pt) Material resinoso recuparado a partir de residuos industriais de peliculas de plastico, metodo e equipamento para a recuperacao de material resinoso proveniente de residuos industriais de peliculas de plastico
KR101940451B1 (ko) 건조 유기성폐기물 선별기
CN106391444A (zh) 通用式农作物种子清洗、分级筛选设备及其使用方法
CN104114289A (zh) 用于街道清扫废物和污土的转筒清洗器
CN105688489B (zh) 一种滚筒筛分机
KR101491644B1 (ko) 매립용 혼합 건설폐기물의 복합식 분리선별 장치 및 그 방법
CN106111674A (zh) 一种固体垃圾的处理方法
CN103071582B (zh) 一种垃圾水分类系统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ES2207039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realizacion del procedimiento de reciclaje material de desechos domesticos.
KR200288687Y1 (ko)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
JP3554829B2 (ja) 土質材料の製造装置
EP0339490A2 (de)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Bauschutt
KR101799687B1 (ko) 불연성 감량화 정밀 선별장치
KR20040052852A (ko) 지렁이 분변토 자동 선별장치
KR100441286B1 (ko) 골재 제조장치
KR200255183Y1 (ko)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JP2004154780A (ja) 土質材料の製造方法
KR20010069851A (ko) 나무 뿌리 파쇄장치
JP2003088775A (ja) 石膏ボードの粉末化装置。
JP4197663B2 (ja) 廃棄物の選別再利用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DE19821190C1 (de) Aufbereitung von Klärschlämmen
KR200242182Y1 (ko) 나무 뿌리 파쇄장치
KR20030011460A (ko) 재건축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200286933Y1 (ko) 폐기물선별장치의 1차 처리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