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648Y1 - 파이프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648Y1
KR200288648Y1 KR2020020017644U KR20020017644U KR200288648Y1 KR 200288648 Y1 KR200288648 Y1 KR 200288648Y1 KR 2020020017644 U KR2020020017644 U KR 2020020017644U KR 20020017644 U KR20020017644 U KR 20020017644U KR 200288648 Y1 KR200288648 Y1 KR 200288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ubber ring
cylindrical rubber
connector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홍
Original Assignee
김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홍 filed Critical 김선홍
Priority to KR2020020017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648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쉽게 결합되고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두 개의 파이프가 양측으로 끼워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파이프 연결구의 내측에 밀착되는 원통형 고무링을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 고무링은 파이프 연결구의 외측에서 밴드 결합구에 의해 결합되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이프 연결구에 끼워지는 파이프가 원통형 고무링의 내측에 끼워지게 하여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구 사이에 원통형 고무링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결합장치{omitted}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쉽게 결합되고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액체 또는 유체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되는 파이프는 소정의 길이 단위로 제작되어지므로,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파이프는 연결부위에 테이프 또는 밴드를 감아서 연결하거나 용접을 하여 연결하고 있다.
특히 파이프의 일측에 파이프의 선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원통형의 삽입부를 형성시키되 삽입부에 파이프가 원활히 삽입되게 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형성시켜 파이프를 삽입부의 내측으로 깊숙이 삽입시키고 있으나, 파이프와 삽입부의 밀착이 약하여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많고, 파이프에 움직임이 있을 경우 연결부위가 쉽게 분리되는 한편 누수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주름관이나 삼중관 등의 합성수지 파이프는 구경이 크고 다양한 직경을 갖고 있어 파이프마다 삽입부를 형성시키기 곤란하므로, 상기된 주름관이나 삼중관 등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시킬 때 일자형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구의 양측으로 파이프를 끼워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된 연결구도 양측으로 끼워진 파이프와 밀착력이 떨어져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대단히 높은 것이었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파이프를 양측에서 간단히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두 개의 파이프가 양측으로 끼워지는 연결구의 내측과 파이프의 외측 사이에 원통형 고무링을 끼워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한편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두 개의 파이프가 양측으로 끼워지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파이프 연결구의 내측에 밀착되는 원통형 고무링을 구비하고, 상기 원통형 고무링은파이프 연결구의 외측에서 밴드 결합구에 의해 결합되게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이프 연결구에 끼워지는 파이프가 원통형 고무링의 내측에 끼워지게 하여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구 사이에 원통형 고무링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A 부분 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고무링과 밴드 결합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결합전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결합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결합전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파이프 5 : 삽입부 6 : 밴드 결합구
10 : 원통형 고무링 11 : 접착제 15 : 연결구
본 고안은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편하고도 확실하게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파이프를 결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원통형 고무링(10)과 상기 고무링(10)을 삽입부(5) 또는 연결구(15)에 고정시키는 밴드 결합구(6)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 원통형 고무링(10)은 연결시킬 파이프(1)의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준비하여 파이프(1)의 직경과 맞는 원통형 고무링(10)을 사용하여야 한다.
여기서 삽입부(5)와 연결구(15)는 각각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파이프(1)가 끼워질 때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된 삽입부(5)와 연결구(15)의 입구에 원통형 고무링(10)을 끼우되 원통형 고무링(10)의 일측이 삽입부(5)와 연결구(15)의 외측에 끼워져 밴드 결합구(6)로 고정되게 하고, 삽입부(5)와 연결구(15)의 내측으로 원통형 고무링(10)이 위치하도록 한다.
즉 원통형 고무링(10)은 일측이 삽입부(5)와 연결구(15)의 선단에 끼워지고 그 외측을 밴드 결합구(6)로 조여주어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원통형 고무링(10)은 삽입부(5)와 연결구(15)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파이프(1)가 삽입부(5)와 연결구(15)에 끼워질 때 원통형 고무링(10)이 삽입부(5)와 연결구(15)의 내측과파이프(1)의 외측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게 한다.
이때 원통형 고무링(10)의 내측에는 파이프(1)를 끼우기 전에 접착제(11)를 칠하여 파이프(1)가 원통형 고무링(10)의 내측에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결합부위를 고정시키도록 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먼저 삽입부(5)에 파이프(1)를 끼우거나, 연결구(15)에 양측으로 파이프(1)(2)를 끼울 경우 파이프(1)(2)가 삽입되는 쪽에 원통형 고무링(10)을 끼워 고정시키도록 한다.
원통형 고무링(10)은 삽입부(5) 또는 연결구(15)에 일측이 끼워지게 되고, 상기 고무링(10)의 외측을 밴드 결합구(6)로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 원통형 고무링(10)의 타측은 삽입부(5) 또는 결합구(15)의 내측으로 밀어 넣어 준다.
이때 원통형 고무링(10)은 원통형으로 제작하여 작업현장에서 꺽어주어가며 사용하거나 처음부터 꺽어준 상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어떠한 형태로 사용하거나 사용형태에 관계없이 원통형 고무링(10)의 일측이 삽입부(5) 또는 결합구(15)의 외측에 고정되고, 원통형 고무링(10)의 타측은 삽입부(5) 또는 결합구(15)의 내측에 위치되게 할 경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난다고 할 수 없다.
즉 원통형 고무링(10)을 일자 형태로 펼친 상태에서 고무링(10)의 내측이 삽입부(5) 또는 연결구(15)의 외측에 씌워지게 하고, 상기 고무링(10)의 외측에 밴드 결합구(6)를 채워준 후 밴드를 조이게 되면 원통형 고무링(10)은 삽입부(5) 또는 연결구(15)의 선단에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원통형 고무링(10)의 잔여부분을 내측으로 말아서 삽입부(5) 또는 연결구(15)의 내측에 밀어 넣게 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고무링(10)의 일측은 삽입부(5) 또는 연결구(15)의 외측에 고정되고 나머지는 삽입부(5) 또는 연결구(15)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태가 되어 파이프(1)(2)를 연결시킬 준비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 같이 삽입부(5) 또는 연결구(15)의 외측에 원통형 고무링(10)의 일측을 밴드 결합구(6)로 고정시키고 원통형 고무링(6)의 대부분을 삽입부(5) 또는 연결구(15)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에는 원통형 고무링(10)의 내측으로 접착제(11)를 발라준다.
접착제(11)를 원통형 고무링(10)에 발라준 후에는 파이프(1)를 원통형 고무링(10)에 끼워주면 파이프(1)(2)의 연결이 완료되는 것으로, 파이프(1)(2)는 원통형 고무링(10)에 발라진 접착제(11)에 의해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끼워지게 되고, 파이프(1)가 완전히 끼워진 후에는 접착제가 굳어 파이프(1)와 고무링(10)을 완전 밀착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파이프(1)가 삽입부(5) 또는 연결구(15)에 끼워질 때 고무링(10)이 압착되면서 끼워지게 되므로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접착제(11)로 접착되어 있어 분리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한편 파이프의 외측이 굴곡을 갖는 주름관(3)은 주름관(3)의 골이진 부분에 스폰지나 우레탄 조각을 채워 표면을 매끄럽게 한 상태에서 삽입부(5) 또는 연결구(15)의 고무링(10)에 끼워주도록 하며, 이때 주름관(3)의 표면이 매끄러워고무링(10)에 잘 끼워지게 된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 파이프를 연결시킴에 있어서, 삽입부 또는 연결구의 내측에 원통형 고무링을 끼우되 상기 원통형 고무링의 선단은 삽입부 또는 연결구의 외측에 밴드 결합구로 고정시키고, 상기 원통형 고무링의 안쪽으로 접착제를 바르고 파이프를 끼워주는 것으로, 파이프의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원통형 고무링이 파이프의 외측에 밀착 고정되므로 파이프 외측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Claims (2)

  1. 합성수지 파이프(1)(2)를 연결시키는 파이프 연결구(15)에 있어서, 파이프 연결구(15)의 외측 선단에 원통형 고무링(10)을 끼워 밴드 결합구(6)로 고정시키고, 상기 원통형 고무링(10)을 연결구(15)의 내측으로 밀어넣은 후 상기 원통형 고무링(10)에 접착제(11)를 바르고 파이프(1)를 원통형 고무링(10)의 안쪽으로 끼워주도록 하는 파이프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고무링(10)은 파이프(1)가 삽입되는 삽입부(5)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파이프 결합장치.
KR2020020017644U 2002-06-10 2002-06-10 파이프 결합장치 KR200288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644U KR200288648Y1 (ko) 2002-06-10 2002-06-10 파이프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644U KR200288648Y1 (ko) 2002-06-10 2002-06-10 파이프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648Y1 true KR200288648Y1 (ko) 2002-09-11

Family

ID=7312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644U KR200288648Y1 (ko) 2002-06-10 2002-06-10 파이프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6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383A (ko) * 2005-12-06 2007-06-12 손우영 합성수지관 연결용 조립형 수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383A (ko) * 2005-12-06 2007-06-12 손우영 합성수지관 연결용 조립형 수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873B1 (en) Slide coupling fitting for connecting conduits
JP5427954B2 (ja) らせん状自在管連結具
ATE220186T1 (de) Dichte rohrverbindungsstelle
PL2110593T3 (pl) Sposób łączenia węża i układ złączki
KR200288648Y1 (ko) 파이프 결합장치
JP2008144874A (ja) 合成樹脂製の管継手
US20060157972A1 (en) Inside reducing pipe bushing
KR101515841B1 (ko) 부시를 포함하는 관이음 장치
KR200413821Y1 (ko) 파이프 연결구
JP3134692B2 (ja) ヘッダー
JP2003343788A (ja) 管継手
KR100998933B1 (ko) 피이관 슬라이드 소켓 접합방법
JPH05240394A (ja) 電熱線を内蔵した自在継手
CN210484963U (zh) 用于洗衣机管路的热缩式连接件
KR200424711Y1 (ko) 윤활제 저장부를 구비하는 실링재
KR200239076Y1 (ko) 연결소켓이 일체로 구비된 이중벽 편수관
KR200220056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CN218480280U (zh) 一种防脱式内涂层管端插接连接装置
CN210510700U (zh) 用于洗衣机管路的连接件
KR101430400B1 (ko) 부시 및 이를 포함하는 관이음 연결장치
TWM542725U (zh) 管路連接裝置
JPS6112469Y2 (ko)
KR101435576B1 (ko) 부시 및 이를 포함하는 관이음 장치
JP3025738U (ja) ポリエチレン管継手
JP4441167B2 (ja) 樹脂管用パッキン及びこれを用いた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