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384Y1 - 자동문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문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384Y1
KR200288384Y1 KR2020020017991U KR20020017991U KR200288384Y1 KR 200288384 Y1 KR200288384 Y1 KR 200288384Y1 KR 2020020017991 U KR2020020017991 U KR 2020020017991U KR 20020017991 U KR20020017991 U KR 20020017991U KR 200288384 Y1 KR200288384 Y1 KR 200288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door
solenoid
locking member
main bod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원
Original Assignee
강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원 filed Critical 강태원
Priority to KR2020020017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384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되는 로킹부재의 연계동작만으로 간편하게 자동문을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시킬 수 있는 자동문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출입공(110a)이 형성된 본체(110);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120); 솔레노이드(120)에 관통되며 솔레노이드(120)의 작동에 의해 전 · 후진되어 그 일단부가 출입공(110a)을 출입하는 로킹부재(140); 및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로킹부재(140)의 후진시 로킹부재(140)의 타단부에 의해 접점되는 리미트스위치(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문 로킹장치{AUTO DOOR LOCKING SYSTEM}
본 고안은 자동문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전 · 후진되는 로킹부재의 연계동작만으로 간편하게 자동문을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시키고, 자동문의 로킹과 개폐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문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은행, 아파트 및 병원 등의 각종 건물에는 비용 절감 측면을 고려하여 무인 경비시스템이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공동현관 출입구에 자동문을 설치하여 경비원 채용으로 인한 비용 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자동문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개폐되는 미닫이 방식과 회전형태로 개폐되는 여닫이 방식으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실외에서는 키박스에 별도의 암호를 버튼식으로 조작하거나 출입카드, 또는 지문을 이용하여 자동문을 개방시키도록 하고, 실내에서는 사용자가 자동문에 근접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자동문을 개방시키거나 별도의 버튼을 눌러 자동문을 개방시키도록 하고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문은 화재나 정전 등의 비상시를 제외하고는 보안을 위해 수동으로 개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종래에 자동문을 수동으로 개방할 수 없도록 자동문을 로킹하는 로킹장치가 국내 공개실용신안 실2000-0003734 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선출원에 따른 로킹장치에 따르면, 자동문(31) 이송으로 스토퍼어셈블리(29)의 스토퍼(30)가 제2회동편(27)을 통과할 때 제2회동편(27)은제1회동편(24) 타측에 형성된 고정핀(25)을 중심축으로 회동하여 제1회동편(24) 내측으로 함몰되며, 스토퍼(30)가 제2회동편(27)을 통과후 제2회동편(27)이 고정핀(25)을 중심축으로 회동하여 몸체(22) 밖으로 돌출되는 초기위치로 복귀함에 따라(제2회동편(27)이 제1회동편(24)으로 부터 돌출되는 것임), 자동문(31)은 로킹된다.
한편, 자동문(31)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경우, 상기 몸체(22) 타측에 장착된 솔레노이드(28)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어 로커(32)를 솔레노이드(28) 측으로 후진시킴에 따라, 스토퍼(30)의 가압력에 의해 제1회동편(24)이 몸체(22)에 형성된 고정핀(23)을 중심축으로 회동하여 몸체(22) 상방으로 회동하며, 이로 인해 자동문(31)은 제2회동편(27)을 통과할 수 있게 되므로 자동문(31)의 로킹이 해제되는 것이다.
종래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로킹장치는, 로킹이 해제되어 자동문이 개방될 경우 스트퍼어셈블리의 스토퍼가 이동하면서 제1회동편을 가압하여 제2고정핀을 중심으로 몸체 상방으로 회동시키므로 스토퍼와 제1회동편의 잦은 접촉으로 인해 제1회동편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으며, 또한 자동문이 폐쇄될 경우에도 스토퍼와 제2회동편의 잦은 접촉으로 인해 제2회동편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 자동문 로킹장치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되는 로킹부재의 연계동작만으로 간편하게 자동문을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시킬 수 있는 자동문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동문의 로킹과 개폐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문 로킹장치를 제공하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로킹장치 110 : 본체
120 : 솔레노이드 121 : 브라킷
122 : 철심 123 : 코일
130 : 영구자석 140 : 로킹부재
141 : 제1원형봉 142 : 제2원형봉
143 : 제3원형봉 150 : 접점부재
160 : 탄성부재 170 : 리미트스위치
180A, 180B : 내,외측브라켓 190 : 이탈방지부재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출입공이 형성된 본체;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전 ·후진되어 그 일단부가 출입공을 출입하는 로킹부재; 및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로킹부재의 후진시 로킹부재의 타단부에 의해 접점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는, 상기 로킹부재의 일단부와 솔레노이드 사이에 탄설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문틀 내의 설치패널에 형성된 설치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측브라켓과, 설치홈의 외측에서 내측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외측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100)는, 문틀의 설치패널(200)에 설치되어 자동문(300)의 상측에 장착되는 도어행거(310)의 스토퍼(311)를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시켜 자동문(300)이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110)와,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120)와, 상기 솔레노이드(120)의 작동에 의해 전 ·후진되는 로킹부재(140)와, 본체(1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로킹부재(140)의 후진시 접점되는 리미트스위치(170)와, 설치패널(200)에 형성된 설치홈(2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측브라켓(180A)과, 설치홈(201)의 외측에서 내측브라켓(180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110)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는 외측브라켓(18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는 각종 기기들이 설치되며, 본체(110)의 일측에는 로킹부재(140)가 출입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출입공(110a)이 형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2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로킹부재(140)를 전 · 후진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사각의 브라킷(121)과, 브라킷(121)의 전후에 관통 설치되고 내부에 로킹부재(140)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형관 형태의 철심(122)과, 철심(122)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코일(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123)에 전원이 인가되면 철심(122)에 자기장이 생성되고 이 자기장의 생성방향으로 로킹부재(140)가 이동하게 되는데, 코일(123)에 전원이 교번(交番)되게 인가되면 즉, 코일(123)의 양단에 전원이 교대로 인가되면, 그 때마다 자기장의 생성방향이 변하게 되어 로킹부재(140)의 이동방향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문(300)의 개방시에는 로킹부재(140)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되게 전원이 인가되고, 자동문(300)의 폐쇄시에는 로킹부재(140)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되게 전원이 인가된다.
이 때, 상기 솔레노이드(120)의 철심(122)은 후단부로 가면서 그 내경이 단계적으로 축소되는 다단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어 로킹부재(140)의 후진 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코일(123)과 브라킷(121) 후단부 사이에는 철심(122)의 외측으로 영구자석(130)이 장착되어 로킹부재(140)의 후진시 철심(122)에서 생성되는 자기장과 더불어 영구자석(130)의 인력으로 인해 로킹부재(140)는 신속하게 후진된다.
상기 로킹부재(140)는 솔레노이드(120)의 작동에 의해 전 · 후진되어 자동문(300)을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시키는 것으로, 전단부에 형성되어 출입공(110a)을 통해 출입하는 제1원형봉(141)과, 제1원형봉(141)의 후단부에 일직선상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어 솔레노이드(120)의 철심(12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제2원형봉(142) 및 제3원형봉(1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원형봉(141)(142)(143)은 단계적으로 그 직경이 축소되며, 제1원형봉(141)의 후단부는 전단부에 비해 그 직경이 확장되어 전진시 출입공(110a)의 입구에 걸리게 되고, 제2원형봉(142)과 제3원형봉(143) 사이에는 소정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제3원형봉(143)의 후단부는 철심(122)의 후방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3원형봉(143)의 후단부에는 로킹부재(140)의 후진시 리미트스위치(170)를 접점시키는 원판형의 접점부재(150)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로킹부재(140)의 제1원형봉(141)과 솔레노이드(120)의 브라킷(121) 전단부 사이에 탄성부재(160)가 탄설되어 로킹부재(140)의 후진시 압축되었다가 로킹부재(140)의 전진시 탄성회복되어 로킹부재(140)를 전진시킨다.
상기 리미트스위치(170)는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로킹부재(140)의 후진시 접점부재(150)에 의해 접점되어 그 접점신호를 컨트롤부(400)에 전송하고 컨트롤부(400)로 하여금 자동문(300)을 개방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리미트스위치(170)는 자동문(300)의 로킹이 해제된 후 시차를 두고 자동문(300)이 개방되도록 하여 자동문(300)의 스토퍼(311)와 로킹부재(140)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내측브라켓(180A)은 설치패널(200)의 설치홈(20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설치홈(201)의 입구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돌출부(202)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외측브라켓(180B)은 본체(110)의 내부공간을 밀폐함과 동시에설치홈(201)의 외측에서 돌출부(202)를 사이에 두고 내측브라켓(180A)에 볼트 체결된다.
미설명부호 190은 출입공(110a)의 입구에 억지 끼움되어 로킹부재(140)의 전진시 로킹부재(140)의 제1원형봉(141) 후단부가 걸려 로킹부재(140)가 출입공(110a)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공의 이탈방지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자동문(300)을 통해 외부로 나가기 위해서는 실내에 설치되는 버튼(미도시)을 눌러 문틀 내의 설치패널(200)에 설치되는 컨트롤부(400)에 신호를 보내거나 문틀의 외측에 설치되는 센서(미도시)로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컨트롤부(400)에 보내게 된다. 신호를 받은 컨트롤부(400)의 제어에 의해 로킹장치(100)의 솔레노이드(1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120)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20)가 작동하여 자기장이 생성되면 자기장에 의해 로킹부재(140)가 후진되면서 솔레노이드(120)의 철심(122)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브라킷(121) 후단부 사이에 장착된 영구자석(130)의 인력에 의해 후진이 가속된 후 영구자석(130)에 의해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로킹부재(140)가 완전히 후진되면 로킹부재(14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접점부재(150)에 의해 리미트스위치(170)가 접점되고, 그 접점신호가 컨트롤부(400)에 보내져, 신호를 받은 컨트롤부(400)의 제어에 의해 자동문(300)이개방된다. 이처럼 로킹부재(140)가 완전히 후진된 후 시차를 두고 자동문(300)이 개방되므로 도어행거(310)의 스토퍼(311)와 로킹부재(140)가 충돌할 염려가 없게 된다.
자동문(300)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실외로 나가게 되면 자동문(300)의 실외에 설치된 센서(미도시)가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컨트롤부(400)로 보내게 되고, 신호를 받은 컨트롤부(400)의 제어에 의해 자동문(300)이 닫히게 된다.
자동문(300)이 완전히 닫히면 컨트롤부(400)의 제어에 의해 자동문(300)이 개방될 때와는 반대방향의 전원이 솔레노이드(120)에 인가되고, 솔레노이드(120)의 작동에 의해 자동문(300)이 개방될 때와는 반대 방향의 자기장이 형성되어 로킹부재(140)는 영구자석(130)의 인력으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되어 스토퍼(311)를 로킹한다.
사용자가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오고자 할 경우에도 실외로 나갈 때와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에는 보안을 위해 실외에 설치된 키박스(미도시)에 암호를 버튼식으로 조작하거나 출입카드 또는 지문을 이용하여 컨트롤부(400)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솔레노이드(120)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로 인해 정전이 될 경우에는 컨트롤부(400)에 잔류하고 있던 미세 전원이 솔레노이드(120)에 인가되어 로킹부재(140)를 후진시킴으로써, 자동문(300)의 로킹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자동문(300)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로킹장치를 첨부된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자동문 로킹장치에 따르면, 솔레노이드와 로킹부재의 연계동작만으로 간편하게 자동문을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시킬 수 있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그에 따라 소요되는 부품수가 감소하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자동문의 로킹과 개폐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로킹부재와 도어행거 스토퍼와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내부 공간과 연통되게 출입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에 관통되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전 · 후진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출입공을 출입하는 로킹부재; 및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로킹부재의 후진시 로킹부재의 타단부에 의해 접점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로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탄설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로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문틀 내의 설치패널에 형성된 설치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내측브라켓과,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며, 상기 설치홈의 외측에서 상기 내측브라켓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측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로킹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로킹부재의 후진시 상기 리미트스 위치를 접점시키는 접점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로킹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는 영구자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 로킹장치.
KR2020020017991U 2002-06-12 2002-06-12 자동문 로킹장치 KR200288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991U KR200288384Y1 (ko) 2002-06-12 2002-06-12 자동문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991U KR200288384Y1 (ko) 2002-06-12 2002-06-12 자동문 로킹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760A Division KR100473617B1 (ko) 2002-09-18 2002-09-18 자동문 로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384Y1 true KR200288384Y1 (ko) 2002-09-09

Family

ID=7307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991U KR200288384Y1 (ko) 2002-06-12 2002-06-12 자동문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3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207B1 (ko) * 2009-07-24 2012-03-27 유경오토메틱스(주) 자전거 수납부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207B1 (ko) * 2009-07-24 2012-03-27 유경오토메틱스(주) 자전거 수납부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9347A (en) Door locking system
CA2284269C (en) Security door lock arrangement
US7872577B2 (en) Lock input device for a security system
EP1543208B1 (en) Door locking device
US5865483A (en) Electromechanical locking system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200288384Y1 (ko) 자동문 로킹장치
RU2040690C1 (ru) Сейф
KR100473617B1 (ko) 자동문 로킹장치
CN112832595A (zh) 一种智能楼宇安防用门禁装置
CN101169016A (zh) 一种可双向开启的插芯式门锁
JP2021031978A (ja) 自動ドアユニット及び建具
KR102151624B1 (ko) 입출구 개폐 장치
KR102237496B1 (ko) 보조개방 장치를 구비한 도어용 전자식 잠금장치
US3968483A (en) Burglar and fire alarm system
KR200283422Y1 (ko) 자동문 로킹장치
KR100994344B1 (ko) 도어록 장치
KR100315217B1 (ko) 도어록
US3570285A (en) Auxiliary door lock
CN216641754U (zh) 磁吸地舌锁定式防撬玻璃门逃生锁
JPS5926750B2 (ja) 電灯等の消し忘れ防止装置付き扉錠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EP4141201A1 (en) Latch device and lock with clamp for a sliding door or window
KR20080022285A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JPH0893287A (ja) 機械的錠前の施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