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202Y1 - 오디오신호수신전화기 - Google Patents

오디오신호수신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202Y1
KR200288202Y1 KR2019960056803U KR19960056803U KR200288202Y1 KR 200288202 Y1 KR200288202 Y1 KR 200288202Y1 KR 2019960056803 U KR2019960056803 U KR 2019960056803U KR 19960056803 U KR19960056803 U KR 19960056803U KR 200288202 Y1 KR200288202 Y1 KR 200288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audio
audio signal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681U (ko
Inventor
신광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6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202Y1/ko
Publication of KR19980043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202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오디오 기기를 적절히 제어하여 음성신호를 입력받고 청취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하여 라디오, 카셋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오디오신호 수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전화기는 사용자 상호간의 통신기능을 포함하여 일부 국한된 기능만을 수행할 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디오 기기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 상기 원격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신호 또는 전화선을 통한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유선 전화부; 사용자의 키입력신호 명령에 따라 상기 유선 전화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유선 전화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전화부로 구성되므로 사용자에게 전화사용의 편리함 및 서비스의 다양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신호 수신 전화기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 기기를 적절히 제어하여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청취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하여 라디오, 카셋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등에 의해 재생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오디오 신호 수신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무선 겸용 전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적인 유·무선 겸용 전화기(1)는 유선 전화부(2)와 무선 전화부(3)로 구성되고 상호간의 통신기능인 인터폰(Interphone)기능을 구비하므로 일정 거리내에서는 상호 통화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전화기는 사용자 상호간의 통신기능을 포함하여 일부 국한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홈 오토메이션화 되어가는 기술추세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기술적 과제를 안고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화기를 통해 오디오 기기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등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 오디오신호 수신전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무선 겸용 전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신호 수신 전화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유선 전화부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2의 무선 전화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원격 제어부 40: 유선 전화부
41: 오디오신호 입력부 42: 전화신호 입력부
43. 선택부 44, 52: 제어부
45, 53: 출력부 46, 51: 송수신부
50: 무선 전화부
본 고안은 오디오 기기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 상기 원격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신호 또는 전화선을 통한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유선 전화부; 사용자의 키입력신호 명령에 따라 상기 유선 전화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유선 전화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전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선 전화부는 사용자의 키 입력신호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유선전화부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원격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신호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원격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신호 또는 전화선을 통한 오디오신호 중 하나는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선 전화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전화신호 입력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원격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신호 또는 상기 전화신호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화선을 통한 오디오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무선 전화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신호 수신전화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신호 수신 전화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유선 전화부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의 무선 전화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신호 수신전화기(20)는 오디오 기기(10)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부(30), 상기 원격제어부(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오디오 기기(10)의 오디오신호 또는 전화선을 통한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유선 전화부(40), 사용자의 키 입력신호 명령에 따라 상기 유선 전화부(4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유선 전화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전화부(50)로 구성된다.
이때 유선 전화부(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키 입력신호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부(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유선 전화부(40)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44), 상기 제어부(44)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부(3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 기기(10)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신호 입력부(41), 상기 제어부(44)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부(30)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전화신호 입력부(42), 상기 제어부(44)로부터 인가되는 원격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부(41)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신호 또는 상기 전화신호 입력부(42)로부터 출력되는 전화선을 통한 오디오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44), 상기 선택부(44)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무선 전화부(5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4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부(43)에서 출력된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하여 스피커(도시 생략)등의 출력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부(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무선 전화부(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전화부(50)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키신호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52), 상기 제어부(52)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상기 유선 전화부(40)로 송신하거나 유선 전화부(40)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51), 송·수신부(51)에서 출력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여 스피커에 출력하는 출력부(5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오디오신호 수신전화기(2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디오신호 수신전화기(20)의 무선 전화부(50)를 이용하여 라디오의 FM 방송을 듣고자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무선 전화부(50)의 키 판넬(도시 생략)에서 오디오신호 수신키(Key), 오디오 기기(라디오, 카셋트 플레이어… )중 라디오의 FM 방송을 선택하기 위한 키 및 모드(Mode)설정 키를 누른다.
이때 오디오신호 수신키, 라디오 선택 키 및 모드설정 키는 자체 설정된 숫자 코드(Code)(예를 들어 111, 110… ) 또는 키 판넬에 문자 또는 기호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드는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도중 전화가 걸려오면 라디오 방송을 차단하고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화신호 우선모드와 걸려오는 전화에 상관없이 라디오 방송만 청취하도록 하는 오디오신호 전용모드가 있다.
이어서 오디오 수신키, 오디오 기기 선택키 및 모드 설정키(오디오신호 전용 모드라 가정) 입력에 따른 신호가 유선 전화부(40)의 제어부(44)에 인가되면 제어부(44)는 선택부(43)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전화신호 입력부(42)의 입력신호가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고 오디오신호 입력부(41)의 신호만 입력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원격 제어부(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오디오 기기(10)중 라디오의 FM 방송신호가 오디오신호 입력부(41)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44)는 선택부(43)를 통해 출력되는 라디오의 FM 방송신호를 송·수신부(46)를 통해 무선 전화부(50)의 송·수신부(51)에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무선 전화부(50)는 송·수신부(51)를 통해 인가받은 FM 방송신호를 출력부(53)에 인가하고 출력부(53)는 FM 방송신호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여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화신호 우선모드에서 음악을 청취하고자할 경우 유선 전화부(40)의 제어부(44)는 무선 전화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격 제어부(30)를 제어하여 오디오 기기(10)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음악 등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악을 청취하는 동안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처음에 존재하여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일정 펄스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계속 판단한다.
이때 일정 펄스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44)는 전화가 걸려온 것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선택부(43)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오디오 기기의(10) 오디오신호를 차단하고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송·수신부(46)를 통해 무선전화부(50)에 전송한다.
한편 그 이외의 경우에도 동일한 알고리즘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의 전화 예를 들어 공중전화를 이용하여 오디오 기기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듣고자 하거나 오디오 기기에 일정한 음성신호 등을 녹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으며, 전화기에 헤드 폰(Head Phone)을 연결할 수 있도록 잭(Jack)을 구비하여 헤드 폰을 통해 보다 나은 음질로 음악을 청취하고자 할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신호 수신전화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등의 음성정보를 사용자의 집 또는 외부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청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전화기 사용의 편리함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홈 오토메이션의 현실화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오디오 기기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
    상기 원격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신호 또는 전화선을 통한 오디오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유선 전화부;
    사용자의 키입력신호 명령에 따라 상기 유선 전화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유선 전화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무선 전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선 전화부는
    사용자의 키 입력신호 명령에 따라 상기 원격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유선전화부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원격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오신호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원격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신호 또는 전화선을 통한 오디오신호 중 하나는 선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수신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화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원격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전화신호 입력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원격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기기의 오디오신호 또는 상기 전화신호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화선을 통한 오디오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무선 전화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신호 수신 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부는
    무선전화부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키신호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를 상기 유선 전화부로 송신하거나 유선 전화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에서 출력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청취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여 스피커에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 수신전화기.
KR2019960056803U 1996-12-26 1996-12-26 오디오신호수신전화기 KR200288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803U KR200288202Y1 (ko) 1996-12-26 1996-12-26 오디오신호수신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803U KR200288202Y1 (ko) 1996-12-26 1996-12-26 오디오신호수신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681U KR19980043681U (ko) 1998-09-25
KR200288202Y1 true KR200288202Y1 (ko) 2002-12-12

Family

ID=5399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803U KR200288202Y1 (ko) 1996-12-26 1996-12-26 오디오신호수신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2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681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8396A1 (en) Mobile device having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telephone communication function
WO19980051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user selected frequency response pattern to audio signals provided to a cellular telephone speaker
KR100188873B1 (ko) 핸드폰의 라디오기능 부가방법 및 장치
KR200288202Y1 (ko) 오디오신호수신전화기
KR100469847B1 (ko) 다기능 오디오폰
JPH11154994A (ja) 携帯電話着信通知装置
JP3175655B2 (ja) デジタル無線通信装置
KR100771975B1 (ko) 통합 오디오 제어장치
JPH0697876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194803Y1 (ko) 무선 헤드셋
KR200315201Y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JP2001036615A (ja) 携帯音響機器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247052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76910A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
KR200165956Y1 (ko) 외부 오디오 연결형 전화기
KR20010061331A (ko) 배경음악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JPH09247249A (ja) 携帯電話機
JP2568030Y2 (ja) 電話システム
KR100714572B1 (ko) Fm 송수신 단말기
JP2000156725A (ja) 外部オ―ディオ連結型の電話機
JPH02218291A (ja) ワイヤレス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70000671B1 (ko) 응답전화기를 이용한 도어폰 시스템 및 그 신호처리방법
JP2966577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662099B2 (ja) 無線電話装置
JP2005150909A (ja) 受話音質調整機能付き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