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678Y1 - 다기능 봉지 밀폐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봉지 밀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678Y1
KR200287678Y1 KR2020020006541U KR20020006541U KR200287678Y1 KR 200287678 Y1 KR200287678 Y1 KR 200287678Y1 KR 2020020006541 U KR2020020006541 U KR 2020020006541U KR 20020006541 U KR20020006541 U KR 20020006541U KR 200287678 Y1 KR200287678 Y1 KR 200287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inge portion
sealing
hing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요시 아다치
Original Assignee
나오요시 아다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오요시 아다치 filed Critical 나오요시 아다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6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58Elements for flattening or folding the mouth portion
    • B65D33/1675Hinged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를 갖을 뿐만 아니라 적절한 밀봉력으로써 봉지의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으며, 물체를 끼울 수 있는 끼움부를 구비한 다기능 봉지 밀폐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봉지 밀폐구(10)는 양단에 탄성힌지부(4)로 결합된 직사각형 단면의 2개의 장척의 부재(1a, 1b)가 구비되어, 상기 장척의 부재(1a, 1b)를 따라 서로 대향하는 장변면(長邊面)(1c, 1d)상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한 사각단면의 리브(2a, 2b)가 마련되고, 봉지의 개구부 주위를 2개의 장척의 부재(1a, 1b)로 끼우고, 힌지(4)의 탄성력 보다 큰 외력을 장척의 부재(1a, 1b)에 가함으로써 리브(2a, 2b) 사이에 봉지의 개구부를 끼워 밀봉하고, 힌지부로 결합된 2개의 장척의 부재(1a, 1b)의 각 끝단에 마련된 끼움부(3a, 3b)를 별체의 케이스에 삽입하여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기능으로서 본 고안은 그 구성인 끼움부(3a, 3b)를 이용하여 과자 등 특정의 물체를 끼워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봉지 밀폐구{A UTILITY COLSING UTENSIL OF BAG}
본 고안은 봉지의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끼움부가 부설된 봉지의 밀폐도구에 관한 것이다.
널리 봉지의 개구부를 밀봉하는 수단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여러가지 방법들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개구부를 풀로 붙이거나, 가밀폐하거나 하는 방법은 충분한 밀봉력을 얻을 수 있지만, 한번 개봉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밀봉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반복하여 개폐 가능한 가장 일반적인 밀폐 방법은 봉지의 개구부를 묶거나, 조여서 끈 등으로 묶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 역시 봉지가 두꺼운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에 밀폐하기 곤란할뿐만 아니라 충분한 밀폐도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방법은 얇은 비닐봉지 등의 경우에 있어서는 봉지의 개구부를 용이하게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불필요한 조임 공간이 요구되어 봉지의 용적이 전체적으로 감소하며, 특히 봉지 내에 삽입물이 포화상태에 이를 경우에는 조임 공간이 부족하여 끈 등을 사용하여 봉지를 밀봉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비닐봉지의 개구부를 조임 밀봉하지 않고 널리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개구부에 파스너를 부설하여 밀봉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러한 밀폐 방법들 또한 파스너가 부설됨으로 인하여 봉지의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봉지 밀폐도구를 이용하여 봉지를 밀폐하고, 그 후, 봉지를 개봉하여 봉지 속의 물건을 꺼낼 때에는 젓가락이나 집게 등 별도의 끼움 도구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적절한 밀봉력을 가지고, 봉지의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는 기능과 아울러 물체를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구비한 다기능 봉지 밀폐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봉지 밀폐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봉지 밀폐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X-X 단면도이다.
도 4는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기능 봉지 밀폐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부재 1a, 1b: 장척의 부재
1c, 1d: 장변면(長邊面) 2a, 2b: 리브
3a, 3b: 끼움부 4: 힌지부
5a, 5b: 요부 6: 비드
8: 케이스 10: 다기능 봉지 밀폐구
20: 봉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양단이 힌지부에 결합된 2개의 장척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힌지부로 결합된 2개의 장척의 부재 각 끝단이 서로 이격되어 연재(延在)되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상기 힌지부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면상에 봉지의 개구부를 끼워 밀봉하기 위한 길이방향으로 돌출한 리브와, 상기 힌지부로 결합된 2개의 장척의 부재 각 끝단에 마련되어 물체를 끼우기 위한 끼움부와, 상기 봉지의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본체부재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부재를 구성하는 2개의 장척의 부재는 힌지부의 양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되어지며, 이때 2개의 장척의 부재 및 힌지부는 탄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짐으로써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러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힌지를 탄성힌지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척의 부재 및 힌지부가 탄성재로 구성되어짐으로써 봉지의 개구부를 밀봉할 때에 2개의 장척의 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장척의 부재가 서로 접히도록 함으로써 봉지가 밀봉되는 것이며, 봉지의 개봉시에는 가해졌던 외력을 제거함으로써 힌지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시 힌지부의 양측이 소정의 각도로 개방된 초기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한편, 상기 2개의 장척의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면상에 마련된 리브는 서로 단이 상위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봉지의 개구부가 다중 압착으로 인한 적절한 밀봉력에 의해 밀봉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재를 구성하는 힌지부, 2개의 장척의 부재, 리브, 또는 힌지부로 결합된 2개의 장척의 부재의 각 끝단에 마련된 끼움부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필요에 따라 금속 등의 재질로 성형되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봉지의 개구부의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서는 접히도록 구비된 2개의 장척의 부재가 힌지부의 탄성으로 다시 열리지 않도록 끈, 케이스 등과 같은 고정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힌지부로 결합된 2개의 장척의 부재의 각 끝단에 물체를 끼울수 있는 끼움부를 마련함으로써 특히 봉지 내의 식품 등을 넣고 빼낼 때에 끼움부에 식품을 끼워 사용할 수 있어 별도로 끼움 도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고안은 하기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도시한 다기능 봉지 밀폐구(10)는 본체부재(1), 끼움부(3a, 3b)와, 도 4에 도시한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서의 케이스(8)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본체부재(1)는 양단이 힌지부(4)로 결합된 2개의 장척의 부재(1a, 1b)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척의 부재(1a, 1b)는 직사각형 단면의판재로, 본체부재(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힌지부(4)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어 연재되어 있으며, 이때 장척의 부재(1a, 1b)와, 힌지부(4)의 양측은 소정의 각도만큼 개방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힌지부(4)는 장척의 부재 (1a, 1b)와 동일한 단면의 판재로서 거의 반원형상으로 구성되어 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즉, 힌지부(4)의 재료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하여 큰 외력을 장척의 부재(1a, 1b)에 가하여 장척의 부재들을 접도록 구비하면, 장척의 부재(1a, 1b) 및 끼움부(3a, 3b)가 합쳐질 수 있도록 접근하지만, 외력이 제거되면, 장척의 부재(1a, 1b)는 다시 힌지부(4)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개방됨으로써 서로 이격되어 연재하는 것이다.
상기 장척의 부재(1a, 1b)와 힌지부(4)의 결합부 부근에는 요부(5a, 5b)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요부(5a, 5b)는 장척의 부재(1a, 1b) 및 힌지부(4)의 강성을 높이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부(4)에는 비드(6)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비드(6)는 힌지부(4)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또한 본체부재(1)의 반복 개폐에 대한 힌지부(4)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2개의 장척의 부재(1a, 1b)의 직사각형 단면의 대향하는 장변면(長邊面)(1c, 1d)상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각단면의 리브(2a, 2b)가 장척의 부재(1a, 1b)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장변면(長邊面)(1c, 1d)에서 돌출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리브(2a, 2b)는 단이 상위하도록 마련되어 있어 장척의 부재(1a, 1b)를 접도록 구비하여도 양 리브(2a,2b)가 서로 접하지 않는 것이며, 리브(2a)와 리브(2b)의 사이에 봉지의 개구부가 끼워져 밀봉되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서 도시된 끼움부(3a, 3b)는 포크 형상의 끼움부(3a′, 3b′)외에도 끼워지는 물체의 형상이나 상태에 따라, 접시 형상, 주걱 형상, 손가락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장척의 부재(1a, 1b), 리브(2a, 2b), 힌지부(4), 요부(5a, 5b), 비드(6), 끼움부(3a, 3b)는 동일한 재료로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그 재료로서는 염화비닐, ABS,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수지, 알루미늄 등의 금속, 대나무 등의 목재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브(2a, 2b)는 미리 장척의 부재(la, lb)와 동일 또는 별도의 재료로 별체로서 성형하여, 장척의 부재(la, lb)의 장변면(長邊面)(lc, ld)상에 접착제로 결합하거나, 또는 미리 장변면(長邊面)(lc, ld) 상에 마련된 홈에 감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끼움부(3a, 3b)는 수지, 금속, 목재, 종이 등으로 별체로서 구성하여 장척의 부재(la, lb)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봉지 밀폐구(10)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봉지(20)를 밀봉하기 위해서는, 봉지(20)의 개구부 주위를 다기능 봉지 밀폐구(10)의 장척의 부재(1a, 1b)로 끼워, 힌지부(4)를 열려고 하는 탄성력 보다 큰 외력을 장척의 부재(1a, 1b)에 가함으로서 장척의 부재(1a, 1b)를 접도록 구비하고, 봉지의 개구부를 리브(2a)와 리브(2b)의 사이에 끼워 밀봉한다. 또한, 이러한 밀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에 구비된 끼움부(3a, 3b)를 도 4에서도시한 것과 같은 케이스(8)에 삽입함으로써 완전히 밀봉되어지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8)는 거의 직사각형의 6면체로서 하나의 면이 개방된 용기로 봉지(20)의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과 동시에, 끼움부(3a, 3b)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특히, 봉지(20) 속의 물체가 식품 등인 경우에는 끼움부(3a, 3b)는 청결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8)는 삽입된 끼움부(3a, 3b)에 다른 물체가 접촉하거나,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케이스(8)의 직사각형 6면체의 두개의 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면 끼움부를 한층 더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또 다른 개방된 면이 작은 구멍만을 구비하고 있어도 동일한 효과를 안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8)는 상기에 도시한 형상 이외에도 포크 형상, 접시 형상, 주걱 형상, 손가락 형상이 구비된 끼움부(3a, 3b)가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으며, 끼움부(3a, 3b)와 같이 수지, 금속, 목재, 종이 등의 재질로 성형되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적절한 밀봉력을 가지고, 봉지의 개구부를 밀봉할 수 있으며, 힌지부로 결합된 2개의 장척의 부재의 각 끝단에 물체를 끼울수 있는 끼움부를 마련함으로써 특히 봉지 중의 식품 등을 넣거나 빼낼 때 끼움부에 식품을 끼울 수 있어 별도로 끼움 도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제작단가 또한 저렴한 다기능 봉지 밀폐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안출한 것이다.

Claims (8)

  1. 봉지의 밀폐도구에 있어서,
    양단이 힌지부로 결합된 2개의 장척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힌지부로 결합된 2개의 장척의 부재 각 끝단이 서로 이격하여 연재되어지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의 상기 힌지부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면상에 봉지의 개구부를 끼어 밀봉하기 위한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리브;와,
    상기 힌지부로 결합된 2개의 장척의 부재 각 끝단에 마련되고 물체를 끼우기 위한 끼움부;와,
    상기 봉지의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봉지 밀폐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 상기 리브, 상기 끼움부가 동일재료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봉지 밀폐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가 탄성힌지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봉지 밀폐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본체부재가 상기 힌지부 중심으로 접히도록 마련되어지고, 대향하는 상기 면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단이 상위하게 형성되어지며, 양 리브 사이에 봉지의 개구부가 끼워지고 밀봉되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봉지 밀폐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본체부재가 상기 힌지부 중심으로 접히도록 마련되어지고, 대향하는 상기 면상에서 길이방향으로 단이 상위하게 형성되어지며, 양 리브 사이에 봉지의 개구부가 끼워지고 밀봉되도록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봉지 밀폐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은 접히도록 마련된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별체의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봉지 밀폐구.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은 접히도록 마련된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별체의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봉지 밀폐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은 접히도록 마련된 상기 끼움부가 삽입되는 별체의 케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봉지 밀폐구.
KR2020020006541U 2001-03-06 2002-03-06 다기능 봉지 밀폐구 KR20028767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1130U JP3080056U (ja) 2001-03-06 2001-03-06 挟み具付袋閉じ具
JPJP-U-2001-00001130 2001-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678Y1 true KR200287678Y1 (ko) 2002-09-05

Family

ID=43212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541U KR200287678Y1 (ko) 2001-03-06 2002-03-06 다기능 봉지 밀폐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80056U (ko)
KR (1) KR2002876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455B2 (en) 2015-06-12 2018-10-09 Rubetty Inc. Tongs for sealing opening of ba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1814B4 (de) * 2003-05-15 2007-03-01 Gea Niro Gmbh Kopplungselement sowie Andockeinrichtung enthaltend ein Kopplungselement
JP6155798B2 (ja) * 2013-04-23 2017-07-05 凸版印刷株式会社 詰替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455B2 (en) 2015-06-12 2018-10-09 Rubetty Inc. Tongs for sealing opening of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80056U (ja) 200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93438C1 (ru) Пластиковый зажим
USD500428S1 (en) Container cap
KR20010012102A (ko) 재밀폐 가능한 페이스너 조립체
CA2308729A1 (en) Adhesively secured snap closure for flexible packages and flexible packages including the same
USD527989S1 (en) Touch fastener element
EP0401085A1 (fr) Boîtier en particulier pour le logement d'appareils électriques à charnières intégrables
KR200287678Y1 (ko) 다기능 봉지 밀폐구
US20040182667A1 (en) Carrying handle of luggage
USD409800S (en) Mascara container
KR101883339B1 (ko) 봉지 개봉부 밀폐용 집게
JP5435203B2 (ja) 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
JP4446766B2 (ja) 開口サイズ切替袋
JP2000006997A (ja) ジッパー付き袋
JPH0435844Y2 (ko)
JP3761244B2 (ja) ワンタッチ開閉式包装用袋
JPH0212823B2 (ko)
JP3185125U (ja) プラスチックケース
KR200213679Y1 (ko) 식품포장용기의 체결구조
KR200296163Y1 (ko) 샌드위치 포장 케이스
US7225508B2 (en) Shut apparatus
JPH0120286Y2 (ko)
KR102065828B1 (ko) 화장실용 여닫이문의 패킹 제조방법
JPH0216706Y2 (ko)
JPH09315448A (ja) チューブ容器
JP2003104397A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