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950Y1 - 경량 방파제 구조 - Google Patents

경량 방파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950Y1
KR200286950Y1 KR2020020016710U KR20020016710U KR200286950Y1 KR 200286950 Y1 KR200286950 Y1 KR 200286950Y1 KR 2020020016710 U KR2020020016710 U KR 2020020016710U KR 20020016710 U KR20020016710 U KR 20020016710U KR 200286950 Y1 KR200286950 Y1 KR 200286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reakwater
concrete
rear wall
sof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2020020016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9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950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량 방파제 구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연약지반으로 되는 방파제 구축 위치에 최소한의 연약토만을 양질의 모래 또는 사석으로 치환하고 그 상면에 방파제의 제체를 설치하되 제체내부가 빈공간이 구비되게 하여 방파제체의 중량을 파격적으로 줄이는 방파제 구조로 하므로써 연약지반에서도 방파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량 방파제 구조 {The light weight breakwater structure}
본 고안은 방파제의 제체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해저저면이 연약지반으로 되어 있는 위치에 구축되는 방파제체 구조인 바, 연약지반을 최소한도만 처리하거나 연약지반처리를 하지 않고 연약지반 상부에 방파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방파제체의 자중을 최소화한 구조로써 종래 이러한 연약지반에 방파제를 구축하기 위하여서는 연약지반을 역삼각형태로 굴토하고 그 굴토된 공간에 양질의 모래 또는 사석으로 치환하여 기초지반을 튼튼하게 처리한 다음 이 치환된 기초지반 상면에 방파제를 구축하였다.
상기와 같이 종래 연약지반을 굴토하고 모래 또는 사석으로 치환하기 위하여 엄청난 량의 모래 또는 사석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장기간의 공기와 막대한 공사비가 투입되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경량 방파제의 일부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방파제체 2. 중공블럭 3. 연약지반
4. 모래 또는 사석 5. 공간부 6. 부력탱크
7. 수직전벽 8. 수직후벽 9. 해수통수공
10,11. 수직돌출간 16,16a. 요입원호 17. 캡콘크리트
18. 차단판 19. 차폐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인 많은 량의 모래 또는 사석의 사용이 필요 없고, 짧은 공기로 저렴한 공사비를 소요하면서도 연약지반에 견고한 방파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안출한 고안인 바,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방파제체(1)는 제체자체의 중량을 최대한 줄이고 상부 하중이 전달되는 하부기초의 폭을 보다 확대하여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므로써 연약지반을 별도처리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지반 처리만으로도 구축할 구 있도록 한 바,
먼저 하부구조를 설명하면 낮은 운두와 소정의 가로, 세로, 크기를 가진 중공블럭(2)을 연약지반(3)하로 일정깊이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매입하고 이 중공블럭(2)에 차있는 연약지반의 토사를 굴토하여 중공블럭(2) 내부에 공간부를 확보하여 이 공간부에 양질의 모래 또는 사석(4)을 채우고 이 모래 또는 사석(4)면 상면에 중공블럭(2)보다 폭이 다소 작은 폭을 가지고 소정 높이와 길이로 되며 내부가 빈 공간부(5)를 가지는 콘크리트재의 밀폐 상자형 부력탱크(6)를 재치하되 이 부력탱크(6) 상면 중도부에 부력탱크(6)폭보다 현저히 작은 폭으로 되는 수직전벽(7)과 수직후벽(8)을 일정한 거리로 이격하여 직립하고 이 수직전벽(7)과 수직후벽(8) 전면에 각각 소정직경의 해수통수공(9)을 천설하여 이러한 수직전벽(7)과 수직후벽(8) 중도부에 삼각지지벽(7a)(8a)을 일체로 연결되게 함과 아울러 수직전벽(7)과 수직후벽(8)의 해수통수공(9)과 통수공 사이면에 각각 반원형 수직돌출간(10)(11)을 돌출설치하며 이러한 수직전벽(7)과 수직후벽(8) 양측선단은 직각으로 암키(12)와 숫키(도시안 됨)가 각각 형성된 수직측벽(13)(14)을 연결하므로써 내부가 공간부로 되는 유수실(15)을 구비하고 이러한 유수실(15) 상단부에 전, 후 하측 모서리가 원호로 요입된 요입원호(16)(16a)가 형성된 소정두께의 캡콘크리트(17)를 콘크리트 타설하여 방파제 구축공사를 마무리하는 구조로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경량 방파제의 구조가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18)은 캡콘크리트(17)를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유수실(15)로 유입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차단판이고, (19)는 중공블럭(2)내부에 충전된 모래 또는 사석이 조류에 의하여 유실되지 못하도록 차폐하는 차폐판이다.
상기와 같이 연약지반에 필요한 크기면적을 가지는 중공블럭(2)을 침하시키고 이 중공블럭(2) 내부의 연약토를 양질의 모래 또는 사석(4)으로 치환하고 그 상면에 부력탱크(6)와 내부가 공간부인 유수실(15)을 가지는 구조물을 직립시키는 구조로 방파제체를 구성하므로써 방파제체의 중량이 매우 경량이고 방파제체의 중량이 넓은 면적에 균일하게 분산되므로 제체가 안정되면서 견고한 방파제를 구축할 수 있어 연약지반 상에서도 저렴한 공사비와 공기로 방파제를 구축할 수 있다.

Claims (1)

  1. 연약지반상에 구축되는 경량 방파제체(1)를 구축함에 있어서, 소정크기의 중공블럭(2)을 연약지반(3)에 침하시켜 내부의 연약토를 양질의 모래 또는 사석으로 치환하고 그 상면에 내부가 빈 공간부(5)를 가지는 콘크리트재의 밀폐 상자형 부력탱크(6)를 재치하되 이 부력탱크(6) 상면 중도부에 부력탱크(6)폭보다 현저히 작은 폭으로 되는 수직전벽(7)과 수직후벽(8)을 일정한 거리로 이격하여 직립하고 이 수직전벽(7)과 수직후벽(8) 전면에 각각 소정직경의 해수통수공(9)을 천설하여 이러한 수직전벽(7)과 수직후벽(8) 중도부에 삼각지지벽(7a)(8a)을 일체로 연결되게 함과 아울러 수직전벽(7)과 수직후벽(8)의 해수통수공(9)과 통수공 사이면에 각각 반원형 수직돌출간(10)(11)을 돌출설치하며 이러한 수직전벽(7)과 수직후벽(8) 양측선단은 직각으로 암키(12)와 숫키(도시안 됨)가 각각 형성된 수직측벽(13)(14)을 연결하므로써 내부가 공간부로 되는 유수실(15)을 구비하고 이러한 유수실(15) 상단부에 정, 후 하측 모서리가 원호로 요입된 요입원호(16)(16a)가 형성된 소정두께의 캡콘크리트(17)를 콘크리트 타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방파제 구조.
KR2020020016710U 2002-05-31 2002-05-31 경량 방파제 구조 KR200286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710U KR200286950Y1 (ko) 2002-05-31 2002-05-31 경량 방파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710U KR200286950Y1 (ko) 2002-05-31 2002-05-31 경량 방파제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473A Division KR100491115B1 (ko) 2002-05-31 2002-05-31 경량 방파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950Y1 true KR200286950Y1 (ko) 2002-08-24

Family

ID=7307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710U KR200286950Y1 (ko) 2002-05-31 2002-05-31 경량 방파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9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100B1 (ko) * 2003-09-06 2007-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핵 유기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100B1 (ko) * 2003-09-06 2007-05-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핵 유기금속 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9659A (en) Building blocks
KR100322868B1 (ko) 생태 안정화 블록
KR100491115B1 (ko) 경량 방파제 구조
KR101678127B1 (ko) 토목용 블록
KR200286950Y1 (ko) 경량 방파제 구조
KR200279944Y1 (ko) 소파기능을 가진 옹벽식 호안구조
CN110714478B (zh) 一种透水格栅型重力生态挡土墙结构
KR100654629B1 (ko) 지주근입식 이중벽체 구조를 이용한 식물식생 옹벽
KR20050054895A (ko) 레고형 옹벽블럭
CN209482347U (zh) 兼作人行道和排水沟的综合管廊管片
KR200389226Y1 (ko) 급수용 용기를 가지는 옹벽
KR200185859Y1 (ko) 생태 안정화 블록
KR100492078B1 (ko) 방파기능을 가지는 옹벽식 조립 호안구조
KR100586637B1 (ko) 깊은 수심에 적용이 용이한 방파제구조
CN212772202U (zh) 一种采用生态方法固岸的驳岸结构
CN216765746U (zh) 一种用于生境营造的生态石笼水体驳岸结构
CN108193705A (zh) 一种挡墙护坡一体化土工构筑物
CN211498940U (zh) 一种水利工程挡土墙排水结构
CN210288268U (zh) 一种河道边坡稳定景观墙
KR200300435Y1 (ko) 다층 직립식 방파제
CN210341794U (zh) 一种水利工程生态支护结构
KR100521903B1 (ko)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SU1511312A1 (ru)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е сооружение
KR200262769Y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호안
CN205636648U (zh) 挡土墙及其仿石弧面块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