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920Y1 - 캠스위치 - Google Patents

캠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920Y1
KR200286920Y1 KR2020020016111U KR20020016111U KR200286920Y1 KR 200286920 Y1 KR200286920 Y1 KR 200286920Y1 KR 2020020016111 U KR2020020016111 U KR 2020020016111U KR 20020016111 U KR20020016111 U KR 20020016111U KR 200286920 Y1 KR200286920 Y1 KR 200286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switch
cam
switch body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재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이원재
이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재, 이문재 filed Critical 이원재
Priority to KR2020020016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9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920Y1/ko

Link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전반 도어와 같은 피장착물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캠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캠축(12)과, 이 캠축(12)에 연동되어 회로단자들을 단속시키는 다수개의 캠이 내장된 스위치본체부(10)와, 상기 스위치본체부(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20)는 스위치본체부(10) 전면에 나사결합되는 베이스판(22)과, 상기 캠축(12)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판(22)에 수납되는 회전표시판(24)과, 상기 회전표시판(24)에 마킹된 표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시창(25)이 형성되어 회전표시판(24)을 커버하도록 베이스판(22)에 결합되는 커버판(26)으로 이루어진 캠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2)의 둘레부에는 결합홈(28)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 결합홈(28)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22)과 스위치본체부(1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커버판(26)의 결합공(28)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절취부(29)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본체부(10)와 베이스판(22)의 나사결합부(30)가 커버판(26)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스위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캠스위치{cam switch}
본 고안은 캠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 도어와 같은 피장착물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캠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축(12)과, 이 캠축(12)에 연동되어 작동되는 다수개의 캠이 내장된 스위치본체부(10)와, 상기 스위치본체부(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9)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표시부(9)는 스위치본체부(10) 전면에 나사결합되는 베이스판(8)과, 상기 캠축(12)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판(8)에 수납되며 그 상면에는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가 마킹된 회전표시판(7)과, 상면에 스위치의 작동상태가 상기 회전표시판(7)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시창(6)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8)에 결합되는 커버판(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캠스위치는 흔히, 각종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반의 도어(1)에 장착되어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자는 상기 커버판(5)의 투시창(6)을 통해 노출되는 회전표시판(7)의 표시를 보고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기기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9)의 베이스판(8) 둘레부에는 다수개의 결합공(4)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4)을 통해 베이스판(8)은 스위치본체부(10)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캠스위치를 배전반 도어(1) 등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스위치본체부(10)와 표시부(9)를 각각 도어(1)의 배면과 전면에 위치시키고 베이스판(8)을 스위치본체부(10)에 나사결합하여 캠스위치를 도어(1)에 장착한다.
그런데 종래의 캠스위치는 베이스판(8)과 스위치본체부(10)의 나사결합부(3)가 커버판(5)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캠스위치를 배전반 도어(1)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베이스판(8)과 스위치본체부(10)의 나사결합부(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커버판(5)을 베이스판(8)에서 분해한 다음, 다시 베이스판(8)을 스위치본체부(10)에서 분해하여 스위치를 도어(1)에서 떼내어야 하므로 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었다. 또한, 반대로 분리한 스위치를 새로운 위치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베이스판(8)을 스위치본체부(10)에 나사결합한 다음 다시 커버판(6)을 베이스판(8)에 나사결합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웠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커버판을 베이스판에서 분해하지 않고도 표시부를 스위치본체부에서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배전반 도어 등에 장착된 스위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반대로 장착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캠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캠스위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위치본체부 20. 표시부
22. 베이스판 24. 회전표시판
26. 커버판 29. 절취부
30. 나사결합부 40. 결합구
42. 탄성돌기
본 고안에 따르면, 캠축(12)과, 이 캠축(12)에 연동되어 회로단자들을 단속시키는 다수개의 캠이 내장된 스위치본체부(10)와, 상기 스위치본체부(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20)는 스위치본체부(10) 전면에 나사결합되는 베이스판(22)과, 상기 캠축(12)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판(22)에 수납되는 회전표시판(24)과, 상기 회전표시판(24)에 마킹된 표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시창(25)이 형성되어 회전표시판(24)을 커버하도록 베이스판(22)에 결합되는 커버판(26)으로 이루어진 캠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2)의 둘레부에는 결합홈(28)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 결합홈(28)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22)과 스위치본체부(1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커버판(26)의 결합공(28)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절취부(29)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본체부(10)와 베이스판(22)의 나사결합부(30)가 커버판(26)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스위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캠축(12)과, 이 캠축(12)에 연동되어 회로단자들을 단속시키는 다수개의 캠이 내장된 스위치본체부(10)와, 상기 스위치본체부(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20)는 스위치본체부(10) 전면에 나사결합되는 베이스판(22)과, 상기 캠축(12)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판(22)에 수납되는 회전표시판(24)과, 상기 회전표시판(24)에 마킹된 표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시창(25)이 형성되어 회전표시판(24)을 커버하도록 베이스판(22)에 결합되는 커버판(26)으로 이루어진 캠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2)의 둘레부에는 결합홈(28)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 결합홈(28)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22)과 스위치본체부(10)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스위치본체부(1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공(28)들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 안착홈(27)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판(26)은 이 안착홈(27)에 안착되어, 상기 스위치본체부(10)와 베이스판(22)의 나사결합부(30)가 커버판(26)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스위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판(22)과 커버판(26)에는 적어도 한쌍의 끼움공(31,3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31,32)에 끼움결합되는 탄성돌기(42)가 구비된 별도의 결합구(40)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판(26)은 상기 결합구(40)에 의해 베이스판(2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스위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도 4는 그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캠스위치는 캠축(12)과, 이 챔축(12)에 연동되어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들을 단속시키는 다수개의 캠이 내장된 스위치본체부(10)와, 상기 스위치본체부(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부(20)는 스위치본체부(10) 전면에 나사결합되는 베이스판(22)과, 상기 캠축(12)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판(22)에 수납되는 회전표시판(24)과, 상기 회전표시판(24)에 마킹된 표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시창(25)이 구비되어 회전표시판(24)을 커버하도록 베이스판(22)에 결합되는 커버판(2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표시판(24)의 상면은 상기 캠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고, 각 구획부에는 서로 다른 색상이 부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시창(2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표시판(24)의 색상을 보고 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여 기기의 작동상태를 파악하고, 캠축(12)에 연결된 손잡이(11)를 통해 스위치를 조작하여 기기의 작동상태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0)의 베이스판(22)은 사각판상으로 되어 각 모퉁이에는 스위치본체부(10)에 나사결합되는 결합공(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판(26)도 대략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커버판(6)의 상기 결합공(28)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공(28)이 커버판(26)에 의해 커버되지 않도록 절취된 절취부(30)가 형성되어, 이 절취부(30)에 의해 스위치본체부(10)와 베이스판(22)의 나사결합부(30)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판(26)을 베이스판(22)에서 분해하지 않아도 커버부(20)를 스위치본체(10)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전반의 도어(1)에 장착된 캠스위치를 도어(1)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베이스판(22)과스위치본체부(10)를 결합시키는 나사(31)만 풀면 스위치가 도어(1)에서 용이하게 분리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판(26)을 상기 베이스판(22)에 형성된 결합공(28)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영역(S)내에 위치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베이스판(22)의 결합공(28)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영역(S) 내에 안착홈(27)을 형성하고, 이 안착홈(27)에 커버판(26)이 안착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하면 커버판(26)에 절취부(29)를 형성하지 않아도 스위치본체부(10)와 베이스판(22)의 나사결합부(30)가 커버판(26)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상기 커버판(26)은 별도의 결합구(40)에 의해 베이스판(22)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구(40)는 중앙에 캠축(12)이 끼워지는 축공(41)이 형성된 링체(44)의 저면에 한쌍의 탄성돌기(42)가 구비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22)과 커버판(26)에는 상기 탄성돌기(42)가 끼워지는 한쌍의 끼움공(31,32)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판(26)은 이러한 결합구(40)에 의해 원터치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커버판(26)이 베이스판(22)이 나사결합되는 종래의 캠스위치와는 표시부(20) 차체의 조립과 분해도 용이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판을 베이스판에서 분해하지 않고도 표시부를 스위치본체부에서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배전반 도어 등에 장착된스위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반대로 장착도 용이하여 사용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성의 캠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캠축(12)과, 이 캠축(12)에 연동되어 회로단자들을 단속시키는 다수개의 캠이 내장된 스위치본체부(10)와, 상기 스위치본체부(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20)는 스위치본체부(10) 전면에 나사결합되는 베이스판(22)과, 상기 캠축(12)의 회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판(22)에 수납되는 회전표시판(24)과, 상기 회전표시판(24)에 마킹된 표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시창(25)이 형성되어 회전표시판(24)을 커버하도록 베이스판(22)에 결합되는 커버판(26)으로 이루어진 캠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2)의 둘레부에는 결합홈(28)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 결합홈(28)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22)과 스위치본체부(1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커버판(26)의 결합공(28)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절취부(29)가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본체부(10)와 베이스판(22)의 나사결합부(30)가 커버판(26)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스위치.
  2. 캠축(12)과, 이 캠축(12)에 연동되어 회로단자들을 단속시키는 다수개의 캠이 내장된 스위치본체부(10)와, 상기 스위치본체부(10)의 전면에 결합되어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부(20)는 스위치본체부(10) 전면에 나사결합되는 베이스판(22)과, 상기 캠축(12)의 회동에따라 회전되도록 상기 베이스판(22)에 수납되는 회전표시판(24)과, 상기 회전표시판(24)에 마킹된 표시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투시창(25)이 형성되어 회전표시판(24)을 커버하도록 베이스판(22)에 결합되는 커버판(26)으로 이루어진 캠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2)의 둘레부에는 결합홈(28)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 결합홈(28)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22)과 스위치본체부(10)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스위치본체부(1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공(28)들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영역 내부에 안착홈(27)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판(26)은 이 안착홈(27)에 안착되어, 상기 스위치본체부(10)와 베이스판(22)의 나사결합부(30)가 커버판(26)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22)과 커버판(26)에는 적어도 한쌍의 끼움공(31,3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공(31,32)에 끼움결합되는 탄성돌기(42)가 구비된 별도의 결합구(40)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판(26)은 상기 결합구(40)에 의해 베이스판(2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스위치.
KR2020020016111U 2002-05-27 2002-05-27 캠스위치 KR200286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11U KR200286920Y1 (ko) 2002-05-27 2002-05-27 캠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11U KR200286920Y1 (ko) 2002-05-27 2002-05-27 캠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920Y1 true KR200286920Y1 (ko) 2002-08-24

Family

ID=7312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111U KR200286920Y1 (ko) 2002-05-27 2002-05-27 캠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9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840B1 (ko) 2010-10-28 2012-05-03 고광훈 캠 스위치용 핸들부의 자동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840B1 (ko) 2010-10-28 2012-05-03 고광훈 캠 스위치용 핸들부의 자동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2012388A (es) Dispositivos electricos con armazones de accionador removibles.
CA3059183C (en) Switching and operating assembly of a switch
JP2019176027A (ja) Ledレンズの取付構造
KR200286920Y1 (ko) 캠스위치
JP2008500780A (ja) 監視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WO2018061110A1 (ja) ポンプ装置
JP3649637B2 (ja) 電子機器の照光構造
KR200226232Y1 (ko) 밸브개폐표시기가구비된리미트스위치박스
US20070185420A1 (en) Massage apparatus with a controller device
KR20030022908A (ko) 모드 일원화가 가능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KR200239240Y1 (ko) 선택 스위치
KR200408944Y1 (ko) 모우터 스타터
KR20030026859A (ko) 선풍기
JP3184559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用スイッチ装置
CN214505296U (zh) 一种手控器
CN211425638U (zh) 电子秤和称重系统
JPS631396Y2 (ko)
JPH0741060Y2 (ja) 初期設定用スイッチの取付構造
KR200168410Y1 (ko) 플러그 소켓
US6625089B2 (en) Setting structure of electronic timer
JP2004354791A (ja) 投影装置
JPH1031930A (ja) キートップの固定構造
JPH0330121Y2 (ko)
JPH0139373Y2 (ko)
JPH0845710A (ja) 操作用つまみ及びそ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