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131Y1 -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 - Google Patents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131Y1
KR200286131Y1 KR2020020016697U KR20020016697U KR200286131Y1 KR 200286131 Y1 KR200286131 Y1 KR 200286131Y1 KR 2020020016697 U KR2020020016697 U KR 2020020016697U KR 20020016697 U KR20020016697 U KR 20020016697U KR 200286131 Y1 KR200286131 Y1 KR 2002861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source device
present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우
Priority to KR2020020016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1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1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131Y1/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학계를 이용하여 평면액정브라운관(Liquid Crystal Display; LCD)이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 등과 같은 검사 대상물(이하, 본 고안에서는 피사체라 통칭한다)에 조명을 조사하여 피사체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광원장치에 구성되어 광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Iris Unit)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조명을 조사하여 피사체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광원장치에 구성되어 광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판형상의 몸체(50)를 구성하고 이의 중앙에는 빛이 투과되는 사각 모양의 투사공(51)이 형성되며 이 투사공(51)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개폐판(52)(53)을 양측으로 설치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피사체의 결함 등을 검사하도록하는 광원장치에서 광량의 크기를 조절하여 필요에 따라 조명의 선명도와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Iris Unit For Light Source}
본 고안은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Iris Uni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계를 이용하여 평면액정브라운관(Liquid Crystal Display; LCD)이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PDP),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 등과 같은 검사 대상물(이하, 본 고안에서는 피사체라 통칭한다)에 조명을 조사하여 피사체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광원장치에 구성되어 광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Iris Unit)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원장치는 반사경에 램프의 집광된 빛이 조사영역에서 일정한 균일성(Uniformity)을 얻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사되는 빛을 소정의 형상(예컨대, 사각형상)으로 구현하여 피사체에 조명이 조사되도록하는 장치인 것이다.
종래에는 주로 사각형상으로 된 파사체의 결함 등을 검사하기 위하여 램프로 부터 조사된 조명 빛을 프레날 렌즈(Fresnel Lens)를 통해 피사체에 투영시켜 피사체의 결함을 육안으로 검사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램프의 필라멘트에 의한 닥크 존(Dark Zone)이 피사체에 투영됨으로 피사체의 흠집이나 결점 등을 육안으로 검사할 시 정확한 검사가 곤란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광원장치는 광량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조명의 선명도와 균일성(Uniformity)을 확보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불편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한 균일성 (Uniformity)을 얻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사되는 빛을 소정의 형상(예컨대, 사각형상)으로 구현하여 피사체에 조명이 조사되도록하여 피사체의 결함 등을 검사하도록하는 광원장치에 구성하여 광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Iris Unit)를 제공한다.
도 1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이리스 유니트"에 대한 구성 및 작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투사공"이 차단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투사공"이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을 적용하여 사용되는 "광학장치"의 광학계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을 적용하여 사용되는 "광학장치"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몸체 51: 투사공
52: 제1 개폐판 53: 제2 개폐판
54: 제1 풀리 55: 제2 풀리
56: 제3 풀리 57: 제4 풀리
58: 축 59: 모터
60: 텐션조절용 풀리 61: 제1 벨트
62: 제2 벨트 63: 제3 벨트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된 도1 내지 도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투사공"이 차단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투사공"이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의 몸체(50)를 구성하고 이의 중앙에는 빛이 투과되는 사각 모양의 투사공(51)이 형성되며 이 투사공(51)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개폐판(52)(53)을 양측으로 설치 구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개폐판(52)(53)을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몸체(50)의 상하좌우의 코너부에 제1 내지 제4 풀리(54)(55)(56)(57)를 회전가능하게 축(58)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1 풀리(54)에는 모터(59)를 축설하며 상기 좌측의 상하에 설치된 제2 및 제3 풀리(55)(56) 간에는 텐션조절용 풀리(60)를 축설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 풀리(55)(56)는 2단의 풀리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제1 및 제2 풀리(54)(55) 간에는 제1 벨트(61)를, 제2 및 제3 풀리(55)(56) 간에는 제2 벨트(62)를, 제3 및 제4 풀리(56)(57) 간에는 제3 벨트(63)를 각각 연결한다.
상기 텐션조절용 풀리(60)는 상기 제2 벨트(62)와 당접되어 텐션을 조절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개폐판(52)(53)은 상하단에서 상기 제1 및 제3 벨트(61)(63)와 a, b, c, d부에서 고정된다.
위와 같이하여 아이리스 유니트(5a)가 구성된다.
상기 아이리스 유니트(5a)는 먼저 도1에서와 같이 투사공(51)을 차단한 상태에서 모터(59)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도2에서와 같이 모터(59)의 구동력에 의해 제1 내지 제3 벨트(61)(62)(63)와 제1 내지 제4 풀리(54)(55)(56)(57)의 회전에 의해 제1 및 제2 개폐판(52)(53)은 양측으로 이동되어 투사공(51)을 오픈시킨다.
반대로 모터(59)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에 오픈시킬 때의 역방향으로 작용되어 투사공(51)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투사공(5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상기 광량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아이리스 유니트(5a)는 도4 및 도5에서와 같이 광원장치에 구성되어 사용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에서 후방으로 발산되는 조명 빛을 전방으로 조사하는 반사경(1)을 구성하고, 이 반사경(1)내에는 램프(2)를 설치 구성하되 상기 램프(2)는 조명 빛을 평행으로 조사하는 포물경 램프로 구성한다.
상기 반사경(1)의 전방에는 제1 플라이 아이 렌즈(fly eye lens)(3)가 구성된다.
상기 제1 플라이 아이 렌즈(3)는 상기 램프(2)로부터 조사된 빛의 촛점을 다수개로 분산 및 사각 모양의 촛점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 플라이 아이 렌즈(3)의 전방에는 제2 플라이 아이 렌즈(4)를 구성한다.
제2 플라이 아이 렌즈(4)는 상기 제1 플라이 아이 렌즈(3)에서 다수개의 촛점으로 분산된 빛을 믹싱하고 다시 다수개의 촛점으로 분산하며 이들이 집합된 단일의 사각 모양으로 형성하여 전방으로 조사함으로써 조명의 균일성(Uniformity)을 확보한다.
상기 제2 플라이 아이 렌즈(4)의 전방에는 본 고안인 아이리스 유니트(5a)가 구성된다.
상기 아이리스 유니트(5a)의 전방에는 제1 콘덴싱 렌즈(condesing lens)(6)와 제2 콘덴싱 렌즈(condesing lens)(7)가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구성된다.
상기 제1 콘덴싱 렌즈(condesing lens)(6)는 다수개로 분산된 촛점을 단촛점으로 포커싱하고 또 제2 콘덴싱 렌즈(condesing lens)(7)와 연계하여 광폭을 조절한다.
상기 제2 콘덴싱 렌즈(condesing lens)(7)는 제1 콘덴싱 렌즈(condesing lens)(6)와 같이 다수개로 분산된 촛점을 단촛점으로 포커싱하고 또 제1 콘덴싱 렌즈(condesing lens)(6)와 연계하여 촛점의 선명도를 높여준다.
상기 제2 콘덴싱 렌즈(condesing lens)(7)의 전방에는 마스크(mask)(8)가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8)는 상기 제2 콘덴싱 렌즈(condesing lens)(7)로부터 조사되는 사각 모양의 촛점 영역 외측으로 나타나는 잔상을 제거한다.
상기 마스크(8)의 전방에는 칼라필터(color filter)(9)가 구성된다.
상기 칼라필터(color filter)(9)는 상기 마스크(8)로부터 통과하여 조사된 빛에서 특정 파장대의 빛을 통과사켜 전방으로 조사한다.
상기 칼라필터(9)의 전방에는 프로젝션 렌즈(projection lens)(10)가 구성된다.
상기 프로젝션 렌즈(projection lens)(10)는 상기 칼라필터(10)로부터 통과된 단촛점으로 모여진 사각 모양의 빛을 소정의 광폭으로 피사체에 조사시켜 피사체의 결함 등을 검사하게 된다.
위와 같은 광원장치에서 본 고안은 투사공(51)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 플라이 아이 렌즈(4)를 통해 다수개로 분산된 촛점의 양을 조절하여 광량의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필요에 따라 조명의 선명도와 균일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피사체의 결함 등을 검사하도록하는 광원장치에서 광량의 크기를 조절하여 필요에 따라 조명의 선명도와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조명을 조사하여 피사체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광원장치에 구성되어 광량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판형상의 몸체(50)를 구성하고 이의 중앙에는 빛이 투과되는 사각 모양의 투사공(51)이 형성되며 이 투사공(51)을 개폐하는 제1 및 제2 개폐판(52)(53)을 양측으로 설치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50)의 상하좌우의 코너부에 제1 내지 제4 풀리(54)(55)(56)(57)를 회전가능하게 축(58)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1 풀리(54)에는 모터(59)를 축설하며 상기 제2 및 제3 풀리(55)(56)는 2단의 풀리를 각각 구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풀리(54)(55) 간에는 제1 벨트(61)를, 제2 및 제3 풀리(55)(56) 간에는 제2 벨트(62)를, 제3 및 제4 풀리(56)(57) 간에는 제3 벨트(63)를 각각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제2 및 제3 풀리(55)(56) 간에는 텐션조절용 풀리(60)를 축설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
KR2020020016697U 2002-05-31 2002-05-31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 KR2002861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697U KR200286131Y1 (ko) 2002-05-31 2002-05-31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697U KR200286131Y1 (ko) 2002-05-31 2002-05-31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131Y1 true KR200286131Y1 (ko) 2002-08-22

Family

ID=7307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697U KR200286131Y1 (ko) 2002-05-31 2002-05-31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1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08098A (zh) 共焦拉曼光谱仪及其激光光路的处理方法
CN108737798A (zh) 投影系统及投影方法
US8192031B2 (en)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CN1300625C (zh) 投影机
US8727552B2 (en) Spotlight with diffuser
KR200286131Y1 (ko) 광원장치용 아이리스 유니트
US6850367B2 (en) Light exposure apparatus and light emitting device therefor
JP3831744B1 (ja) 基板検査用照明装置
KR100400455B1 (ko) 검사기판 조명장치
KR20050065706A (ko) 평판 디스플레이 검사장치
KR200286949Y1 (ko) 광원장치
JPH05232040A (ja) 外観検査用投光装置
CN210428025U (zh) 一种多光源背光模组和显像装置
KR100965418B1 (ko) 기판 결함 검출 장치
KR100673793B1 (ko) 평판 표시패널 검사장치용 광원유닛
KR200287375Y1 (ko) 광원장치용 콘덴싱 렌즈 유니트
KR200245662Y1 (ko) 광원장치
JP3253942B2 (ja) 外観検査用投光装置
KR20050044139A (ko) 액정표시장치 검사장비의 조명장치
JP3814015B2 (ja) 基板観測用照明装置
JP2004109127A (ja) Fpd用基板の欠陥検査装置
KR100934764B1 (ko) 기판 검사용 조명 장치
JPH05232032A (ja) 外観検査用投光装置
KR101282019B1 (ko) 기판 외관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JP2009092481A (ja) 外観検査用照明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