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791Y1 -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 Google Patents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791Y1
KR200285791Y1 KR2020020014132U KR20020014132U KR200285791Y1 KR 200285791 Y1 KR200285791 Y1 KR 200285791Y1 KR 2020020014132 U KR2020020014132 U KR 2020020014132U KR 20020014132 U KR20020014132 U KR 20020014132U KR 200285791 Y1 KR200285791 Y1 KR 200285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locking jaw
pin
present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식
Original Assignee
배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식 filed Critical 배정식
Priority to KR2020020014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791Y1/ko

Links

Landscapes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 재배시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고 토양의 유실과 수분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논이나 밭의 지면을 덮는 비닐을 고정시키기 위한 비닐 고정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빔 형태의 고정부와 2차의 걸림턱을 통하여 안정되고 견고하게 비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양측 내부에 하측으로 관통핀(3)이 형성된 누름판(2)과,
상기 누름판(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하측에 선단부(8)를 형성하고 1차 걸림턱(7)과 중앙에 1차 걸림턱(7) 보다 높게 2차 걸림턱(6)을 형성한 H형 고정부(5)로 이루어진 고정핀(1)으로 구성되어 변형되지 않고 견고하며 안정되게 비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a}
본 고안은 농작물 재배시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고 토양의 유실과 수분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논이나 밭의 지면을 덮는 비닐을 고정시키기 위한 비닐 고정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빔 형태의 고정부와 2차의 걸림턱을 통하여 안정되고 견고하게 비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고, 토양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며, 우천시 토양의 유실 방지 및 토양의 보온을 위하여 비닐을 지면에 덮어 이를 방지한다.
그리고 바람에 의한 비닐의 유동방지를 위하여 고랑사이에 흙을 덮거나 볏짚등을 비닐 위에 덮어서 비닐을 고정시키거나, 나무를 비닐 위에 놓거나 비닐에 꽂아서 지면에 고정시키며, 나무에 노끈 등으로 연결하여 비닐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비닐을 덮고 토양에 고정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작업을 하기 위한 인력의 소모가 많아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출원된 국내 공개특허공보 2001-66875호(2001. 7. 11. 공개)는 중앙에 하측으로 핀이 돌출되고 손잡이의 양측으로 비닐 압착부가 돌출되며 일측으로 간접핀이 형성되어 있어서 연속해서 연결하며 비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닐 고정핀은 연속해서 연결시켜 가면서 고정시켜야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선출원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19436호(2000. 7. 7. 출원)는 십자형태의 가이드리브에 플랜지가 상,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측에 헤드부를 형성하고 가이드리브의 중간에 저지턱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닐 고정핀은 열십자형의 가이드리브가 쉽게 부러지므로 재사용이 어려웠으며, 원형의 보스는 비닐을 관통하고 고정시키는 작용이 매우 어려워 비닐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없는 결점이 있고, 포스트에 조립된 플랜지가 쉽게 이탈되어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사용할 수 없게되는 결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H형 빔의 형태로 성형하여 쉽게 부러지지 않고 견고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H형 고정부의 하측과 중앙에 크기가 다른 걸림턱을 형성하여 지면에 고정된 후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양측 내부에 하측으로 관통핀이 형성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하측에 선단부를 형성하고 1차 걸림턱 중앙에 1차 걸림턱 보다 높게 2차 걸림턱을 형성한 H형 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부분을 단면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핀 2 ; 누름판
3 : 관통핀 4 : 손잡이
5 : H형 고정부 6 : 2차 걸림턱
7 : 1차 걸림턱 8 : 선단부
본 고안은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 누름판(2)이 형성되어 있으며, 누름판(2)의 하측으로 양측에 관통핀(3)을 돌출시켜 비닐(9)을 뚫고 고정되도록 한다.
누름판(2)의 상측 중앙에는 손잡이(4)가 형성되어 있어서 손가락을 끼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누름판(2)의 하측 중앙에는 H자 형태의 H형 고정부(5)가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선단면에서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지면(10)을 쉽게 들어가도록 날카로운 형태의 선단부(8)를 형성한다.
H형 고정부(5)의 하측에는 1차 걸림턱(7)을 약간 돌출시키고, 중앙부분에는 1차 걸림턱(7) 보다 더 높게 돌출되는 2차 걸림턱(6)이 형성되는 고정핀(1)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지면(10) 위에 비닐(9)을 덮고 비닐(9)의 양측 선단면에서 손잡이(4)를 잡아 선단부(8)를 지면(10)에 대고 누른다.
그러면 선단부(8)의 날카로운 면에 의하여 비닐(9)을 관통하여 지면(10)에 박히게 되며, H형 고정부(5)가 지면(10)에 완전히 박히도록 누른다.
H형 고정부(5)가 지면(10)에 완전히 박히게 되면 누름판(2)이 비닐(9)을 도 2 와 같이 누르게 되면서 양측의 관통핀(3)이 비닐(9)을 관통하여 지면(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H형 고정부(5)는 H빔과 같은 형태를 갖도록 하여 지면에 박힌 후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쉽게 부러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H형 고정부(5)의 하측에 형성된 1차 걸림턱(7)은 지면(10)에서 바람으로 인하여 비닐(9)이 날아가려고 할 때 누름판(2)이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2차 걸림턱(6) 역시 1차 걸림턱(7)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2차 걸림턱(6)은 1차 걸림턱(7)보다 더 높게 돌출되어 있어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며, 이중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비닐(9)을 모두 사용하여 비닐(9)을 걷어 내거나 고정핀(1)을 뽑아내는 경우에는 손잡이(4)에 손가락을 집어넣고 상측으로 당기면 H형 고정부(5)가 지면(10)에서 분리되므로 세척하여 재사용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고정부를 H형으로 형성하여 사용중이나 보관중에 변형이나 불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걸림턱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지면에 박힌 후에는 잘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켜 비닐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부와 누름판 등 고정핀이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므로 한번에 성형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Claims (1)

  1. 지면(10)위에 설치되는 비닐(9)을 고정시키는 고정핀에 있어서, 양측 내부에 하측으로 관통핀(3)이 형성된 누름판(2)과, 상기 누름판(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하측에 선단부(8)를 형성하고 1차 걸림턱(7)과 중앙에 1차 걸림턱(7) 보다 높게 2차 걸림턱(6)을 형성한 H형 고정부(5)로 이루어진 고정핀(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KR2020020014132U 2002-05-08 2002-05-08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KR200285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132U KR200285791Y1 (ko) 2002-05-08 2002-05-08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132U KR200285791Y1 (ko) 2002-05-08 2002-05-08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791Y1 true KR200285791Y1 (ko) 2002-08-14

Family

ID=7312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132U KR200285791Y1 (ko) 2002-05-08 2002-05-08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7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46979A (en) Self-cleaning golf-shoe cleat
USD486539S1 (en) Golf club head with square grid faceplate groove pattern
USD532855S1 (en) Portion of a golf club head
CA2493568A1 (en) Shoe cleat with improved traction
USD602544S1 (en) Golf club head
KR200444550Y1 (ko)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KR200285791Y1 (ko)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US6726184B2 (en) Fence made of foaming agent
KR200398294Y1 (ko) 멀칭 필름 고정용 핀
KR200348015Y1 (ko) 농작물용 비닐 고정핀
KR101498511B1 (ko) 비닐하우스 고정을 위한 멀칭핀용 헤드
KR200252098Y1 (ko) 멀칭지 고정구
USD503527S1 (en) Portion of a shoe upper
KR200375788Y1 (ko) 걸레받이
KR200285814Y1 (ko) 멀칭필름 고정핀
KR200207811Y1 (ko) 비닐 고정핀
JP2011223880A (ja) 農園芸用シート止着具
JP2007082522A (ja) 農業用マルチシートの押さえピン
KR200241426Y1 (ko) 농작물 재배용 덮개
JPS5843492Y2 (ja) ハンドルのホ−ンパツトの装飾体の取付装置
KR200430024Y1 (ko) 농업용 부직포 고정구
CN208540652U (zh) 一种拔草装置
JP4064560B2 (ja) 床材の端仕舞構造及び端仕舞部材
KR200289657Y1 (ko) 표고버섯 탈취기
JP4781340B2 (ja) 育苗用保護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