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764Y1 - 용기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764Y1
KR200285764Y1 KR2020020013504U KR20020013504U KR200285764Y1 KR 200285764 Y1 KR200285764 Y1 KR 200285764Y1 KR 2020020013504 U KR2020020013504 U KR 2020020013504U KR 20020013504 U KR20020013504 U KR 20020013504U KR 200285764 Y1 KR200285764 Y1 KR 200285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fastened
clamp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현배
Original Assignee
맹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현배 filed Critical 맹현배
Priority to KR2020020013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7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764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의 몸체와 뚜껑을 체결하는데 있어 잠금장치의 제공함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용기몸체(20)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공(21)(22)의 걸림턱에 뚜껑(10)양단에 형성된 좌측의 후크부(11)와 우측의 크램프부(12)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1차로 몸체관통공(21)에 뚜껑 후크부(11)를 삽입시킨후 2차로 몸체관통공(22)에 뚜껑 우측의 크램프부(12)를 간단히 밀어 닫는 체결구조로
열때는 크램프부(12)의 여닫이레버(12b)를 안쪽으로 끌어당기면 열리는 구조로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몸체는 프라스틱 혹은 스틸로 뚜껑은 프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용기의 잠금장치{Clamp of Container(Vessel)}
본 고안은 용기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용기의 몸체와 프라스틱 뚜껑을 체결하는데 있어 원터치로 여닫이 할 수 있는 장치로 체결시는 뚜껑을 간단히 밀어닫고 오픈시는 뚜껑의 오픈레버를 끌어당기면 열리는 편리한 고안 구조다.
종래 용기의 잠금장치는 몸체에 부착된 2∼4개의 크램프에 의하여 사용되어 왔으며 크램프를 작동하기 위하여서는 각각이 걸어주고 밑으로 밀거나 위로 끌어당겨주어 체결하였다.
예를 들어 김치통,찬기,도시락등의 경우 몸체 혹은 뚜껑에 부착된 2∼4개의 잠금고리(글램프)를 하나씩 뚜껑 혹은 몸체에 걸어준 다음 개별적으로 체결토록 되어있어 사용시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덜렁거리는 잠금고리로 인하여 사용 혹은 세척시 매우 불편하였고 몸체가 독립된 하나의 그릇(접시,용기)으로서의 불완전하였고 뚜껑여닫이가 완벽한 원터치 체결구조는 없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몸체에 부착된 잠금장치를 뚜껑쪽에 두었으며 두 개의 크램프 대신 한쪽을 후크형태로 활용하고 다른 한쪽은 프라스틱의 특징인 탄성을 활용하여 크램프부를 형성시켜 여닫이시 원터치기능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 몸체손잡이(21)(22)의 양단에 좌,우 구분이 없는 관통공(21a)(22a)을 두고,
뚜껑에서 연장된 꺽쇠 형태의 후크부(11)를 몸체관통공(21a)의 하나(도면상 좌측)에 걸수있게 하였으며, 또다른(도면상 우측) 몸체관통공(22a)은 걸림턱과 여닫이 오픈레버가 형성된 뚜껑의 크램프부(12)와 체결토록하여 뚜껑을 누르면 닫히고 여닫이 오픈레버를 안쪽으로 당기면 열리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였다.
뚜껑의 크램프부(12)는 오픈레버(12b) 작동시 프라스틱의 단점인 깨짐을 방지하고 지속적으로 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부러진 ∪(영문알파벳)자 형태의 구조를 채택하여 열기 위해 오픈레버(12b)를 당길시 한계 이상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로 몸체(20)에 뚜껑(10)이 체결되기 이전상태이며 밀폐용 패킹(30)이 뚜껑(10)에 삽입되기 이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의 단면도로,
도2a는 닫거나 열고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b는 완전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작동상태를 나태내는 단면도로,
도3a는 체결상태에서의 후크부이고,
도3b는 열거나 닫히고있는 상태에서의 후크부이다,
도3c는 열기위해 뚜껑후크부가 몸체 관통공에서 이탈된 상태,
도3d는 뚜껑이 몸체에 체결되기 바로 이전의 크램프부 상태,
도3e는 몸체와 뚜껑이 완전 체결되었을 때 크램프부 상태,
도3f는 뚜껑오픈시 오픈레버(12b)를 안쪽으로 끌어 당겼을때의 상태
도3g는 뚜껑 오픈시 몸체 관통공에서 뚜껑을 이탈시겼을때의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몸체(20)와 뚜껑(10)이 체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뚜껑
11 : 뚜껑 후크부
11a : 후크부 걸림턱
12 : 뚜껑 크램프부
12a : 크램프부 걸림턱
12b : 뚜껑 여닫이용 오픈레버
20 : 몸체
21 : 몸체핸들 후크부
21a : 뚜껑 후크부 관통공(뚜껑체결시 후크부 삽입)
22 : 몸체핸들 크램프부
22a : 크램프부 관통공(뚜껑체결시 크램프부 삽입)
30 : 밀폐 및 완충용 패킹(뚜껑 측면 테두리 홈에 삽입하여 고정)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도 1은 1차 완충용패킹(30)을 뚜껑(10) 측면의 테두리홈에 삽입하여 고정시킨후 몸체(20)에 체결하기 이전상태의 분해 사시도로 상기 도면중 뚜껑(10)은 후크부(11)와 크램프부(12)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크부(11)는 뚜껑에서 연장된 돌출부로 꺽임쇠(11a)를 형성하여 몸체관통공(21a)에 삽입되어 관통공 측면하단에 걸리게 된다.
크램프부는 뚜껑측면을 연장시켜 크램프부착부(12)를 구성하였으며
오픈레버(12b) 작동시 깨짐방지와 탄성유지 목적으로 구부러진 ∪(영문알파벳)자 형태의 구조를 채택하여 중간 외곽면에 경사진 걸림턱(12a)을 형성시켜 밀어 잠금시 관통공(22a)을 쉽게 통과하여 체결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체결 이후는 관통공에서 이탈되지 않아 체결상태를 유지될수 있도록 하였다.
몸체(20)는 일체형으로 양쪽에 손잡이를 구성한후 손잡이(21)(22)중앙부에 관통공(21a,22b)을 형성하여 체결시 뚜껑 후크부걸림턱(11a)이 관통공(21a)에 걸리고 크램프부(12)가 삽입되었을 때 크램프부 걸림턱(12a)이 관통공(22a)에서 이탈되지않아 체결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본고안은 첨부도면 도4와 같이 체결하기 위하여서는 몸체(20)가 놓여진 상태에서 뚜껑(10)를 도2a(도3b,도3d-동일)와 같이 비스틈이 기울여 몸체 관통공(21a)에 삽입한 상태에서 크램프부(12)를 가볍게 밀어넣으면 체결(도2b)된다.
뚜껑을 열때는 뚜껑여닫이 오픈레버(12b)를 안쪽(도3f)방향으로 당긴후 뚜껑 크램프부를 위로 들어올려(도3g) 비스틈히 기울어진 상태에서 열면된다.
종래의 잠금장치는 몸체에 크램프가 몇 개가 부착되어있고 구조가 복잡해서 제작 및 사용시 매우 번거럽고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몸체가 독립된 용기로서의 기능이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이를 개선한 본 고안은 독립된 용기로서도 손색이 없을뿐더러 별도의 잠금장치를 장착하지 않고 뚜껑에서 연장시킨 일체형으로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원터치로 여닫을 수 있는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용기의 잠금장치 구조에 있어서,
    용기 몸체(20)의 손잡이(21,22) 혹은 윗면 전(입구 평탄면)에 관통공(21,22)을 형성시키고,
    프라스틱 재질의 용기뚜껑이 한쪽면은 후크부(11)가 형성되어 몸체관통공(21)에 삽입하여 걸림이 가능토록 꺽임(11a)이 있고,
    뚜껑의 다른 한쪽면은 걸림턱(12a)과 여닫이 오픈레버가(12b)가 있는 클램프부(12)가 형성되어
    몸체(20)에 뚜껑(10)을 올려놓고 간단히 밀면 체결되고 여닫이레버(11b)를 당기면 열 수 있는 용기 잠금장치의 체결구조.
KR2020020013504U 2002-05-02 2002-05-02 용기의 잠금장치 KR200285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04U KR200285764Y1 (ko) 2002-05-02 2002-05-02 용기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504U KR200285764Y1 (ko) 2002-05-02 2002-05-02 용기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764Y1 true KR200285764Y1 (ko) 2002-08-14

Family

ID=7312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504U KR200285764Y1 (ko) 2002-05-02 2002-05-02 용기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7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3895B2 (en) Storage container with clip
US6050441A (en) Sealing container
KR200285764Y1 (ko) 용기의 잠금장치
US20050039505A1 (en) Tool for turning keys
JP4056723B2 (ja) 補助蓋付き安全キャップ
JP2005132454A (ja) 液体収納容器
KR20090006184U (ko) 매립형 손잡이
KR200269583Y1 (ko) 용기의 잠금장치
KR200349406Y1 (ko) 탄성 버클
KR200269582Y1 (ko) 용기의 잠금장치
KR200397897Y1 (ko) 커튼봉 고정구
CN210583141U (zh) 一种便于开合的奶瓶
KR200365929Y1 (ko) 밀폐 저장 용기 뚜껑 및 몸체의 원터치 체결 구조
KR200396189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JP2006306429A (ja) 収容ケース
KR101183798B1 (ko) 밀폐용기
KR101030706B1 (ko) 음식물용기
KR101927197B1 (ko) 밀폐용기의 잠금장치
KR200443702Y1 (ko) 이중 잠금식 밀폐 용기
KR200489121Y1 (ko) 식품 보관 용기
KR200311106Y1 (ko) 체결고리를 겸한 상자 손잡이
KR200304840Y1 (ko) 밀폐용기용 뚜껑
JP5822367B1 (ja) 複数調味料容器
KR200269073Y1 (ko) 압력의 변화에 작용하는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KR200240444Y1 (ko) 다용도 오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