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156Y1 - 벤츄리 인젝터 - Google Patents

벤츄리 인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156Y1
KR200285156Y1 KR2020020008113U KR20020008113U KR200285156Y1 KR 200285156 Y1 KR200285156 Y1 KR 200285156Y1 KR 2020020008113 U KR2020020008113 U KR 2020020008113U KR 20020008113 U KR20020008113 U KR 20020008113U KR 200285156 Y1 KR200285156 Y1 KR 200285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inlet
injector body
injector
flui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삼봉
Original Assignee
민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삼봉 filed Critical 민삼봉
Priority to KR2020020008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15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양단이 개방되어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사이에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보다 협소한 직경을 가지고 형성된 축경부를 갖는 관상의 인젝터본체를 구비한 벤츄리 인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축경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인젝터본체의 측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인젝터본체 내로 소정의 작업유체를 공급하는 작업유체공급부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흐름이 상기 작업유체공급부와 이격되어 상기 인젝터본체 내의 중앙영역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유체공급부에 인접한 상기 축경부 영역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작업유체공급부를 통해 인젝터본체 내로 작업유체를 더욱 강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입구 쪽에서 유출구를 향해 미는 압력(수압)이 비교적 높지 않더라도 작업유체공급부를 통해 인젝터본체 내로 작업유체의 유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벤츄리 인젝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벤츄리 인젝터{Venturi injector}
본 고안은, 벤츄리 인젝터에 관한 것이다.
벤츄리 인젝터란 축소확대노즐의 형태로 한 유체를 통과시키면서 다른 유체를 혼합시키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이하, "작업유체"라 함)을 수돗물(이하, "유체"라 함)과 혼합하고자 할 경우, 벤츄리 인젝터를 사용한다.
종래의 벤츄리 인젝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의 인젝터본체(110)와, 인젝터본체(110)의 측부에 관통형성되어 인젝터본체(110) 내로 소정의 작업유체를 공급하는 작업유체공급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인젝터본체(110)의 양단에는 유체의 유입구(112) 및 유출구(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구(112) 및 유출구(113) 사이에는 축경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유체공급부(120)는 그 일단이 인젝터본체(110)의 외측과 연통되고 타단이 축경부(114)의 내측과 연통되어 있다. 이 때, 축경부(114)를 형성하는 그 구간(114a부터 114b 까지)은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입구(112)를 통해 인젝터 본체(110)내로 유체가 유입되면 직경차에 의해 유속은 축경부(114)를 통과하면서 빨라진다. 이처럼 유체의 유속이 빨라질 경우, 유속이 빨라진 유체는 직경이 점점 넓어지는 구간을 통과할 때, 빨라진 속도와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려는 상태를 취하게 되며, 이 때에 진공상태를 향한 저압상태가 이루어지고 그 진공상태와 같은 저압은 무엇으론가 채워져야만 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 이에, 이 영역에 작업유체공급부(120)를 형성하여 작업유체가 인젝터본체(110) 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벤츄리 인젝터에 있어서 축경부(114)의 내벽을 따라 흐르는 유체는 아직 그 유속의 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여서 관의 외곽으로 퍼지려하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유속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유출구(113) 쪽을 향해 유체를 직선으로 인도하는 축경부(114)가 반드시 필요하며, 축경부(114)의 길이 역시 비교적 긴 상태를 취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벤츄리 인젝터는 축경부(114)의 길이가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참조번호 114a 부터 114b 까지의 길이)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축경부(114)를 통과하면서 그 유속과 유압이 저감되고, 이로 인해 유압과 유속이 저하된 만큼 인젝터본체(110) 내로 작업유체공급부(120)를 유입시키려는 힘이 저하된다. 더욱이, 유입구(112) 쪽에서 미는 유체의 압력(수압)이 비교적 높지 않을 경우에는 인젝터본체(110) 내로 작업유체를 유입시키는 힘이 거의 상실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유체공급부를 통해 인젝터본체 내로 작업유체를 더욱 강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입구 쪽에서 유출구를 향해 미는 압력(수압)이 비교적 높지 않더라도 작업유체공급부를 통해 인젝터본체 내로 작업유체의 유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벤츄리 인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벤츄리 인젝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벤츄리 인젝터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젝터본체 12 : 유입구
13 : 유출구 14 : 축경부
26 : 걸림턱 20 : 작업유체공급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양단이 개방되어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사이에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보다 협소한 직경을 가지고 형성된 축경부를 갖는 관상의 인젝터본체를 구비한 벤츄리 인젝터에 있어서, 상기 축경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인젝터본체의 측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인젝터본체 내로 소정의 작업유체를 공급하는 작업유체공급부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흐름이 상기 작업유체공급부와 이격되어 상기 인젝터본체 내의 중앙영역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유체공급부에 인접한 상기 축경부 영역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 인젝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유입구를 향한 상기 작업유체공급부의 전방에거의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벤츄리 인젝터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벤츄리 인젝터는 종래의 인젝터와 마찬가지로, 관상의 인젝터본체(10)와, 인젝터본체(10)의 측부에 관통형성되어 인젝터본체(10) 내로 소정의 작업유체를 공급하는 작업유체공급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작업유체공급부(20)는 그 일단(20a)이 인젝터본체(10)의 외측과 연통되고 타단(20b)이 후술할 축경부(14)의 내측과 연통되어 있다.
인젝터본체(10)의 양단에는 유체의 유입구(12) 및 유출구(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구(12) 및 유출구(13) 사이에는 유입구(12) 및 유출구(13)보다 협소한 직경을 갖는 축경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축경부(14)는 유입구(12)로부터 점진적으로 직경이 감소된 후, 다시 유출구(13)를 향해 직경이 증가되는 형태로 마련되며, 종래의 축경부(도 2의 참조번호 114)의 구간에 비해 좁게 형성된다.
축경부(14)에는 인젝터본체(10)의 내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16)은 유입구(12)를 향한 작업유체공급부(20)의 전방에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턱(16)은 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흐름이 축경부(14) 영역에서 작업유체공급부(20)의 타단(20b)과는 이격되는 위치(인젝터본체(10)의 중앙영역)로 가변되도록 한다.
즉, 유입구(12)를 통해 인젝터본체(10) 내의 경사면(10a)을 따라 흐르는 유체는 수직으로 된 걸림턱(16)에 의해 그 흐름이 가변되어 인젝터본체(10)의 중앙영역을 따라 흐르게 된다. 그러면, 작업유체공급부(20)의 타단(20b)에 인접한 영역에서는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고 거의 진공 상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걸림턱(16)으로 인해 종래와 같이 축경부(14)의 구간을 길게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걸림턱(16)을 지나 바로 근접한 곳에 작업유체가 유입되는 작업유체공급부(20)의 타단(20b)을 마련하더라도 걸림턱(16)의 역할로 인해 작업유체공급부(20)의 타단(20b)이 있는 관의 외곽으로 유체가 퍼지려하지 않으므로 작업유체는 작업유체공급부(20)의 타단(20b)을 통해 인젝터본체(10) 내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작업유체공급부(20)의 타단(20b)의 위치는 축경부(14)의 근접한 곳에 두되 유체가 걸림턱(16)에 부딪혀 곡선을 그리며 돌아가는 부분으로 걸림턱(16)에 매우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젝터본체(10)의 내부는 걸림턱(20)에 근접하여 축경부(14)에 위치한 작업 유체공급부(20)의 타단(20b)을 지나자마자 직경이 점점 넓어지게 구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인젝터는 종래의 인젝터처럼 축경부의 구간(도 2의 참조번호 114a 부터 114b 까지의 길이)을 길게 구성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축경부(14)의 구간이 짧으므로 축경부(14)의 전단에서 발생된 유속이 감소됨 없이 직경이 점점 넓어지는 구간을 지나며, 이 때 작업유체공급부(20)의 타단(20b)이 있는 축경부(14)에 진공상태와 같은 저압의 상태가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작업유체가 용이하게 유입(흡입)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인젝터는 예를 들어, 유입구(12) 측으로부터의 수압이 높지 않아 예를 들어, 0.5㎏f/㎠ 보다 낮은 수압이 작용하더라도 작업유체공급부(20)를 통해 인젝터본체(10) 내로 작업유체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인젝터본체(10) 내의 축경부(14) 영역에 걸림턱(16)을 마련함으로써, 작업유체공급부(20)를 통해 인젝터본체(10) 내로 작업유체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해 축경부의 구간을 길게 유지하지 않더라도 작업유체를 용이하게 인젝터본체(10)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유체공급부를 통해 인젝터본체 내로 작업유체를 더욱 강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입구 쪽에서 유출구를 향해 미는 압력(수압)이 비교적 높지 않더라도 작업유체공급부를 통해 인젝터본체 내로 작업유체의 유입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벤츄리 인젝터가 제공된다.

Claims (2)

  1. 양단이 개방되어 유체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 사이에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보다 협소한 직경을 가지고 형성된 축경부를 갖는 관상의 인젝터본체를 구비한 벤츄리 인젝터에 있어서,
    상기 축경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인젝터본체의 측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인젝터본체 내로 소정의 작업유체를 공급하는 작업유체공급부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의 흐름이 상기 작업유체공급부와 이격되어 상기 인젝터본체 내의 중앙영역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유체공급부에 인접한 상기 축경부 영역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 인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유입구를 향한 상기 작업유체공급부의 전방에 거의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츄리 인젝터.
KR2020020008113U 2002-03-19 2002-03-19 벤츄리 인젝터 KR200285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113U KR200285156Y1 (ko) 2002-03-19 2002-03-19 벤츄리 인젝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113U KR200285156Y1 (ko) 2002-03-19 2002-03-19 벤츄리 인젝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189A Division KR100354502B1 (ko) 1999-07-19 1999-07-19 낮은 수압에서도 흡인력이 강한 인젝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156Y1 true KR200285156Y1 (ko) 2002-08-13

Family

ID=73119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113U KR200285156Y1 (ko) 2002-03-19 2002-03-19 벤츄리 인젝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1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2623B2 (en) 2019-12-06 2023-05-09 Sung Kwang ENF Co. Ltd. Ammonia gas removal system using CO2 ultrafine bub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2623B2 (en) 2019-12-06 2023-05-09 Sung Kwang ENF Co. Ltd. Ammonia gas removal system using CO2 ultrafine bub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91048A (zh) 用于控制烃的生产的系统和方法
US4810170A (en) Jet pump
EP1528347A3 (en) End cap with an integral flow diverter
JPH08266939A (ja) ヘッダ装置
MX2007008466A (es) Metodo y dispositivo venturi de vacio.
KR200285156Y1 (ko) 벤츄리 인젝터
JP2002126485A (ja) オゾン発生装置、ならびにその付属装置である同軸型ガス−流体混合管、空冷式オゾン生成管、および液体加圧式ガス−液体混合装置
DK155872B (da) Automatisk sugeoverfoeringsventil
MY129477A (en) Injection quill for water treatment
KR100354502B1 (ko) 낮은 수압에서도 흡인력이 강한 인젝터.
JP6350908B2 (ja) 薬液注入管及び薬液注入工法
CA2600534A1 (en) Arrangement for the cleaning of a pipe separator
JP2002058976A (ja) エジェクタ
JP2006177240A (ja) 自吸式渦巻ポンプ装置
CN212915215U (zh) 高效液体喷射混合装置
KR200266540Y1 (ko) 상수압을 이용한 기체 흡입 및 수중 혼합 장치를 구비한샤워헤드
KR200212685Y1 (ko) 유체의 출력증강장치
JPS628000A (ja) ジエツトポンプ
CN220414425U (zh) 三通管、发泡装置及坐便器
NO20010698L (no) Anordning for Õ endre egenskapene av en væske
KR101334162B1 (ko) 공기 주입기 및 이를 갖춘 나노기포 발생장치
KR100365812B1 (ko) 유체 혼합 장치
KR200255202Y1 (ko) 기액접촉식 공기공급장치
RU2200342C2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регулятор расхода жидкости
JP2006342961A (ja) 配管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