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079Y1 - 옥외 통신 케이블 지지용 클램핑 기구 - Google Patents

옥외 통신 케이블 지지용 클램핑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079Y1
KR200285079Y1 KR2020020014871U KR20020014871U KR200285079Y1 KR 200285079 Y1 KR200285079 Y1 KR 200285079Y1 KR 2020020014871 U KR2020020014871 U KR 2020020014871U KR 20020014871 U KR20020014871 U KR 20020014871U KR 200285079 Y1 KR200285079 Y1 KR 200285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ne
clamping mechanism
cable
suppor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길
Original Assignee
이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길 filed Critical 이명길
Priority to KR2020020014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079Y1/ko

Links

Abstract

옥외용의 고속 데이터 전송용 통신 케이블에 있어서, 지지선 외장형 케이블의 지지선(20)을 전주에 연결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200)를 개시한다. 이러한 클램핑 기구(200)는 외부 부착 목적물 연결될 수 있도록 전방에 형성된 걸고리부(112)와, 지지선(20)이 유도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124)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부(124)를 통과한 지지선(10)이 굽어지면서 걸려질 수 있도록 측방에 형성된 지지선 걸림돌기부(222)를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신속하고 용이한 통신 케이블의 지지선 클램핑 작업이 가능하며, 그 작업 시간도 단축되고 작업의 안전성도 확보되며, 판상의 단일체로서 양산 가능하고 제조 원가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옥외 통신 케이블 지지용 클램핑 기구{Clamping device for supporting a communication cable}
본 고안은 옥외용의 고속 데이터 전송용 통신 케이블의 지지용 클램핑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선 외장형 케이블에서 외장 지지선을 전주나 가입자 건물 벽에 연결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주를 이용하여 가설하는 가공(架空) 케이블(cable) 선로 작업에서, 전주 사이의 케이블은 그 자중이나 외부 영향으로 처지거나 신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대적으로 가는 내부 심선이 끊어질 염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되도록 긴장되게 잡아 당긴 다음 전주에 고정한다. 이때, 인장력 등의 외부 영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아라미드 코팅 얀사의 지지선을 삽입하거나(지지선 내장형) 또는 아연도금 강연선의 지지선을 그 외부에 구비(지지선외장형)한다. 이에 따라, 인장력과 같은 외부 영향에 대한 저항은 되도록 지지선이 담당토록 하고, 통신 케이블은 고속 또는 초고속 데이터 통신선으로서 그 특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지지선 외장형 케이블의 가설 작업을 살펴보면, 먼저, 지지선의 일측을 일측 통신주상에 수회 감아 고정하고, 타측의 전주에서 지지선을 바이스(vise)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전주 사이의 적정 이도를 유지시키면서 지지선을 인장한 후 지지선의 종단부를 통신주에 수회 감아 고정 또는 서스펜션(suspension) 등으로 지지선을 압착 고정한다. 그리고, 지지선 설치가 끝나면, 연결 클립을 이용하여 지지선에 통신 케이블을 매달거나, 통신 케이블을 랫싱하여 가설한다.
그런데, 근래 옥외 가설용으로 제공되는 지지선 외장형 통신케이블의 제조 공정상, 강연선의 지지선이 통신케이블 외부에 폴리 에틸렌 절연재를 이용 8자형으로 피복되어 제공되며, 이에 따라 상술된 바의 연결 클립 등이 필요없게 되었으나, 지지선을 전주나 건물벽 등에 고정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은 여전히 남아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신 케이블을 전주 상에 연속적으로 설치해야 할 경우에 있어서 지지선을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클램핑을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기존의 클램핑 수단과의 호환성이 결여되어 있어 지지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장형 지지선 통신 케이블을 전주나 건물 벽에 편리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장시간이 지나더라도 지지선이 슬립되지 않는 구조가 간단하고 일체로 된 지지선 고정용 클램핑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클램핑 기구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클램핑 기구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a와 도 3b는 지지선 외장형 케이블의 일예로써 4pair UTP 케이블을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 기구에 지지선을 걸어 작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클램핑 기구에 지지선이 걸려 고정된 도 4a의 작업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a는 전주 사이에 지지선 외장형 케이블의 가설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b는 전주에 설치된 단자함에 인입하여 가설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케이블의 지지선이 연결된 클램핑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통신 케이블 20: 외장형 지지선
100, 200 : 클램핑 기구 112 : 걸고리부
122 : 지지선 걸림돌기 124 : 가이드 돌기
126 : 곡면 지지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예로서, 외부 부착 목적물에 통신케이블의 외장 지지선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에 있어서, 외부 부착 목적물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전방에 형성된 걸고리부와, 지지선이 유도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부를 통과한 지지선이 굽어지면서 걸려질 수 있도록 측방에 형성된 지지선 걸림돌기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기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걸고리부는, 걸림홀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돌기부는, 상방으로 돌출 절곡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1절곡편이며, 상기 제1절곡편은, 상기 지지선 걸림돌기부의 전방과 후방에 적어도 2개소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선 걸림돌기부는, 양 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제2절곡편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선 걸림돌기부는, 양 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3개의 절곡편이 양 측면 각각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나아가, 볼트 또는 못을 포함하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걸고리부와 상기 가이드돌기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더 형성되며, 지지선이 밀착되어 지지될수 있도록 상부면의 중앙부가 곡면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곡면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클램핑 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클램핑 기구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클램핑 기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클램핑 기구(100)는, 전주의 인입 밴드의 클램프 걸이 걸림핀에 걸려 연결될 수 있도록 걸고리부(112)가 형성된 머리부(110)와, 지지선이 유도되어 감겨지면서 죄어질 수 있도록 지지선 걸림돌기부(122)와 가이드 돌기부(124)를 구비한 몸통부(120)와, 그리고 상기 머리부(110)와 몸통부(120) 사이를 연결하는 목부(1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램핑 기구(100)는, 양측이 하방으로 절곡된 판상의 원피스 기구이며,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몸통부 상부면에는 손으로 파지하여 작업하기가 용이하고 케이블 지지선이 보다 원만하게 굽어져 밀착되어 죄어질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서 소정 곡률로 유연하게 만곡된 형상의 곡면 지지부(126)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고리부(112)는, 통신주의 인입 밴드 클램프 걸이에 형성된 걸림핀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홀(112a)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돌기부(124)는, 케이블의 지지선이 유도되어 인입되거나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그 일예로서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절곡된 2개의 제1절곡편(124a, 124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절곡편(124a,124b)은 케이블의 지지선이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작업중에케이블 지지선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1절곡편(124a,124b)은, 케이블 지지선이 유도되어 지지선 또는 케이블과 나란히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목통부의 전후방 또는, 지지선 걸림돌기부(122)의 전방과 후방의 적어도 2개소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선 걸림돌기부(122)는, 후방에 위치한 가이드 돌기부(124)에 수용되어 통과한 지지선이 굴곡하여 걸려지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측면에 형성되며, 양 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제2절곡편(122a,122b,122c)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절곡되는 측면 저부가 상호 연결된 형상으로 되면,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 상처를 주는 등의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으며 또한 케이블과 지지선이 분기되는 부분이 측면에 가려져 보이지 않아 자연스런 외관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지선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여유 공간(A)이 형성되도록 측면부 일부분을 절개하여 상기 제2절곡편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목부(130) 또는, 상기 걸고리부(112)와 상기 지지선 걸림돌기부(122) 사이에는, 볼트 또는 못과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부착의 목적으로 고정홀(13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클램프 기구(100)를 이용하여 지지선 외장형 케이블을 가설하는 작업을 도 3a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와 도 3b는 지지선 외장형 케이블의 일예로써 4pair UTP 케이블을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A-A 라인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지지선 외장형 UTP 케이블(1)은 4개의 트위스트 페어(pair)의 와이어 심선(11)이 폴리에틸렌 재질의 외피(13)로 피복된 케이블(10)과, 상기 케이블(10)의 외측에 부착되며 6가닥의 크롬도금 아연도 강선(21)이 폴리에틸렌 재질의 외피(23)로 피복된 지지선(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13, 23)는 케이블(10)과 지지선(20) 사이를 8자 형태로 절연하도록 일체로 제작 및 공급된다.
이러한 지지선 외장형 케이블(1)을 가설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케이블(10)에 부착된 지지선(20) 중에서 작업에 필요한 일부분을 떼어내고, 인장기(도시는 생략됨)를 이용하여 전주 사이에 위치한 지지선을 긴장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 기구(100)에 지지선(20)을 고정하는 작업은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면한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 기구에 지지선을 걸어 작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클램핑 기구에 지지선이 걸려 고정된 도 4a의 작업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인장기 후방의 이완된 지지선(20)을 잡고서 클램핑 기구(100)의 후방에 위치한 가이드 돌기부(124) 즉 두 개의 제1절곡편(124a,124b) 사이에 지지선(20)을 통과시킨 다음, 지지선(20)을 곡면지지부(126)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지지선 걸림돌기부(122) 즉,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3개의 제2절곡편(122a,122b,122c)에 순차대로 건다. 그리고 지지선(20)을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 돌기부(124)의 제1절곡편(124a,124b) 통과시키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 기구(100)에 케이블의 지지선(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핑 기구(100)에 연결된 지지선(20)이 전주에 고정 설치된 상태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다.
도 5a는 전주 사이에 지지선 외장형 케이블의 가설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b는 전주에 설치된 단자함에 인입하여 가설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기구(100)의 전방에 위치한 걸고리부(112)를 전주(3) 상부에 고정 설치된 인입 밴드(4)의 클램프 걸이의 걸림핀(41)에 긴장되도록 걸어 고정하면, 클램핑 기구(100)에 접촉된 지지선(20)은 가이드 돌기부(124)와 지지선 걸림돌기부(122)에서 꺾여진 상태로 걸려 죄어지고 있으므로, 지지선(20)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선(20)에 외부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적어도 5개소에서 잡아 주고 있기 때문에 지지선(20)은 견고하게 결착되어 슬립 등이 발생할 염려가 없게 된다.
한편, 전주(3)에 인입 밴드(4)의 걸림핀(41)이 없는 경우 또는 가입자 건물 외벽 등과 같은 다른 목적물에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 기구를 설치하여 케이블을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클램핑 기구(100)의 고정홀(130a)에 볼트와 너트 또는 못 등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 기구(100)를 이용하면, 걸고리부(112)를 걸어 연결하는 방법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체결 부재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적소에 부착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케이블의 지지선이 연결된 클램핑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4b에 도시된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 기구(200)는, 도 4b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클램핑 기구(100)와 서로 동일하나, 2개의 케이블(10)을 동시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선 걸림돌기부(122)가, 양 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배치된 제2절곡편(222a,222b,222c,222d,222e,222f)이 몸체(120)의 양 측면부(128)에 각각 3개씩 구비하고 있는 점이 서로 상이하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따른 클램핑 기구는 일예들로서 설명된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며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걸고리부와 가이드 돌기부 사이로 케이블 외장형 지지선을 단순히 통과시켜 결착되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신속하고 용이한 클램핑 작업이 가능하며, 그 작업 시간도 단축되고 작업의 안전성도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클램핑 기구가 판상의 단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볍고, 일반 프레스 가공 등을 이용하여 양산가능하여 그 제조 원가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외부 부착 목적물에 통신케이블의 외장 지지선을 지지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기구에 있어서,
    외부 부착 목적물에 걸려 연결될 수 있도록 전방에 형성된 걸고리부;
    지지선이 유도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 및
    상기 가이드 돌기부를 통과한 지지선이 굽어지면서 걸려질 수 있도록 측방에 형성된 지지선 걸림돌기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부는, 걸림홀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돌기부는, 상방으로 돌출 절곡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1절곡편이며;
    상기 제1절곡편은, 상기 지지선 걸림돌기부의 전방과 후방에 적어도 2개소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선 걸림돌기부는,
    양 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적어도 3개의 제2절곡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선 걸림돌기부는,
    양 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적어도 3개의 절곡편이 양 측면 각각에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볼트 또는 못을 포함하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걸고리부와 상기 가이드돌기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지지선이 밀착되어 지지될수 있도록 상부면의 중앙부가 곡면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곡면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기구.
KR2020020014871U 2002-05-15 2002-05-15 옥외 통신 케이블 지지용 클램핑 기구 KR200285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871U KR200285079Y1 (ko) 2002-05-15 2002-05-15 옥외 통신 케이블 지지용 클램핑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871U KR200285079Y1 (ko) 2002-05-15 2002-05-15 옥외 통신 케이블 지지용 클램핑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079Y1 true KR200285079Y1 (ko) 2002-08-13

Family

ID=7307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871U KR200285079Y1 (ko) 2002-05-15 2002-05-15 옥외 통신 케이블 지지용 클램핑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07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618B1 (ko) 2007-03-06 2007-06-13 주식회사 대영통신 케이블 지지용 케이블 클램프
KR101255193B1 (ko) * 2013-03-11 2013-04-23 주식회사 대영통신 통신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0473979Y1 (ko) * 2013-05-30 2014-08-14 김희록 고강도 천을 이용한 케이블 정리장치
KR101713980B1 (ko) 2015-10-16 2017-03-10 동서텔레콤(주) I 볼트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지지선 결속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618B1 (ko) 2007-03-06 2007-06-13 주식회사 대영통신 케이블 지지용 케이블 클램프
KR101255193B1 (ko) * 2013-03-11 2013-04-23 주식회사 대영통신 통신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0473979Y1 (ko) * 2013-05-30 2014-08-14 김희록 고강도 천을 이용한 케이블 정리장치
KR101713980B1 (ko) 2015-10-16 2017-03-10 동서텔레콤(주) I 볼트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지지선 결속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534B2 (en) Drop wire clamp
KR200453855Y1 (ko) 케이블 행거
CA2063772A1 (en) Drop wire clamp
US7234669B2 (en) Clamp
KR200285079Y1 (ko) 옥외 통신 케이블 지지용 클램핑 기구
GB1566843A (en) End fastenin appliance for cables and the like
US6003852A (en) Assembly device for a wiring harness
US5245729A (en) Flexible line fastener device
JP4145767B2 (ja) 光ケーブル留め具
KR20044823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393275Y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WO2003049125A1 (en) Wire insulator
US5170536A (en) Tensioner and barb for wire fence
US6056422A (en) Christmas light with an elastic attachment
KR200392693Y1 (ko) 행거형 브라켓
KR102007160B1 (ko) 톱니형 스냅 구조를 갖는 케이블 행거
KR20080022457A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MXPA04004954A (es) HORQUILLA UNIVERSAL PARA EL MONTAJE AUTOMáTICO EN EL EXTREMO CERRADO.
JP2709826B2 (ja) ケーブルの固定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固定具
KR200207471Y1 (ko) 광케이블용 조가선 행거
JP3463913B2 (ja) 引込線引留具
JPS587794Y2 (ja) ケ−ブルの水平架線支持構成部
JP2003139968A (ja) 光ファイバコード固定装置及びその結束固定方法
KR200305325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269701Y1 (ko) 케이블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