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794Y1 -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794Y1
KR200284794Y1 KR2020020015370U KR20020015370U KR200284794Y1 KR 200284794 Y1 KR200284794 Y1 KR 200284794Y1 KR 2020020015370 U KR2020020015370 U KR 2020020015370U KR 20020015370 U KR20020015370 U KR 20020015370U KR 200284794 Y1 KR200284794 Y1 KR 200284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eparation
tank
wast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관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엠 (A.M) 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엠 (A.M) 특장 filed Critical (주)에이엠 (A.M) 특장
Priority to KR2020020015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7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794Y1/ko

Links

Landscapes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수거된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 및 오수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오수탱크로 배출시킴으로써 위생적인 쓰레기의 수거가 가능한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기의 이물질을 단계적으로 걸러내고 수분 및 오수만을 오수탱크로 배출시킴으로써 쓰레기로 인해 오수가 이동되는 배수관이 막히는 현상과 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투출함 및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 및 오수를 자중에 의해 오수탱크로 배출시키거나 차량의 유압력을 이용하여 보조탱크로 배출시킴으로써, 수거차량의 운행중에 오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오수를 강제이송시키는 펌프를 전기신호에 의해 구동시키거나, 차량의 동력인출장치에 직결형으로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구동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됨과 아울러 유지관리가 간편하여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테일게이트의 내측에 쓰레기가 투출되는 투출함과, 상기 투출함으로 부터 이동송되는 쓰레기를 적재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처리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저부에 오수탱크가 설치된 압축식 진개차에 있어서, 상기 투출함(2)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분리홀(11)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를 내장하는 분리탱크(10)와; 상기 분리탱크(10)를 관통하는 관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오수가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제2분리홀(13)이 형성된 분리관(12)과; 상기 분리탱크(10) 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제1수위감지센서(14)와;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14)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입력측에 상기 분리관(12)에 연결되고, 출력측에 오수가 이송되도록 오수이동관(22)을 연결한 펌프(20)와; 상기 펌프(20)의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오수를 저장하도록 상기 적재함(1)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위감지센서(15)가 내장된 보조탱크(23)와; 상기 펌프(20)의 입력측과 상기 적재함(1)의 전방부 내측에 각각 장착되며 오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다수개의 분리홀(H)이 형성된 제1/2분리판(21,30)과; 상기 제2분리판(30)의 분리홀(H)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적재함(1)의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구(31)와; 상기 다수개의 배출구(3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오수탱크(33)에 연결되어 오수를 안내하는 오수안내관(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수위감지센서(14,15)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분리탱크(10)와 보조탱크(23)에 저장된 오수의 양을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경고부저(17)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Sewage treatment apparatus of a garbage wagon}
본 고안은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에 수거된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 및 오수만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오수탱크로 배출시킴으로써 위생적인 쓰레기의 수거가 가능한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식 진개차는 일반가정이나 식당과 같은 장소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나 오물들을 수집해서 압축시킨후 일정한 장소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의 적재함에는 쓰레기의 적재 및 배출을 위한 차폐판과, 차폐판을전진, 후퇴시키는 실린더와, 실린더를 작동 및 제어시키는 작동레버가 구성되어있어, 쓰레기 적재시 고정압력(settingpressure)이상이 되면 실린더가 자동수축되면서 적재가 이루어지고 배출시에는 작동레버를 동작시켜 차폐판을 전진시키면 쓰레기가 밖으로 밀려나 하치된다.
한편 우리나라 음식문화는 찌개류, 채소류, 과일류 등 국물위주의 식단으로 짜여져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에서 비교적많은 오수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고 이송시키는데에는 적지아니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의 압축식 진개차에는 적재함의 저면에 소정용량의 오수 수집탱크를 설치함으로서, 상기한 바와같은 물이 많이 함유된 쓰레기의 압축과정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저장(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여름철이 되면 일반 가정에서 과일껍데기나 기타 물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쓰레기를 많이 버리게 되고, 또농수산물시장등에서 나오는 쓰레기들은 그 자체가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거나 물의 사용이 많은 곳에서 폐기되는 쓰레기에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5톤차량의 1회 정량수거시 보통 550ℓ이상의 수분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에 보급되어져 있는 모든 압축식 진개차의 오수탱크는 저장용량이 300ℓ에 불과한 것으로서, 오수의 저장용량이 이를초과하게 되면 운반도중 쓰레기 적재함으로부터 오수가 도로변에 뿌려져 악취를 풍기게 되고 뒤따라오는 차량이나 길가는 행인들에 피해를 주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오수탱크의 내부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대용량의 탱크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탱크의 교체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설사 탱크를 교체한다 하더라도 적재함의 하부공간이 협소하여 더이상의 용량증가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오수를 저장탱크에 이동시켜 저장함에 있어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확실하게 걸러주지 못해 오수이동관이 막히거나, 오수를 강제이송시키는 펌프유닛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펌프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구동원을 설치함에 따라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쓰레기의 이물질을 단계적으로 걸러내고 수분 및 오수만을 오수탱크로 배출시킴으로써 쓰레기로 인해 오수가 이동되는 배수관이 막히는 현상과 펌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투출함 및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되는 수분 및 오수를 자중에 의해 오수탱크로 배출시키거나 차량의 유압력을 이용하여 보조탱크로 배출시킴으로써, 수거차량의 운행중에 오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오수를 강제이송시키는 펌프를 전기신호에 의해 구동시키거나, 차량의 동력인출장치에 직결형으로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구동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됨과 아울러 유지관리가 간편하여 사용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테일게이트의 내측에 쓰레기가 투출되는 투출함과, 상기 투출함으로 부터 이동송되는 쓰레기를 적재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처리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저부에오수탱크가 설치된 압축식 진개차에 있어서, 상기 투출함(2)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분리홀(11)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를 내장하는 분리탱크(10)와; 상기 분리탱크(10)를 관통하는 관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오수가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제2분리홀(13)이 형성된 분리관(12)과; 상기 분리탱크(10) 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제1수위감지센서(14)와;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14)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입력측에 상기 분리관(12)에 연결되고, 출력측에 오수가 이송되도록 오수이동관(22)을 연결한 펌프(20)와; 상기 펌프(20)의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오수를 저장하도록 상기 적재함(1)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위감지센서(15)가 내장된 보조탱크(23)와; 상기 펌프(20)의 입력측과 상기 적재함(1)의 전방부 내측에 각각 장착되며 오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다수개의 분리홀(H)이 형성된 제1/2분리판(21,30)과; 상기 제2분리판(30)의 분리홀(H)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적재함(1)의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구(31)와; 상기 다수개의 배출구(3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오수탱크(33)에 연결되어 오수를 안내하는 오수안내관(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수위감지센서(14,15)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분리탱크(10)와 보조탱크(23)에 저장된 오수의 양을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경고부저(17)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 부분확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의 내부구성도,
도 3은 도 1의 부분확대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탱크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동력인출장치와 펌프의 연결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의 제어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적재함 2 : 투출함
3 : 테일게이트 4 : 동력인출장치
5 : 플랜지 10 : 분리탱크
11 : 제1분리홀 12 : 분리관
13 : 제2분리홀 14 : 제1수위감지센서
15 : 제2수위감지센서 16 : 경고음발생부
17 : 경고부저 20 : 펌프
20a : 동력인출장치 구동부 21 : 제1분리판
22 : 오수이동관 23. 보조탱크
24,34 : 오수배출관 25,35 : 오수배출밸브
30 : 제2분리판 31 : 배출구
32 : 오수안내관 33 : 오수탱크
40 : 제어부 H : 분리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의 내부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부분확대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탱크의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펌프의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판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동력인출장치와 펌프의 연결구조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쓰레기 수거차량은 테일게이트(3)의 내측에 쓰레기가 투출되는 투출함(2)과, 상기 투출함(2)으로부터 이동송되는 쓰레기를 적재하는 적재함(1)과, 상기 적재함(1)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처리하도록 상기 적재함(1)에 오수처리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오수처리장치는 상기 투출함(2)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분리홀(11)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를 내장하는 분리탱크(10)와, 상기 분리탱크(10)를 관통하는 관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오수가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제2분리홀(13)이 형성된 분리관(12)과, 상기 분리탱크(10) 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제1수위감지센서(14)와,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14)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입력측에 상기 분리관(12)에 연결되고, 출력측에 오수가 이송되도록 오수이동관(22)을 연결한 펌프(20)와, 상기 펌프(20)의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오수를 저장하도록 상기 적재함(1)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위감지센서(15)가 내장된 보조탱크(23)와, 상기 펌프(20)의 입력측과 상기 적재함(1)의 전방부 내측에 각각 장착되며 오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다수개의 분리홀(H)이 형성된 제1/2분리판(21,30)과, 상기 제2분리판(30)의 분리홀(H)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적재함(1)의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구(31)와, 상기 다수개의 배출구(3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오수탱크(33)에 연결되어 오수를 안내하는 오수안내관(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탱크(13)의 내부에 오수가 일정량이 모아지게 되면, 이를 수위감지센서(14)가 감지하여 제어부(40)로 감지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펌프(20)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구동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펌프(20)를 차량의 동력인출장치 구동부(20a)와 플랜지(5)를 매개로 연결하여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펌프(20)로 유압력을 공급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2수위감지센서(14,15)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오수탱크(10)와 보조탱크(23)에 저장된 오수의 양을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경고부저(17)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탱크(23)와 오수탱크(33)에는 오수배출관(24,34)과 오수배출밸브(25,35)가 각각 구비되어 수거된 오수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오수처리 과정에 설명하면, 먼저, 쓰레기수거통의 덤핑에 의해 수거차량의 투출함(2)에 적재되는 생활쓰레기는분리탱크(10)의 제1분리홀(11)을 통해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진 오수가 모아지게 되며, 오수가 일정량을 넘어서게 될 경우, 이를 제1수위감지센서(14)가 감지하여 제어부(40)로 감지신호를 보내게 되며, 상기 펌프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신호는 경고음발생부(16)로 전달되어 작업자에게 상기 분리탱크(10)에 저장된 오수의 양을 예측 가능케 하고, 상기 펌프(20)가 구동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경고부저(17)가 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20)의 입력측과 상기 분리탱크(10)의 내부에 구비된 분리관(12)이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분리탱크(10)에 모아진 오수를 제2분리홀(13)에 의해 이물질이 2차적으로 걸러진 오수만을 상기 펌프(20)의 입력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펌프(20)의 입력측에 구비된 제1분리판(21)의 분리홀(H)을 통과하면서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3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상기 제1/2분리홀(11,13) 및 상기 제1분리판(21)의 분리홀(H)은 오수에 함유된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만을 상기 펌프(20)의 입력측에 공급함으로써 펌프가 이물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아울러 오수가 이동하는 배관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펌프(20)의 구동에 의해 오수는 출력측에 연결된 오수이동관(22)을 경유하며 적재함(1)의 전면부 상측에 구비된 보조탱크(23)로 배출되어진다.
상기 펌프(20)는 도 9와 같이 차량의 동력인출장치(4)와 직결형으로 연결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14)에 의해 전달된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40)가 동력인출장치 구동부(20a)로 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동력인출장치(4)를 작동시키고, 상기 동력인출장치(4)의 출력축에 상기 펌프(20)를 플랜지(5)를 매개로 하여 연결함으로써, 차량의 유압력으로 상기 펌프(20)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차량의 동력인출장치(4)를 이용하여 유암펌프(20)를 구동시키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기 동력인출장치(4)의 상세한 동작과정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펌프(20)의 동작이 일정시간 동안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분리탱크(10)내의 오수량이 제1수위감지센서(14)의 설정범위 이하로 내려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로 감지신호를 보내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동력인출장치 구동부(20a)와 경고음발생부(16)으로 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펌프(20)의 구동을 중단시킴과 아울러, 경고부저(17)의 작동에 의해 작업자에게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펌프(20)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오수가 상기 보조탱크(13)의 저장용량이 한계에 이르게 되면, 이를 상기 제2수위감지센서(15)가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경고부저(17)가 울리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펌프(20)의 구동을 수동으로 정지시킴으로써, 펌프(20)의 오작동 및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투출함(2)에 덤핑된 생활쓰레기는 압축과정을 거치며 적재함(1)의 내부로 이송된다.
압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수는 상기 적재함(1)의 전면부에 형성된 제2분리판(30)의 분리홀(H)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구(31)로 배출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분리판(30)은 상기 적재함(1)의 전면부의 양측 모서리 부분에 밀착/고정되어 압축되는 쓰레기에 의해 유동이 발생되지 않으며, 오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는 오수안내관(32)을 통해 상기 적재함(1)의 저부에 구비된 오수탱크(33)로 유입된다.
상기 오수안내관(32)은 상기 배출구(31)와 오수탱크(33)를 각각 연결하되, 상기 배출구(31)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자연스럽게 상기 오수탱크(33)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낙차가 형성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생활쓰레기를 상기 적재함에 적재한 후, 목적지까지 운반하게 되면, 상기 보조탱크(23)와 오수탱크(33)에 저장되어진 오수를 처리조(미도시)로 배출하기 위해 작업자는 오수배출관(24,34)에 설치된 오수배출밸브(25,35)를 개방하게 된다.
결국, 오수배출밸브(24,34)가 개방되어짐에 따라 각 탱크 내부에 저장되었던 오수는 외부에 마련된 오수처리조로 배출되어지게 됨으로서 생활 쓰레기의 수집과정에서 발생되어진 오수의 최종 처리가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오수처리장치는 상기 분리탱크(10) 및 보조탱크(23)와 오수탱크(33)로 이동되는 오수중에 포함된 부유물 등의 이물질이 상기오수분리드럼(10)과 제1/2분리판(21,30))에 의해 걸러짐으로써 상기 오수이동관(22)과 오수안내관(32)의 막힘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상기 보조탱크(23)로 강제이송시키는 상기 펌프(20)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펌프(20)를 차량의 동력인출장치(4)에 플랜지(5)를 매개로 직결형으로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 없어 설치비용이 절감되며, 상기 펌프의 구동이 제1수위감지센서(14)의 감지신호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짐과 아울러, 이를 경고부저(17)를 통해 작업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각 구성요소의 작동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쓰레기 수거차량의 투출함과 적재함에 적재되는 생활쓰레기로부터 오수만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분리탱크와 제1/2분리판을 설치함으로써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오수안내관 및 오수이동관과, 오수를 강제이송시키는 펌프에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이물질에 의해 배관이 막히는 현상과 펌프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분리탱크에 내장된 제1수위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경고부저가 울림으로써 작업자가 수거된 오수의 양과 펌프를 구동여부를 알 수 있으며, 또한 보조탱크에 내장된 제2수위감지센서에 의해 저장용량이 초과한 경우에도 경고부저를 통해 작업자에게 울려줌으로써 오수처리장치의 작동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수를 강제이송시키는 펌프를 별도의 구동원을 구비하여 작동시키지 않고, 전기신호나 차량의 동력인출장치에 플랜지를 매개로 연결하여 작동시킴으로써 펌프의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테일게이트의 내측에 쓰레기가 투출되는 투출함과, 상기 투출함으로 부터 이동송되는 쓰레기를 적재하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를 처리하도록 상기 적재함의 저부에 오수탱크가 설치된 압축식 진개차에 있어서,
    상기 투출함(2)의 하부에 구비되며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분리홀(11)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오수를 내장하는 분리탱크(10)와;
    상기 분리탱크(10)를 관통하는 관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오수가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제2분리홀(13)이 형성된 분리관(12)과;
    상기 분리탱크(10) 내부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제1수위감지센서(14)와;
    상기 제1수위감지센서(14)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입력측에 상기 분리관(12)에 연결되고, 출력측에 오수가 이송되도록 오수이동관(22)을 연결한 펌프(20)와;
    상기 펌프(20)의 구동에 의해 이송되는 오수를 저장하도록 상기 적재함(1)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오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제2수위감지센서(15)가 내장된 보조탱크(23)와;
    상기 펌프(20)의 입력측과 상기 적재함(1)의 전방부 내측에 각각 장착되며 오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다수개의 분리홀(H)이 형성된 제1/2분리판(21,30)과;
    상기 제2분리판(30)의 분리홀(H)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적재함(1)의 일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구(31)와;
    상기 다수개의 배출구(3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오수탱크(33)에 연결되어 오수를 안내하는 오수안내관(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수위감지센서(14,15)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분리탱크(10)와 보조탱크(23)에 저장된 오수의 양을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경고부저(17)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
KR2020020015370U 2002-05-20 2002-05-20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 KR200284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370U KR200284794Y1 (ko) 2002-05-20 2002-05-20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370U KR200284794Y1 (ko) 2002-05-20 2002-05-20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794Y1 true KR200284794Y1 (ko) 2002-08-05

Family

ID=73123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370U KR200284794Y1 (ko) 2002-05-20 2002-05-20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7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7736A (zh) * 2018-11-28 2019-03-01 湖南中佳华悦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过滤排放结构及包含该结构的垃圾压缩机
KR102457464B1 (ko) 2022-05-03 2022-10-21 유한회사 삼능기계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회전형 적재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7736A (zh) * 2018-11-28 2019-03-01 湖南中佳华悦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过滤排放结构及包含该结构的垃圾压缩机
KR102457464B1 (ko) 2022-05-03 2022-10-21 유한회사 삼능기계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회전형 적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3509B1 (en) A method of operating a waste collection tank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ame
US6413435B1 (en) Separator unit capable of less-dense solids and/or buoyant solids removal
CN108951778A (zh) 一种用于厨房水槽下方的垃圾处理装置
CN206464327U (zh) 一种餐厨垃圾接料预处理设备
CN109647852A (zh) 一种环保型垃圾处理再利用装置
KR200284794Y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오수처리장치
US20240150132A1 (en) Organic material handling system
US5587065A (en) Mobile system for the collection, separation and disposal of wet solid, oily and/or watery waste
CN110155613B (zh) 一种餐厨垃圾管链传输线及使用该餐厨垃圾管链传输线的餐厨垃圾处理系统
CN105903246A (zh) 固液分离吸污装置
KR200485263Y1 (ko) 재활용쓰레기 적재함이 구비된 압축식 쓰레기 수거차량
EP0906877B1 (en) Vacuum accumulator connected to a suction pipe
US20230311177A1 (en) Organic material handling system controller
US20230312273A1 (en) Organic material handling system storage module
KR102260310B1 (ko)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CN205815238U (zh) 固液分离吸污设备
CN106081425B (zh) 一种机电液一体化的移动式垃圾压缩设备
KR20020016046A (ko) 압축식 진개차의 오수유출 방지장치
EP1114783B1 (en) Device and method for shredding food waste
CN211618921U (zh) 智能密闭式垃圾压缩贮存机
CN105971108A (zh) 强力吸污车
CN217752901U (zh) 一种无害化处理用压榨机
KR100864447B1 (ko) 음식물쓰레기의 탈수 시스템
CN215541554U (zh) 一种垃圾粉碎处理设备
FI126185B (fi)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erotinla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