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310B1 -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0310B1 KR102260310B1 KR1020200107891A KR20200107891A KR102260310B1 KR 102260310 B1 KR102260310 B1 KR 102260310B1 KR 1020200107891 A KR1020200107891 A KR 1020200107891A KR 20200107891 A KR20200107891 A KR 20200107891A KR 102260310 B1 KR102260310 B1 KR 1022603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waste
- pressure
- pressing
- pressing member
-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09B3/005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장치; 및 상기 분쇄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고액분리시키는 고액분리장치;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처리시설로의 이동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 시간이 제한적이지 않을 수 있고, 수거 및 처리시설로의 이송에 따른 인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함수율이 높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여 오수와 고형물로 각각 분리 배출함에 있어 고형물에 포함된 함수율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의 고액분리 처리량을 늘려주는 장점이 있는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 고속도로 휴게소 등 다수가 이용하는 대형식당 또는 아파트나 주택 등의 공동 배출장소에 일정 구역별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직접 투입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분쇄하고, 분쇄처리된 음식물쓰레기는 배관을 통해 중앙으로 집하시켜 고액분리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버리는 음식물 찌꺼기, 각종 농축수산물의 판매 및 유통 과정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가정과 식당 등에서 조리 과정 중에 구입한 식품의 훼손된 부분을 다듬으면서 버려지는 각종 음식물 쓰레기는 주택가와 음식업소 등에서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에 마구 버려지고, 발생량 자체가 급속도로 늘어남에 따라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방식은, 음식물 전용 수거용기를 이용한 문전수거 방식과, 납부필증을 통한 종량제 실시, 단독주택일 경우 배출자가 지정된 요일의 지정된 시간에 음식물 쓰레기를 전용 수거용기에 담아 주택 앞에 내놓으면 다음날 새벽에 수거 요원이 거두어가는 방식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먼저, 문전수거 방식은 수거시간 및 인력을 낭비하고, 수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납부필증을 통한 종량제는 종량제 납부필증을 부착하여 배출해야 함에 따라 납부필증의 훼손 및 분실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주민들이 많은 불편함을 겪고 있다.
특히 단독주택의 경우 배출자가 지정된 시간을 지켜 배출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단순 소각처리로는 너무나 많은 연료가 필요하게 되므로 탈수공정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며, 또 그 탈수효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비용 절감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선출원된 벨트프레스식 탈수 방식을 달리한 실린더 내의 피스톤 가압에 의한 압착탈수기, 즉 망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실린더를 피스톨식 몸통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일체화시킨 후 이를 회전시키면서 그 회전궤도상에서 슬러지 펌프로부터 슬러지를 실린더내에 공급받아 이송되면 편심체의 회전동작에 의해 피스톤을 밀어 실린더내의 슬러지가 압착 탈수 되도록 한 후 이어진 구간에서 자동 배출되는 일련의 공정들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수기가 있다.
하지만 상기 탈수기는 피스톤의 압착에 의해 탈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탈수효율이 높은 장점은 있으나, 각 실린더가 피스톤 식으로 하나의 몸체에 다수개 설치되어 회전되면서 슬러지의 공급, 탈수 및 배출 공정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슬러지의 탈수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가 없었고, 또 각 구간별 기능 동작을 위한 장치의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각 기능간의 무리한 연계로 인한 각 구간의 기능들이 원활한 동작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 음식물쓰레기 탈수에 주로 활용되는 벨트프레스 방법은 널리 알려져 활용되는 것에 비하여 탈수 후의 함수율이 70% 정도를 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장치의 위생성과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관리자가 직접 장치 내부를 주기적으로 세척해야 하나 그 세척 작업이 용이치 않고 번거로운 이유로 장시간 오염된 상태로 방치하게 됨으로써, 세균번식으로 인한 악취 및 병원균이 발생할 수 있게 되며 장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처리시설로의 이동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되며, 함수율이 높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여 오수와 고형물로 각각 분리 배출함에 있어 고형물에 포함된 함수율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장치; 및 상기 분쇄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고액분리시키는 고액분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분쇄장치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케이싱; 상기 본체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부; 및 상기 본체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관을 통해 상기 고액분리장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부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수단; 및 상기 분쇄수단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분쇄수단은 상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 1회전축; 상기 제 1회전축과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연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 1회전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회전축;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에 각각 복수로 구성되는 분쇄날; 및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인접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분쇄날 측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써,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제 1회전축에 결속되는 제 1회전기어; 및 상기 제 2회전축에 결속되며 상기 제 1회전기어와 맞물리는 제 2회전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날은 최외각의 반지름이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 간 이격된 거리 보다 작되,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 간 이격된 거리의 1/2보다 크고,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에 복수로 구성되는 상기 분쇄날은 분쇄날의 폭만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의 분쇄날은 각각 서로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내판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마련되되,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수직면부; 및 상기 수직면부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 구조를 이루는 경사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부는 상기 분쇄날이 통과하는 분쇄홈이 마련되어 상기 분쇄날은 상기 분쇄홈에 배치되어 상기 경사면부와 중첩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액분리장치는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함수슬러지에서 고형물과 오수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케이크 형태로 배출되는 고형물을 케이크수거부로 전달하는 케이크배출부; 및 상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오수를 상기 개구부로 토출시켜 상기 본체 내측을 세척하도록 구성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선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선단부에 케이크배출공이, 후단 하면에 오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망체구조로 구성되어 그 내측에는 제 1공간부를, 그 외측에는 제 2공간부를 형성시키는 여과망; 및 상기 제 1공간부에 배치되며 스크류날개가 상기 여과망에 밀착된 상태로 스크류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고형물을 상기 케이크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오수배출구로부터 오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는 세척탱크; 상기 세척탱크에 저장된 오수를 상기 개구부로 토출시키는 세척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써, 상기 케이크배출부는 그 외주연이 상기 케이크배출공의 내주연에 밀착 고정되는 관형태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개방구가 형성되는 반원 관형태의 가이드부; 및 상기 고정부의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가압가이드; 그 외주연이 상기 가이드의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선단과 후단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압부재; 일단이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가압부재의 선단측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압로드; 상기 가압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로드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압로드에 결합되며 그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 하면에 밀착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후측 진행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판의 후단측에 결합되며 외주연이 상기 가압가이드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후면은 하단부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태의 경사면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압로드에 제 1압력 또는 상기 제 1압력보다 더 큰 압력인 제 2압력 중 하나의 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처리시설로의 이동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 시간이 제한적이지 않을 수 있고, 수거 및 처리시설로의 이송에 따른 인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함수율이 높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여 오수와 고형물로 각각 분리 배출함에 있어 고형물에 포함된 함수율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의 고액분리 처리량을 늘려주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배출된 오수를 재이용하여 장치 내부를 자동 세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치를 위생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고형물과 오수가 분리되는 여과망 역시 자동으로 세척하도록 구성하여 여과망의 막힘에 의해 고액분리 처리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 효율을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쇄장치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쇄장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쇄날 및 가이드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고액분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본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케이크배출부의 일실시 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압부재 및 가압가이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압부재 및 가압가이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압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일 구성인 가압수단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컨트롤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자동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2자동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출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쇄장치 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쇄장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쇄날 및 가이드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고액분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본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케이크배출부의 일실시 예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압부재 및 가압가이드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압부재 및 가압가이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압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일 구성인 가압수단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컨트롤러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자동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2자동제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출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학교, 고속도로 휴게소 등 다수가 이용하는 대형식당 또는 아파트나 주택 등의 공동 배출장소에 일정 구역별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직접 투입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분쇄하고, 분쇄처리된 음식물쓰레기는 배관을 통해 중앙으로 집하시켜 고액분리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장치(100) 및 고액분리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장치(100)는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고액분리장치(300)는 상기 분쇄장치(100)와 이송관(136)에 의해 연결되어 이송관(136)을 통해 전달받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고액분리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분쇄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10), 분쇄부(120) 및 이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싱(11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통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체케이싱(110)은 그 상부면에 투입구(112)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112)로부터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도록 투입구(112)와 연결되는 구조로 분쇄부(120)가 배치되고 그 하부에 분쇄부(12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전달되도록 이송부(130)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112)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케이싱(110)에는 투입구(112) 내측에 음식물쓰레기의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 등과 같은 계량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케이싱(110)의 상부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도 1에서와 같이 배출자 및 계량정보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부호미도시)와 상기 배출자 및 계량정보를 외부서버에 송출하고 과금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부(부호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RFID모듈(114)이 더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RFID모듈(114)은 종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케이싱(110)에는 자동으로 상기 투입구(112)를 개폐시키는 덮개(1122)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덮개(1122)는 개폐수단(1124)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1124)은 상기 RFID모듈(114)과 연동하여 상기 덮개(1122)를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분쇄부(120)는 상기 본체케이싱(1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분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분쇄수단(122) 및 저장탱크(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쇄수단(122)은 상기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도록 구성되며, 잘게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저장탱크(124)에 저장되고 저장된 음식물쓰레기는 이송부(130)에 의해 상기 고액분리장치(300)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먼저, 상기 분쇄수단(122)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21), 제 1회전축(1222), 제 2회전축(1223), 분쇄날(1224) 및 안내판(12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22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면이 개방되는 테두리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투입구(112)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그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상기 몸체(1221)를 제외한 분쇄수단(122)의 분리사시도로써,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 1회전축(1222)은 상기 몸체(1221)의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구동모터(1227)에 의해 회전력이 전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회전축(1223)은 상기 제 1회전축(1222)과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연동수단(1226)에 의해 상기 제 1회전축(1222)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동수단(1226)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회전축(1222)에 결속되는 제 1회전기어(1226-1)와 상기 제 2회전축(1223)에 결속되며 상기 제 1회전기어(1226-1)와 치합되는 제 2회전기어(122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227)가 제 1회전축(1222)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에 연동하는 제 1회전기어(1226-1)가 맞물린 제 2회전기어(1226-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제 1회전축(1222)과 제 2회전축(1223)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221)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연동수단(1226) 즉, 상기 제 1회전축(1222) 및 제 2회전축(1223)은 투입 또는 분쇄되는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 또는 그에 포함된 오수가 튀거나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커버(1226-3)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회전축(1222) 및 제 2회전축(1223)에는 복수의 분쇄날(1224)이 구성되는 바, 상기 분쇄날(1224)은 중공이 형성된 원형의 톱니날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형성된 중공이 제 1회전축(1222) 및 제 2회전축(1223)에 각각 고정되게 된다.
상기 분쇄날(1224)은 원형의 톱니날 형태로 마련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최외각 반지름(r)이 상기 제 1회전축(1222) 및 제 2회전축(1223) 간 이격된 거리(L)보다 작고, 제 1회전축(1222) 및 제 2회전축(1223)간 이격된 거리(L)의 1/2보다 크게 구성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그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회전축(1222)에 구성되는 분쇄날(1224)과 제 2회전축(1223)에 구성되는 분쇄날(1224)은 서로 중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회전축(1222) 및 제 2회전축(1223)에 복수로 구성되는 분쇄날(1224)은 분쇄날(1224)의 폭만큼 서로 이격되며, 제 1회전축(1222) 및 제 2회전축(1223)의 분쇄날(1224)은 각각 서로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제 1회전축(1222) 및 제 2회전축(1223)의 분쇄날(1224)은 상호 간 중첩되는 구조를 갖을 수 있게 되는 바, 도 6에서와 같이 제 1회전축(1222)의 분쇄날(1224)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회전축(1223)의 분쇄날(1224)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상측으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는 가위의 작동원리와 같은 방식으로 잘게 자르는 방식으로 분쇄되어 그 하부에 배치되는 저장탱크(124)에 저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안내판(1225)은 한 쌍이 마련되는 것으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1회전축(1222) 및 제 2회전축(1223)의 양측에 각각 인접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구(112)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분쇄날(1224) 측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안내판(1225)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대칭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것으로, 그 일실시 예로 수직면부(1225-1) 및 경사면부(12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면부(1225-1)는 수직배치되는 판 형태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221)의 내주면에 볼트 및 너트(미도시)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면부(1225-2)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면부(1225-1)의 하부에서 절곡된 형태로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면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부(1225-2)에는 복수의 분쇄홈(1225-3)이 구성되어 상기 안내판(1225)이 몸체(1221)에 고정된 상태에서 복수의 분쇄날(1224)들이 상기 분쇄홈(1225-3)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면부(1225-2)와 분쇄날(1224)들이 서로 중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안내판(1225)의 경사면부(1225-2)와 분쇄날(1224)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투입구(112)를 통해 투입되어 낙하하는 음식물쓰레기들은 상기 분쇄날(1224) 측으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복수의 분쇄날(1224)과 분쇄홈(1225-3) 간 밀착되는 구조로 인해 음식물쓰레기의 분쇄작용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 1회전축(1222) 및 제 2회전축(122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각각의 분쇄날(1224)에 의한 분쇄작용과 그에 더해 각 분쇄날(1224)의 양측에서 안내판(1225)과의 분쇄작용이 구현될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분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펌프(132), 흡입관(134) 및 이송관(13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134)은 상기 저장탱크(124)와 상기 이송펌프(132)에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136)은 이송펌프(132)와 고액분리장치(300)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펌프(132)가 가동하게 되면 상기 저장탱크(124)에 저장된 분쇄부(120)에 의해 잘게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오수와 함께 흡입관(134)과 이송관(136)을 거쳐 상기 고액분리장치(300)로 이송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이어서, 상기 고액분리장치(300)는 이송관(136)을 통해 상기 분쇄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여 오수와 고형물로 각각 분리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하, 상기 고액분리장치(300)에 대해 도 7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고액분리장치(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 케이크배출부(320) 및 세척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310)는 개구부(3111)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여 고형물과 오수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310)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110), 여과망(3120) 및 이송스크류(3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3110)은 선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통형태로 마련되며, 그 선단부에는 케이크배출공(3112)이 형성되고, 후단 하면에는 오수배출구(3113)가 형성된다.
이때, 본 명세서에서 선측, 선단측이라 함은 도 8을 기준으로 케이크배출부(320)를 향하는 방향을 뜻하며, 후측, 후단측이라 함 역시 도 8을 기준으로 스크류모터(3132)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이어서, 상기 여과망(3120)은 상기 케이싱(3110)의 내주연과 일정간격을 유지한체로 이격되는 통형의 망체 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격부재(3123)에 의해 상기 케이싱(3110)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여과망(3120)의 형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통형태인 케이싱(3110)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여과망(3120)을 기준으로 그 내측에는 제 1공간부(3121)가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제 2공간부(3122)가 형성되게 된다.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스크류(3130)는 상기 제 1공간부(3121)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싱(3110)의 후단 외측에 배치되는 스크류모터(3132)와 연결되어 스크류모터(3132)의 구동에 연동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3130)에는 스크류형태로 마련되는 스크류날개(3131)가 구성되되, 상기 스크류날개(3131)는 그 외주연이 상기 여과망(3120)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 1공간부(3121)에 유입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이송스크류(3130)가 회전함에 따라 선단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통형인 여과망(3120)이 선단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이송스크류(3130)가 회전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는 스크류날개(3131)의 피치 간 간격에 위치한 상태로 선단측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되며, 선단측으로 갈수록 제 1공간부(3121)의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구조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선단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압착되면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는 여과망(3120)을 통과하여 제 2공간부(3122)로 배출되게 되고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고형물은 상기 본체(310) 선단측에 마련된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케이크 형태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수배출구(3113)는 상기 제 2공간부(3122)와 연통구조로 마련되며, 그 선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상기 케이싱(3110)의 후단 하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제 2공간부(3122)로 압착되어 배출되는 오수가 자연유하 방식으로 상기 오수배출구(3113)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311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에 형성되어 개구부(3111)를 통해 제 1공간부(3121)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개구부(3111)는 제 1개구(3111-1) 및 제 2개구(31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 1개구(3111-1)는 상기 케이싱(3110)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 2개구(3111-2)는 상기 케이싱(3110)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개구부(3111)가 제 1개구(3111-1) 및 제 2개구(3111-2)로 두 개 마련되는 이유로는 상기 분쇄장치(10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본체(310) 내부로 유입됨에 있어 상기 이송펌프(132)에 의해 일정압력을 갖고 토출되는 방식으로 공급되는 경우 상하폭 보다 좌우폭이 크게 형성되는 본체(310) 내측을 향해 후단에서 선단측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함이 고액분리의 처리효율이 향상되는 바, 이 경우 케이스 후단에 형성되는 제 1개구(3111-1)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도록함이 적합할 수 있으며, 음식물쓰레기가 하수관(미도시)을 통해 자연배수 방식으로 본체(310) 내측에 유입되는 경우 케이싱(3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 2개구(3111-2)를 통해 유입되도록 함이 적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는 조건에 따라 제 1개구(3111-1) 및 제 2개구(3111-2)를 동시에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제 2개구(3111-2)는 폐쇄된 상태에서 제 1개구(3111-1)만 형성시켜 장치를 운용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서와 같이 본체(310)를 2개 이상 동시에 설치하여 장치의 고액분리 처리 능력 및 효율이 배가되도록 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세척수단(3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탱크(3310) 및 세척펌프(33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세척탱크(3310)는 상기 본체(310)의 오수배출구(3113)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도록 밀폐된 수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탱크(3310)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수위감지센서(3311)를 구비하여 오수의 수위가 일정량 확보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일측에 오버수배출관(3312)을 마련하여 세척탱크(3310)에 일정량 이상의 오수가 확보되면 오버수배출관(3312)을 통해 자연 배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펌프(3320)는 상기 세척탱크(3310)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펌프(3320)를 가동시키면 상기 세척탱크(3310) 내부에 저장된 오수가 세척수공급관(3321)을 통해 상기 개구부(3111)로 토출됨으로써, 상기 본체(310) 내측에 구성되는 여과망(3123)을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과망(3123)에는 다수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되는 바, 토출되는 오수에 의해 고액분리과정에서 통공에 끼인 이물질들을 제거함으로써, 고액분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토출되는 오수가 상하폭 보다 좌우폭이 크게 형성되는 본체(310) 내측을 향해 후단에서 선단측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함이 그 세척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바, 상기 세척수공급관(3321)은 상기 제 1개구(3111-1)(도 8참조)에 연결되도록 하여 세척수로서의 오수가 본체 후단측에서 선단측을 향해 강한 수압으로 공급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개구(3111-2)는 자연배수 방식으로 본체(310) 내측에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개구부(3111)의 일 구성인 것으로, 본체(310) 내부의 세척을 위해 상기 세척탱크(3310) 내부에 저장된 오수가 세척수공급관(3321)을 통해 제 1개구(3111-1)로 투입될 때, 토출되는 수압에 의해 상기 제 2개구(3111-2) 역류할 수 있는 바, 상기 제 2개구(3111-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식 채크밸브(3111-2a)를 마련하여 제 2개구(3111-2)를 통해 본체 내측으로 음식물쓰레기의 유입은 가능하나 본체(310)의 오수가 제 2개구(3111-2)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고액분리장치의 일 구성인 상기 케이크배출부(3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크배출부(320)는 가압가이드(3210), 가압부재(3220), 가압로드(3230) 및 가압수단(3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압가이드(32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211) 및 가이드부(3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3211)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태로 마련되며 그 외주연이 상기 케이크배출공(3112)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되는 것으로, 도 10에서와 같이 외주연에는 복수의 요철(3211a)을 마련하여 상기 본체(310)와의 결속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321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211)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반원 관형태로 마련하여 하부에는 개방구(3213)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배출되는 케이크 형태의 고형물이 상기 개방구(3213)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3211)에는 그 후단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공간부(3121) 측으로 그 일부가 연장되는 깔때기 형상의 확관부(3214)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깔때기 형상의 확관부(3214)에 의해 상기 제 1공간부(3121)로부터 압착되어 배출되는 모든 고형물이 상기 가압가이드(3210)로 무리없이 가이드되어 진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재(32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연이 상기 가이드부(3212)의 내주연에 밀착 배치된 상태로 구성되므로 도 11a에서와 같이 선단측 방향으로의 전진 및 도 11b에서와 같이 후단측 방향으로의 후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가압로드(3230)는 도 10 등에서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3220)에 그 일단이 결합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가압부재(3220)의 선단측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수단(3240)은 상기 가압로드(32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322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로 인해 상기 가압부재(3220)는 케이크배출공(3112)을 향해 가압력을 갖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가압부재(3220)가 케이크배출공(3112)을 향해 가압력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평상시 즉, 이송스크류(3130)의 비가동시에서는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3220)에 의해 상기 케이크배출공(3112)이 폐쇄되고,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3130)의 회전시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220)가 선단측으로 밀리면서 케이크화된 고형물은 상기 개방구(3213)를 통해 낙하하면서 배출될 수 있고, 압출작용이 끝나게 되면 다시 도 11b에서와 같이 가압부재(3220)에 의해 케이크배출공(3112)이 폐쇄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3220)에 상시적으로 가압력이 작용하여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에 의해 가압부재(3220)가 선단측으로 밀려났다가 압출작용이 완화되면 다시 상시 가압력을 갖는 가압부재(3220)에 의해 케이크배출공(3112)이 폐쇄되는 방식으로 상기 케이크배출공(3112)의 개폐를 자동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32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3221) 및 가압부(32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3221)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심부에 상기 가압로드(3230)의 일단이 결합되는 것으로, 그 양측에는 가이드돌기(3221a)가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부(3212)의 양측 하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가압부재(3220)의 전진(도 11a 참조) 및 후진(도 11b 참조)시 가이드 역할을 하여 가압부재(3220)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전후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3212)는 하부가 절개된 반원의 관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돌기(3221a)가 가이드부(3212) 상에서 전진(도 11a 참조) 및 후진(도 11b 참조)이 가능할 수 있으나, 상기 고정부(3211)는 도 10에서와 같이 완전한 관형태로 이뤄지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돌기(3221a)는 그 후단 측 진행시 상기 고정부(3211)에 차단되어 그 진행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가압로드(3230)에 더 큰 압력이 작용하여 가압부재(3220)를 후단측으로 가압하더라도 가이드판(3221)은 상기 고정부(3211)까지만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가압부재(3220)가 상기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과하여 제 1공간부(3121)측으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판은 경도가 큰 금속재질로 마련되도록 하여 양측의 가이드돌기(3221a)가 상기 고정부(3211)에 차단되어 그 진행이 제한됨에 있어 고정부(3211)를 향하는 압력이 크게 작용하더라도 가이드돌기(3221a)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버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3222)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면이 하단부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는 경사면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이송스크류(3130)의 회전시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220)가 선단측으로 밀리면서 케이크화된 고형물은 경사면을 갖는 가압부(3222) 구조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측 낙하방향으로 유도됨에 따라 고형물이 케이크배출공(3112) 머물지 않아 고형물에 의해 케이크배출공(311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형물 배출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3222)의 재질은 고무재질로 마련하여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압출되는 고형물에 가압부재(3220)가 선단측으로 밀림에 있어 어느정도의 탄성작용을 유발하여 고형물의 하방향 낙하가 보다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기 가압수단(3240)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상기 실시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3240)은 가압로드(3230)를 통해 상기 가압부재(3220)에 압력을 제공하여 가압부재(3220)가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에 의해 전진하였다가 가압부재(3220)의 압력에 의해 후진하면서 케이크배출공(3112)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나, 상기 본체(310) 내부의 세척을 위해 상기 세척수단(330)의 세척펌프(3320)가 작동할 경우 상기 가압부재(3220)에는 케이크배출공(3112)에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 보다 더욱 큰 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세척수단(330)의 작동시 상기 케이크배출공(3112)을 폐쇄하기 위해 가압부재(3220)에는 더욱 큰 압력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케이크배출부(320)를 통해 케이크수거부(321)에 저장되는 케이크는 건조 등의 공정을 거쳐 퇴비 등의 자원화 원료로 회수되도록 구성되는 바, 세척수단(330)에 의한 본체(310) 내부의 세척시 강한 압력으로 본체(310)의 후단에서 선단측으로 토출되는 오수의 압력에 못이겨 상기 가압부재(3220)가 전진하여 케이크배출공(3112)이 개방될 경우 자원화 원료에 오수가 유입되어 이후 공정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 있게 되므로, 이를 방지토록 하기 위해 상기 세척수단(330)의 세척펌프(3320) 가동시 상기 가압수단(3240)에서는 상기 가압부재(3220)에 더 큰 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크배출공(3112)의 개방을 완전히 차단하여 오수가 케이크수거부(321)로 누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제어하도록 구성시킴이 타당하다.
상기 가압수단(3240)은 상기 가압부재(3220)를 가압함에 있어 가압로드(3230)에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에 의해 전진하였다가 다시 후진하면서 케이크배출공(3112)을 폐쇄하도록 하는 제 1압력 또는 세척펌프(3320) 가동시 상기 제 1압력보다 더 큰 압력인 제 2압력이 가해지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가압수단(3240-1)은 제 1실시 예로써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몸체(3241), 제 1기어(3242) 및 제 2기어(324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몸체(3241)는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로드(3230)와 결합되어 하나의 실린더구조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 상기 가압로드(3230)에 제 1압력이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 1압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에 의해 가압부재(3220)가 선단측으로 밀려났다가 압출작용이 완화되면 다시 케이크배출공(3112)을 폐쇄시킬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을 뜻한다.
일례로써, 상기 실린더몸체(3241) 및 가압로드(3230)는 하나의 실린더구조를 이루되, 그 일례로써, 실린더몸체(3241) 내부에 유입된 가스에 의해 상시적으로 상기 가압로드(3230)에 제 1압력이 제공될 수 있는 가스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기어(3242)는 상기 실린더몸체(3241)에 일체로 결합되어 그 길이방향이 상기 가압로드(323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크기어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기어(3243)는 도 13a 내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기어(3242)와 맞물린 상태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수단(3244)의 구동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기어(3242)의 전후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3a에서와 같이 도면 상 상기 제 2기어(3243)의 반시계방향 회전시 상기 제 1기어(3242)가 선단측으로 전진하면서 그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기 실린더몸체(3241) 역시 선단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3220)에는 제 1압력이 제공될 수 있게 되는 반면, 도 13b에서와 같이 도면상 상기 제 2기어(3243)의 시계방향 회전시 상기 제 1기어(3242)가 후단측으로 후진하면서 그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기 실린더몸체(3241)는 후단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3220)에는 제 1압력보다 큰 제 2압력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압력은 상기 세척수단(330)이 작동하여 토출되는 오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보다 큰 즉, 이를 저항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을 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몸체(3241)에는 제 1압력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기어(3242)와 제 2기어(3243)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몸체(3241)가 후단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 1압력보다 큰 제 2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도면에서와 같이 실린더몸체(3241)가 후단측으로 이동하여 실린더몸체(3241)의 후단부가 가압로드(3230)의 후단측으로 밀착되면서 제 2압력이 제공될 수 있게 되며, 제 2압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세척수단(330)이 작동하여 상기 가압부재(3220)에는 케이크배출공(3112)에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 보다 더욱 큰 압력이 제 1공간부(3121)로부터 케이크배출공(3112) 측으로 작용하더라도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몸체(3241)와 일체로 결합되는 제 1기어(3242)가 제 2기어(3243)에 치합된 상태이므로 가압부재(3220)의 유동이 완벽히 제한되므로 본체(310) 세척시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음식물쓰레기의 고액분리시 상기 가압부재(3220)에 자동으로 제 1압력이 부여되고 상기 세척수단(330)에의한 본체(310) 내부 세척시 상기 가압부재(3220)에 자동으로 제 2압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구성할 수 있는 바, 이를 구현하기 위해 세척수단(330)에는 스위칭부(3245), 제 1리미트(3246), 제 2리미트(3247), 제 1컨트롤러(3248), 제 1자동제어부(3249)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3245)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기어(3242)에 일체로 결합되어 제 1기어(3242)의 전후진시 그에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리미트(3246) 및 제 2리미트(3247)는 상기 스위칭부(3245)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전후진 하는 상기 스위칭부(3245)가 각 최대지점에 도달 할시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3a에서와 같이 상기 제 1기어(3242)가 최대 전진할 경우 스위칭부(3245)는 제 1리미트(3246)에 접촉되고,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제 1기어(3242)가 최대 후진할 경우 스위칭부(3245)는 제 2리미트(3247)에 접촉되게 된다.
상기 제 1컨트롤러(3248)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3244), 스위칭부(3245), 제 1리미트(3246) 및 제 2리미트(3247)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1기어(3242)가 선단측으로 전진하여 상기 스위칭부(3245)가 상기 제 1리미트(3246)에 접촉되면 제 5신호를 송출하면서 상기 구동수단(3244)의 구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컨트롤러(3248)는 상기 제 1기어(3242)가 후단측으로 후진하여 상기 스위칭부(3245)가 상기 제 2리미트(3247)에 접촉되면 제 6신호를 송출하면서 상기 구동수단(3244)의 구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자동제어부(3249)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컨트롤러(3248) 및 세척펌프(3320)와 연결되어 제 1컨트롤러(3248)로부터 제 5신호 또는 제 6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세척펌프(3320)의 ON, OFF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자동제어부(3249)에서는 상기 제 1컨트롤러(3248)로부터 제 5신호가 수신되면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고형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가압부재(3220)에 제 1압력이 부여된 것으로서, 세척펌프(3320)의 구동을 OFF시켜 고액분리작용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1자동제어부(3249)에서는 상기 제 1컨트롤러(3248)로부터 제 6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가압부재(3220)에 제 2압력이 부여된 것으로서, 상기 세척펌프(3320)의 구동을 ON시켜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한 누수 없이 본체(310) 내부에 대한 세척작용이 이뤄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제 1자동제어부(3249)에서는 상기 세척탱크(3310)에 마련된 수위감지센서(3311)와도 연결하여 세척탱크(3310)내 오수의 수위가 일정량 확보되었을 때에만 상기 세척펌프(3320)의 가동이 ON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제 1자동제어부(3249)에서 제 1컨트롤러(3248)를 제어하도록 하여 일정시간 마다 상기 제 1컨트롤러(3248)에서 상기 제 1기어(3242)를 후단측으로 후진시켜 제 6신호가 송출되도록 설정하여 설정시간마다 본체(310) 내부가 자동 세척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자동제어부(3249)에는 수위감지부(3125) 및 스크류모터(3132)가 더 연결될 수 있는 바, 상기 수위감지부(3125)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310)의 제 1공간부(3121)에 배치되는 것으로, 본체(310)의 세척작용시 수위감지부(3125)로부터 제 1공간부(3121)에 일정량 이상의 수위가 감지되면 제 1자동제어부(3249)에서는 상기 스크류모터(3132)를 구동시켜 이송스크류(3130)를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데, 이는 상기 여과망(3120)에 다수 형성되는 통공(미도시)이 슬러지 등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면 세척탱크(3310)로부터 토출되는 오수가 여과망(3120)을 통해 제 1공간부(3121)에서 제 2공간부(3122)로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 1공간부(3121)에 수위가 상승하여 수위감지부(3125)에서 이를 인지한 신호를 제 1자동제어부(3249)에 전달하고 제 1자동제어부(3249)에서는 이송스크류(3130)를 회전시킴으로써, 여과망(3120)을 막은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제 1공간부(3121)의 오수가 제 2공간부(3122)로 배출되면서 세척작용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압수단(3240-2)의 제 2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압수단(3240-2)은 실린더부(3251), 압축기(3252) 및 공압제어부(325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부(3251)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로드(3230)와 결합되어 하나의 실린더구조를 이뤄 상기 가압로드(3230)에 압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3252)는 실린더부(3251)에 공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압축기(3252)의 일례로써, 에어 콤프레셔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공압제어부(3253)는 상기 실린더부(3251)와 압축기(325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기(3252)로부터 상기 실린더부(3251)에 제공되는 공압을 제 1압력 또는 제 2압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압력은 상기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에 의해 가압부재(3220)가 선단측으로 밀려났다가 압출작용이 완화되면 다시 케이크배출공(3112)을 폐쇄시킬 수 있는 정도의 압력을 뜻하며, 상기 제 2압력은 제 1압력보다 큰 압력으로서, 상기 세척수단(330)이 작동하여 토출되는 오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보다 큰 압력을 뜻하게 된다.
즉, 상기 공압제어부(3253)에서는 이송스크류(3130)가 회전하여 고형물과 오수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가압로드(3230)에 제 1압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가압로드(3230)에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에 의해 전진하였다가 다시 후진하면서 케이크배출공(3112)을 폐쇄하도록 할 수 있게 되고, 세척펌프(3320) 가동시 가압로드(3230)에 제 2압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본체(310)로 투입되는 오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220)가 밀려나 케이크배출공(3112)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도 음식물쓰레기의 고액분리시 상기 가압부재(3220)에 자동으로 제 1압력이 부여되고 상기 세척수단(330)에의한 본체(310) 내부 세척시 상기 가압부재(3220)에 자동으로 제 2압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구성할 수 있는 바,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 2자동제어부(3254)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자동제어부(3254)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제어부(3253) 및 세척펌프(3320)와 연결될 수 있는 바, 상기 공압제어부(3253)에 의해 제 1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해 고형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가압부재(3220)에 제 1압력이 부여된 것으로서, 세척펌프(3320)의 구동을 OFF시켜 고액분리작용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제 2자동제어부(3254)에서는 상기 공압제어부(3253)에 의해 제 2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세척펌프(3320)의 구동을 ON시켜 케이크배출공(3112)을 통한 누수 없이 본체(310) 내부에 대한 세척작용이 이뤄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자동제어부(3254)에는 상기 수위감지부(3125) 및 스크류모터(3132)가 더 연결될 수 있는 바, 상기 수위감지부(3125)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310)의 제 1공간부(3121)에 배치되는 것으로, 본체(310)의 세척작용시 수위감지부(3125)로부터 제 1공간부(3121)에 일정량 이상의 수위가 감지되면 제 2자동제어부(3254)에서는 상기 스크류모터(3132)를 구동시켜 이송스크류(3130)를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데, 이는 상기 여과망(3120)이 슬러지 등 이물질에 의해 막히게 되면 세척탱크(3310)로부터 토출되는 오수가 여과망(3120)을 통해 제 1공간부(3121)에서 제 2공간부(3122)로 배출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 1공간부(3121)에 수위가 상승하여 수위감지부(3125)에서 이를 인지한 신호를 제 2자동제어부(3254)에 전달하고 상기 제 2자동제어부(3254)에서는 자동으로 이송스크류(3130)를 회전시킴으로써, 여과망(3120)을 막은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제 1공간부(3121)의 오수가 제 2공간부(3122)로 배출되면서 세척작용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310)의 구조는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통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음식물쓰레기가 고형물과 오수로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음식물쓰레기는 개구부를 통해 제 1공간부(3121)에 유입된 후, 1차적으로 오수는 여과망(3120)을 통과해 제 2공간부(3122)로 배출되어 탈수작용이 이뤄지게 된다.
그후, 어느 정도의 오수가 탈수된 음식물쓰레기는 제 1공간부(3121) 내측에서 이송스크류(3130)에 의해 선단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직경이 좁아지는 본체(310)의 여과망(3120) 구조에 의해 압축되면서 2차적 탈수작용이 작용함과 아울러 고형물이 압축되면서 케이크화가 진행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스크류(3130)의 선단부에는 배출부재(3134)가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부재(3134)는 이송스크류(3130)가 회전함에 따라 그에 연동하여 선단측의 이송되는 고형물을 케이크배출공(3112)으로 압출시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부재(3134)는 그에 마주본채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배출부재(3134)를 향해 가압력을 갖는 가압부재(3220)를 선단측으로 밀어내면서 케이크화된 고형물을 본체(3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본체(310)에서는 탈수작용과 압축작용 그리고 압출작용이 순서대로 진행되면서 고액분리가 이뤄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 18은 상기 배출부재(3134)를 선단측에서 바라보는 정면도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재(3134)는 하나 이상의 배출돌기를 마련하여 제 1공간부(3121)에서 이송스크류(3130)에 의해 선단측으로 이송된 고형물을 그 중심부로 이동시켜 고형물을 잘개 부수면서 압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배출부재(3134)는 도면에서와 같이 제 1배출돌기(3134-1), 제 2배출돌기(3134-2), 제 3배출돌기(3134-3), 제 4배출돌기(3134-4) 및 제 5배출돌기(313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배출돌기 내지 제 4배출돌기(3134-1,3134-2,3134-3,313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판형태로 상기 가압부재(3220)를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 제 1배출돌기(3134-1)와 제 3배출돌기(3134-3), 그리고 제 2배출돌기(3134-2)와 제 4배출돌기(3134-4)는 각각 배출부재(3134)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 1배출돌기(3134-1)와 제 3배출돌기(3134-3)는 배출부재(3134)의 테두리측에 배치되는 것이고, 상기 제 2배출돌기(3134-2)와 제 4배출돌기(3134-4)는 배출부재(3134)의 중심과 테두리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배출돌기 내지 제 4배출돌기(3134-1,3134-2,3134-3,3134-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각도a 만큼의 기울기가 형성되되, 각도a는 이송스크류(3130)가 회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그 후미쪽이 내측으로 기울어진 각도인 것으로, 제 1배출돌기 내지 제 4배출돌기(3134-1,3134-2,3134-3,3134-4)가 상기와 같은 각도로 형성됨으로써, 이송스크류(3130) 및 그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배출부재(3134)가 회전하면서 도면에서와 같이 외곽의 고형물이 각도a를 갖는 제 1배출돌기 내지 제 4배출돌기(3134-1,3134-2,3134-3,3134-4)에 부딪히면서 배출부재(3134)의 중심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결국 제 1공간부(3121) 내의 고형물들은 모두 케이크배출공(3112)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5배출돌기(3134-5)는 상기 배출부재(3134)의 중심에 배치되되, 상기 제 1배출돌기 내지 제 4배출돌기(3134-1,3134-2,3134-3,3134-4) 보다 높게 돌출되어 상기 가압부재(3220)와 맞닿게 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판 형태가 꽈배기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배출돌기 내지 제 4배출돌기(3134-1,3134-2,3134-3,3134-4)에 의해 배출부재(3134)의 중심부로 이동한 고형물들은 꽈배기 형태로 돌출되는 제 5배출돌기(3134-5)의 구조적인 이유에 의해 선단측 즉, 케이크배출공(3112)측으로 이송되어 압출될 수 있게 된다.
즉, 고형물은 배출부재(3134)가 회전함에 따라 제 1배출돌기 내지 제 4배출돌기(3134-1,3134-2,3134-3,3134-4)에 안내되어 배출부재(3134)의 중심부로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되고, 배출부재(3134)의 중심부로 이동한 고형물은 제 5배출돌기(3134-5)에 의해 케이크배출공(3112)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분쇄장치(100)가 일정구역마다 하나씩 다수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 배치되는 분쇄장치(100)는 각각 이송관(136)을 통해 하나의 고액분리장치와 연결되도록 하여 장치를 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각각의 분쇄장치(100)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투입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분쇄하고, 분쇄처리된 음식물쓰레기는 이송관(136)을 통해 중앙의 고액분리장치로 집하처리하여 고액분리하여 함수율이 낮아진 고형물을 자원화 원료로 회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분쇄장치 110 : 본체케이싱
112 : 투입구 120 : 분쇄부
130 : 이송부 132 : 이송펌프
300 : 고액분리장치 310 : 본체
320 : 케이크배출부 321 : 케이크수거부
330 : 세척수단 3111 : 개구부
3112 : 케이크배출공 3113 : 오수배출구
3120 : 여과망 3130 : 이송스크류
3210 : 가압가이드 3220 : 가압부재
3230 : 가압로드 3240 : 가압수단
112 : 투입구 120 : 분쇄부
130 : 이송부 132 : 이송펌프
300 : 고액분리장치 310 : 본체
320 : 케이크배출부 321 : 케이크수거부
330 : 세척수단 3111 : 개구부
3112 : 케이크배출공 3113 : 오수배출구
3120 : 여과망 3130 : 이송스크류
3210 : 가압가이드 3220 : 가압부재
3230 : 가압로드 3240 : 가압수단
Claims (13)
-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장치; 및
상기 분쇄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고액분리시키는 고액분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고액분리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고 선단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선단부에 케이크배출공이 후단 하면에 오수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는 망체구조로 구성되어 그 내측에는 제 1공간부를 그 외측에는 제 2공간부가 형성되는 여과망과, 상기 제 1공간부에 배치되며 스크류날개가 상기 여과망에 밀착된 상태로 스크류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고형물을 상기 케이크배출부측으로 이송 및 배출시키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하여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함수슬러지에서 고형물과 오수를 분리 배출하는 본체;
그 외주연이 상기 케이크배출공의 내주연에 밀착 고정되는 관형태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개방구가 형성되는 반원 관형태의 가이드부 및 상기 고정부의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확관부를 포함하는 가압가이드와, 그 외주연이 상기 가이드부의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선단과 후단측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압부재와, 일단이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가압부재의 선단측을 향해 소정길이 연장되는 가압로드와, 상기 가압로드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가압로드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선단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케이크 형태로 배출되는 고형물을 케이크수거부로 전달하는 케이크배출부; 및
상기 오수배출구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오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가 마련되는 세척탱크와, 상기 세척탱크에 저장된 오수를 상기 개구부로 토출시켜 상기 본체 내측이 세척되게 하는 세척펌프를 포함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이송스크류의 비가동시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크배출공이 폐쇄되고, 이송스크류의 회전 가동시 케이크배출공을 통해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가 선단측으로 밀리면서 케이크화된 고형물이 상기 개방구를 통해 낙하하여 배출되고, 압출작용이 종료되면 다시 가압부재에 의해 케이크배출공이 폐쇄되게 하되,
상기 가압부재는,
중심부에 상기 가압로드의 일단이 결합되며 그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양측 하면에 밀착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후측 진행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후단측에 결합되며 외주연이 상기 가압가이드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후면이 하단부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는 상광하협 형태의 경사면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압로드에 결합되는 실린더 구조를 갖는 실린더몸체와, 상기 실린더몸체에 일체로 결합되어 그 길이방향이 상가 가압로드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레크 구조를 가지는 제 1기어와, 상기 제 1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기어의 전,후진을 제어하는 제 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기어의 반시계방향 회전시 상기 제 1기어가 선단측으로 전진하면서 그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기 실린더몸체가 선단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에 제 1압력이 제공되고, 상기 제 2기어의 시계방향 회전시 상기 제 1기어가 후단측으로 후진하면서 그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기 실린더몸체가 후단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부재에 제 1압력보다 큰 제 2압력이 제공되며,
제 1압력은 케이크배출공을 통해 압출되는 고형물의 압력에 의해 가압부재가 선단측으로 밀려났다가 압출작용이 완화되면 다시 케이크배출공이 폐쇄될 정도의 압력이고, 제 2압력은 세척수단이 작동하여 토출되는 오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보다 큰 압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장치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케이싱;
상기 본체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부; 및
상기 본체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쇄부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이송관을 통해 상기 고액분리장치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수단; 및
상기 분쇄수단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수단은
상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 1회전축;
상기 제 1회전축과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연동수단에 의해 상기 제 1회전축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2회전축;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에 각각 복수로 구성되는 분쇄날; 및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의 양측에 각각 인접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로 투입되어 낙하하는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분쇄날 측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수단은
상기 제 1회전축에 결속되는 제 1회전기어; 및
상기 제 2회전축에 결속되며 상기 제 1회전기어와 맞물리는 제 2회전기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은
최외각의 반지름이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 간 이격된 거리 보다 작되,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 간 이격된 거리의 1/2보다 크고,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에 복수로 구성되는 상기 분쇄날은 분쇄날의 폭만큼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의 분쇄날은 각각 서로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은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대칭구조로 마련되되,
상기 몸체에 고정되는 수직면부; 및 상기 수직면부의 하부에서 절곡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면 구조를 이루는 경사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부는 상기 분쇄날이 통과하는 분쇄홈이 마련되어 상기 분쇄날은 상기 분쇄홈에 배치되어 상기 경사면부와 중첩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7891A KR102260310B1 (ko) | 2020-08-26 | 2020-08-26 |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7891A KR102260310B1 (ko) | 2020-08-26 | 2020-08-26 |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0310B1 true KR102260310B1 (ko) | 2021-06-03 |
Family
ID=7639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7891A KR102260310B1 (ko) | 2020-08-26 | 2020-08-26 |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031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54637A (zh) * | 2022-09-16 | 2022-11-18 | 江苏水工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水面垃圾清理装置 |
KR102681657B1 (ko) * | 2023-06-13 | 2024-07-04 | 김경식 | 음식물류폐기물 고액분리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08320A (ko) * | 1998-02-16 | 1998-04-30 | 임병주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KR19990034333U (ko) * | 1998-01-17 | 1999-08-25 | 이재우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KR200375513Y1 (ko) * | 2004-11-06 | 2005-03-11 | 허상철 | 파쇄기 |
KR200391893Y1 (ko) | 2005-05-24 | 2005-08-09 | (주) 서진이엔지 | 스크류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
KR100817607B1 (ko) * | 2007-10-08 | 2008-03-31 | 이은관 |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장치 |
-
2020
- 2020-08-26 KR KR1020200107891A patent/KR1022603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4333U (ko) * | 1998-01-17 | 1999-08-25 | 이재우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
KR980008320A (ko) * | 1998-02-16 | 1998-04-30 | 임병주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KR200375513Y1 (ko) * | 2004-11-06 | 2005-03-11 | 허상철 | 파쇄기 |
KR200391893Y1 (ko) | 2005-05-24 | 2005-08-09 | (주) 서진이엔지 | 스크류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
KR100817607B1 (ko) * | 2007-10-08 | 2008-03-31 | 이은관 |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54637A (zh) * | 2022-09-16 | 2022-11-18 | 江苏水工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水面垃圾清理装置 |
CN115354637B (zh) * | 2022-09-16 | 2024-02-13 | 江苏水工建设集团有限公司 | 一种水面垃圾清理装置 |
KR102681657B1 (ko) * | 2023-06-13 | 2024-07-04 | 김경식 | 음식물류폐기물 고액분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2000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2260310B1 (ko) | 음식물쓰레기 외부투입 및 처리장치 | |
KR20150129281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CN108867782B (zh) | 一种厨房垃圾处理装置 | |
US6733663B1 (en) | Waste water treatment washer compactor system | |
KR101425904B1 (ko) | 음식물 처리장치 | |
CN109226178A (zh) |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 |
KR100984764B1 (ko) |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음식물쓰레기 이물질분리기 | |
CN111054724A (zh) | 一种微型厨余垃圾处理装置 | |
KR102202951B1 (ko) | 자동 세척기능이 구비된 고액분리장치 | |
CN113943053A (zh) | 一种生活污水处理装置 | |
KR100753808B1 (ko) | 음식물찌꺼기 건조 처리장치 | |
CN113731565A (zh) | 用于垃圾处理的压榨预破碎设备 | |
CN110155613B (zh) | 一种餐厨垃圾管链传输线及使用该餐厨垃圾管链传输线的餐厨垃圾处理系统 | |
CN216095520U (zh) | 一种厨房垃圾处理设备 | |
JPH022439Y2 (ko) | ||
KR100821554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CN209773046U (zh) | 一种餐厨垃圾处理系统 | |
KR200197006Y1 (ko) |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수거장치 | |
KR102659228B1 (ko) | 공동주택의 음식물류폐기물 집중처리시스템 | |
KR102639621B1 (ko) | 공동주택의 음식물류폐기물 집중처리시스템 | |
KR200356326Y1 (ko) | 음식물 처리장치 | |
KR101760105B1 (ko) | 음식물 처리 장치 | |
KR0119046Y1 (ko) | 탈수기 | |
CN221864111U (zh) | 一种猫砂盆自动清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