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069Y1 - 마루바닥재 - Google Patents

마루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069Y1
KR200284069Y1 KR2020020013177U KR20020013177U KR200284069Y1 KR 200284069 Y1 KR200284069 Y1 KR 200284069Y1 KR 2020020013177 U KR2020020013177 U KR 2020020013177U KR 20020013177 U KR20020013177 U KR 20020013177U KR 200284069 Y1 KR200284069 Y1 KR 200284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material
wood
elastic member
plate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창
Original Assignee
김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창 filed Critical 김수창
Priority to KR2020020013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069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진 마루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부재를 내장하여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고, 열전도를 좋게하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마루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장방형의 목재로 된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바닥면에는 일정깊이로 바닥면의 일부를 제거한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판형상이고 판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에 접착재로 접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상기 목재의 일측면 중앙부에 다른 마루바닥재의 홈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일정한 두께의 돌기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중앙부는 다른 마루바닥재의 돌출부를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루바닥재{FLOOR BOARD}
본 고안은 목재로 이루어진 마루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탄성부재를 내장하여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고, 열전도를 좋게하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마루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마루바닥재는 제품의 특징에 따라 원목마루와 합판마루, 그리고 강화마루로 분류된다.
원목마루는 표면은 2~5mm의 원목으로 되어있고 내부는 나왕이나 미송등의 원목을 1~7겹을 합판형태로 붙여 만든것이며, 합판마루는 5~7겹의 내수합판 위에 원목마루보다 얇은 0.5~2mm 두께의 단판을 붙인 제품으로 표면을 UV(ultraviolet)에 의하여 경와되는 합성수지로 코팅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온돌마루라 불리기도 한다. 또한 강화마루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를 소재로 하고 표면을 HPL(High Pressure Laminate)이나 LPL(Low Pressure Laminate)로 처리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루바닥재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재료가 복수층으로 접착되어 일정한 높이로 적층되고, 일측 옆면에는 돌출부(40)가 형성되고 타측 옆면에는 결합홈(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마루바닥재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난방용 파이프가 매설되어 있는 온돌콘크리트나, 실내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의 면을 매끄럽고 평형이 되도록 작업한 후에, 바닥면에 소정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마루바닥재를 접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마루바닥재는 상기 돌출부(40)와 결합홈(5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를 결합시켜 시공되는 위치에 따라 복수개 연결하여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마루바닥재는 마루바닥재와 마루바닥이 전면에서 접촉하고 있어서 마루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그대로 마루바닥에 전달하기 때문에 소음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아파트와 같은 주거공간에서 윗층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직접 아래층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마루바닥재는 전체가 목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돌바닥에 시공될 경우 열전도율이 낮아 난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루바닥재는 하부면이 매끄러워서 시공전에 설치면을 매끄럽게 하지 않으면, 수명을 맞추기가 어려워서, 시공전에 설치면을 매끄럽게 전처리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고, 충격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마루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열전도율이 높아서 난방효율을 높이고, 시공전 설치바닥을 매끄럽게 전처리하지 않아도 되는 마루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바닥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마루바닥재의 분해사시도
도4는 종래의 조립식 마루바닥재
도5는 종래의 조립식 마루바닥재를 시공한 상태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코팅층 11 상부판
12 중간판 13 하부판
20 고무층 21 팽창공간
22 장착홈 30 관통구멍
35 원적외선 방사부재 40 돌출부
50 결합홈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장방형의 목재로 된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바닥면에는 일정깊이로 바닥면의 일부를 제거한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판형상이고 판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에 접착재로 접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상기 목재의 일측면 중앙부에 다른 마루바닥재의 홈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일정한 두께의 돌기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중앙부는 다른 마루바닥재의 돌출부를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상기 목재가 상기 홈과 돌출부를 갖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 상면에 접착된 상부판과, 상기 중간판 하면에 접착된 하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요홈부는 상기 하부판과 상기 중간판에 결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단면이 목재에 접착된 부분으로부터 마루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상기 원적외선을 발출하는 부재가, 옥, 맥반석, 게르마늄석, 숯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상기 목재의 설치되는 저면에 대향되는 표면에 무늬목 또는 UV(ultravioate)코팅층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마루바닥재이고, 도2는 도1의 'A-A'의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마루바닥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설치되는 바닥에 접착되는 하부판(13)과, 상기 하부판(13)에 접착된 중간판(12)과, 상기 중간판(12)에 접착된 상부판(11)과, 상기 상부판(11)에 코팅처리된 코팅층(1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옆면의 일측에는 돌출부(4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홈(50)이 다른 마루바닥재와 요철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판(13), 중간판(12) 및 하부판(13)은 원목 또는 합판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3층의 판 구조로 되지 않고, 일체로 된 원목을 가공하거나, MDF 소재로 성형하여 만들수도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의 특징은 설치면에 접착되는 상기 하부판(13)의 바닥면의 일부가 제거되어 일정깊이로 장착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홈(22)에는 탄성부재(20)가 접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20)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멍(3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마루바닥재가 상부판(11), 중간판(12), 하부판(13)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각 층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저면에 상기 의 장착홈(22)을 일정깊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20)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탄성을 가진 천연고무나 우레탄을 사용한다. 또한 페타이어를 이용한 재생고무로도 만들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장착홈(22)의 깊이와 같은 두께로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22)은 하부판(13)을 관통하여 중간판(12)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나, 하부판(13)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0)는 외부의 하중이나 열에 의하여 변형하거나 팽창될 수 있으므로, 장착홈(22)은 탄성부재(20)보다 조금 크게 형성하여, 가장자리에 팽창공간(21)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0)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30)은 단면이 원형, 다각형등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0)에 형성된 관통구멍(30)은 단면이 목재에 접착된 부분으로부터 마루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관통구멍에 의해서 상부층에서 발생한 소음이 바닥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쇄되어 소멸하거나, 하부 바닥에 적게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0)는 외부의 충격을 탄력적으로 흡수하므로 종래의 목재로만 구성된 마루바닥재에 비해 걸어다닐 때 쿠션을 제공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한다. 또한 쿠션으로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전파시키지 않고 흡수함으로서 관통구멍에 의한 방음기능과 함께 재질자체에 의한 방음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0)는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불규칙한 면에 변형되어 밀착되수 있으므로, 시공시 바닥면을 매끄럽게 하는 전처리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멍(30)의 일부 또는 전부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방사부재(35)를 삽입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재(35)는 옥, 맥반석, 게르마늄석, 숯을 사용할 수 있다. 옥은 마그네슘 등 우리 인체의 필요한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맥반석, 게르마늄석, 숯도 상기 옥과 같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조직의 재생, 혈액순환 개선, 체내의 유해물질 배설 촉진 등의 효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방사부재를 가루로 제조하여 고무재에 혼합하여 상기 탄성부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의 원적외선 방출부재가 삽입된 구성을 갖는 마루바닥재는 온돌마루에 시공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20)와 및 관통구멍(30)에 삽입된 옥등에 의해 열전도가 보다 활발히 일어나므로, 효율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마루바닥재는, 외부의 충격과 소음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며, 열전도율이 높아 효율적으로 난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 설치면을 매끄럽게 하는 전처리작업이 필요없어 시공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9)

  1. 장방형의 목재로 된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바닥면에는 일정깊이로 바닥면의 일부를 제거한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판형상이고, 판의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에 접착재로 접착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의 일측면 중앙부에는 다른 마루바닥재의 홈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일정한 두께의 돌기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면 중앙부는 다른 마루바닥재의 돌출부를 수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는 상기 홈과 돌출부를 갖는 중간판과, 상기 중간판 상면에 접착된 상부판과, 상기 중간판 하면에 접착된 하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요홈부는 상기 하부판과 상기 중간판에 결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은 단면이 목재에 접착된 부분으로부터 마루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멍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을 발출하는 부재는, 옥, 맥반석, 게르마늄석, 숯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의 상면에 형성된 무늬목 또는 UV(ultravioate)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의 상면에 형성된 무늬목 또는 UV(ultravioate)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바닥재.
KR2020020013177U 2002-04-30 2002-04-30 마루바닥재 KR200284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77U KR200284069Y1 (ko) 2002-04-30 2002-04-30 마루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77U KR200284069Y1 (ko) 2002-04-30 2002-04-30 마루바닥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588A Division KR100470497B1 (ko) 2002-04-30 2002-04-30 마루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069Y1 true KR200284069Y1 (ko) 2002-07-31

Family

ID=7312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177U KR200284069Y1 (ko) 2002-04-30 2002-04-30 마루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0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281B1 (ko) * 2002-09-30 2006-03-10 주식회사 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실내바닥재와 이 바닥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281B1 (ko) * 2002-09-30 2006-03-10 주식회사 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실내바닥재와 이 바닥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30416A1 (en) Flooring element
US11649641B2 (en) Panel and method of producing a panel
EP1570143A1 (en) Floorboard and floor covering for resilient floor
KR100470497B1 (ko) 마루바닥재
KR20020066607A (ko) 바닥 마루판
KR200284069Y1 (ko) 마루바닥재
JP2008007961A (ja) 緩衝材及び床仕上材
CA3231032A1 (en)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a panel
JPH08326279A (ja) 裏面に緩衝材を持つ防音床材
CN115262913A (zh) 地板镶板
KR200493148Y1 (ko)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KR101564207B1 (ko) Eva를 이용한 다중 차단구조의 층간소음방지 패널
JP2001065166A (ja) 防音性を有する内装材
JP2008267035A (ja) 床用緩衝体、床構造、及び、補強床敷設方法
JPH0623495B2 (ja) 防音床材およびその製法
JP3470552B2 (ja) パネル
KR101464689B1 (ko) 이중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80496Y1 (ko) 친환경 기능성 건축내장용 마루 바닥재
KR102404593B1 (ko)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KR200274988Y1 (ko) 바닥 마루판
KR200305869Y1 (ko) 마루판
KR100997151B1 (ko) 마루바닥재용 표면재 및 이를 구비한 마루 바닥재
JPH06240852A (ja) 木質系防音床板
KR100760628B1 (ko) 층간소음 방지용 마감재
KR20180098437A (ko) 바닥 시공용 목재 마루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