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034Y1 - 원목 무늬모양이 피복된 강화마루 - Google Patents

원목 무늬모양이 피복된 강화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034Y1
KR200284034Y1 KR2020020012604U KR20020012604U KR200284034Y1 KR 200284034 Y1 KR200284034 Y1 KR 200284034Y1 KR 2020020012604 U KR2020020012604 U KR 2020020012604U KR 20020012604 U KR20020012604 U KR 20020012604U KR 200284034 Y1 KR200284034 Y1 KR 200284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tern
laminate
wood
impre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길
Original Assignee
김삼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길 filed Critical 김삼길
Priority to KR2020020012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034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목 무늬모양이 피복된 강화마루에 관한 것이다.
원목 질감이 나도록 피복 처리한 강화마루의 라미네이트 표층의 두께는 0.5mm이내의 얇은 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목마루와 같이 판재와 판재 간을 조립시 "V" 컷팅을 할 수 없으며, 각 층간의 재질과 색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경사각으로 면취하였을 때 원목의 질감을 가질 수 없게된다. 따라서 직각 처리된 면과 면을 맞대어 결합하여야 하므로 불가분 턱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과 같이 저가인 합판재를 기판재로 하여 그 표층에 라미네이트 적층구조를 위로부터 멜라민 수지로 함침된 오버레이 층, 무늬가 인쇄된 후 멜라민 수지에 함침된 문양층, 크라프트지에 페놀수지로 함침한 기반층으로 구성하되, 상기 기반층의 구조를 2겹 이상의 복수층으로 구성하여 전체의 두께가 0.6~1mm가 되도록 하고, 기반층의 색상과 무늬를 문양층과 같은 원목 무늬와 색상으로 하여 마루판재를 구성한 후 조립면을 면취하여 조립되는 결합부의 라미네이트 층을 "V" 컷팅하여 원목마루와 동일한 질감을 갖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목 무늬모양이 피복된 강화마루{Reinforced floor coated with original wood design}
본 고안은 원목 무늬모양이 피복된 강화마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저가이면서도 합판 마루재의 표층에 원목 무늬모양을 라미네이트 피복 처리하여 표면 강도를 높이이고 색상이 변질되지 않도록 한 강화마루에 있어서, 원목 마루의 조합시와 같이 조각들의 접합부 상면을 "V" 컷팅하여 마루를 구성하더라도 면취부의 적층 구조에 따른 이형 질감을 느끼지 않고 원목재와 동질감을 갖도록 구성한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대 가옥은 거실 문화 형태를 띄게 되므로서, 바닥재의 인테리어 감각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마루바닥은 바닥재의 대표적인 형태로서, 과거 원목 판재를 상호 끼워맞춰 구성한 원목마루가 널리 시공되었던 바, 이와 같은 원목마루는 원목의 질감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잇점과, 판재와 판재를 끼워 맞춤에 있어 결합부를 수직 절단하여 결합하게 되면 결합면에 턱이 형성되기 마련이므로 결합부 상측을 작은 경사각으로 대향되게 면취하여 상호 결합하였을 때 "V"자 컷팅이 되도록 하여 결합면에 턱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던 바, 원목마루는 원목 그대로를 컷팅하게 되므로 원목의 형태와 질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원목마루는 원목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이 고가로 되는 문제점과 표면이 약하고 색깔이 변질되는 등 천연재료가 가지는 한계점을 완전히 극복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원목마루가 갖는 결점에 착안하여 개발된 것이 강화마루의 출현으로 현재에 시공되고 있는 대부분의 마루는 이와 같은 원목 무늬를 표층에 피복시킨 강화마루로서, 가격이 저가이면서도 표층이 수지피복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강도가 높고 무늬가 변질되지 않는 잇점을 갖게된다.
강화마루(HPL; High Pressure Lamination)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가인 합판재를 기판재(11)로 하여 그 표층에 라미네이트 적층구조가 위로부터 멜라민 수지로 함침된 오머레이 층(12), 무늬가 인쇄된 후 멜라민 수지에 함침된 문양층(13), 크라프트지에 페놀수지로 함침한 기반층(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목 질감이 나도록 피복 처리한 강화마루의 라미네이트 표층의 두께는 0.5mm이내의 얇은 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목마루와 같이 판재와 판재 간을 조립시 "V" 컷팅을 할 수 없게되는 단점을 갖게된다.
그 이유는 표층의 두께가 매우 얇아 "V" 컷팅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각 층간의 재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으로 문양층은 원목 색상을 띠게되나, 기반층은 통상 흰색이나, 흑색을 띠게 되므로 경사각으로 면취하였을 때는 원목의 질감을 가질 수 없게된다.
따라서, 원목무늬가 피복 처리된 강화마루는 "V"자형 홈을 형성하여 결합시키지 못하고 직각 처리된 면과 면을 맞대어 결합하기 때문에 판재가 불가분 턱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강화마루가 갖는 결점을 감안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통상의 강화마루 제조방식에 의하여 저가인 합판재를 기판재로 하여 그 표층에 라미네이트 적층구조를 위로부터 멜라민 수지로 함침된 오버레이 층, 무늬가 인쇄된 후 멜라민 수지에 함침된 문양층, 크라프트지에 페놀수지로 함침한 기반층으로 구성하되, 상기 기반층의 구조를 2겹 이상의 복수층으로 구성하여 전체의 두께가 0.6~1mm가 되도록 하고, 기반층의 색상과 무늬를 문양층과 같은 원목 무늬와 색상으로 하여 마루판재를 구성한 후 조립면을 면취하여 조립되는 결합부의 라미네이트 층을 "V" 컷팅하여 원목마루와 동일한 질감을 갖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라미네이트 표층 발췌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강화마루 라미네이트 표층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재 2 - 오버레이 층
3 - 문양층 4 - 기반층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강화마루 제조방식에 의하여 저가인 합판재를 기판재(1)로 하여 그 표층에 라미네이트 적층구조를 위로부터 멜라민 수지로 함침된 오버레이 층(2), 무늬가 인쇄된 후 멜라민 수지에 함침된 문양층(3), 크라프트지에 페놀수지로 함침한 기반층(4)으로 구성하되, 상기 기반층(4)의 구조를 2겹 이상의 복수층으로 구성하여 전체의 두께가 0.6~1mm가 되도록 하고, 기반층(4)의 색상을 문양층(3)의 색상과 같은 색상으로 하여 마루판재를 구성한 후 조립면을 면취하여 조립되는 결합부의 라미네이트 층을 "V" 컷팅하여 원목마루와 동일한 질감을 갖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기반층(4)을 2겹 이상 복수층으로 형성하므로서 라미네이트 층 전체의 두께가 0.6~1mm로 되어 마루판재를 상호 결합시 "V" 컷팅이 가능하게 되고, 기반층(4)의 색상과 무늬 또한 문양층(3)의 색상과 동일한 목재의 색상과 무늬로 구성하게 되므로서, 원목마루의 조립에서만 가능하였던 "V" 컷팅 결합을 동일하게 실시 할 수 있으므로 컷팅부의 이질감 없이 원목의 질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결합부의 층간 격차를 무마할 수 있게되는 것이며, 강화마루의 특징인 가격이 저가이면서도 표층이 수지피복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강도가 높고 무늬가 변질되지 않는 잇점을 살릴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원목마루에 있어서의 "V" 컷팅 결합에 의하여 마루재각 층간 편차를 무마할 수 있는 잇점을 살릴 수 있으며, 컷팅면 또한 전체적으로 원목 무늬와 동일한 색상과 질감을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원목마루에 비하여 현저히 저렴한 비용으로 강화마루를 시공할 수 있으며, 표층이 수지피복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강도가 높고 무늬가 변질되지 않는 강화마루의 잇점을 살려 강화마루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오히려 원목마루 보다 질 좋은 마루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게되는 획기적인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합판재를 기판재(1)로 하여 그 표층에 라미네이트 적층구조를 위로부터 멜라민 수지로 함침된 오버레이 층(2), 무늬가 인쇄된 후 멜라민 수지에 함침된 문양층(3), 크라프트지에 페놀수지로 함침한 기반층(4)으로 구성된 통상의 강화마루에 있어서, 상기 기반층(4)의 구조를 복수층으로 구성하여 전체의 두께가 0.6~1mm가 되도록 하고, 기반층(4)의 색상을 문양층(3)의 색상과 같은 색상으로 하여 마루판재를 구성한 후 조립면을 면취하여 조립되는 결합부의 라미네이트 층을 "V" 컷팅하여 원목마루와 동일한 질감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무늬 모양이 피복된 강화마루.
KR2020020012604U 2002-04-25 2002-04-25 원목 무늬모양이 피복된 강화마루 KR200284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604U KR200284034Y1 (ko) 2002-04-25 2002-04-25 원목 무늬모양이 피복된 강화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604U KR200284034Y1 (ko) 2002-04-25 2002-04-25 원목 무늬모양이 피복된 강화마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034Y1 true KR200284034Y1 (ko) 2002-07-31

Family

ID=7307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604U KR200284034Y1 (ko) 2002-04-25 2002-04-25 원목 무늬모양이 피복된 강화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03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11A (ko) * 2002-07-23 2004-01-31 이형건 천연무늬목으로 무늬를 표현한 강화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473618B1 (ko) * 2002-06-25 2005-03-10 이용철 천연 무늬목 바닥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30612A (ko) 2019-05-10 2020-11-19 주식회사 세인 강마루 바닥재의 시공방법
KR20200130611A (ko) 2019-05-10 2020-11-19 주식회사 세인 강마루 바닥재
KR20210014381A (ko) 2019-07-30 2021-02-09 강봉석 강마루 바닥재
KR20210014395A (ko) 2019-07-30 2021-02-09 강봉석 강마루 바닥재의 시공방법
KR20220153765A (ko) 2021-05-12 2022-11-21 김철수 바닥 마루판재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618B1 (ko) * 2002-06-25 2005-03-10 이용철 천연 무늬목 바닥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09311A (ko) * 2002-07-23 2004-01-31 이형건 천연무늬목으로 무늬를 표현한 강화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0612A (ko) 2019-05-10 2020-11-19 주식회사 세인 강마루 바닥재의 시공방법
KR20200130611A (ko) 2019-05-10 2020-11-19 주식회사 세인 강마루 바닥재
KR20210014381A (ko) 2019-07-30 2021-02-09 강봉석 강마루 바닥재
KR20210014395A (ko) 2019-07-30 2021-02-09 강봉석 강마루 바닥재의 시공방법
KR20220153765A (ko) 2021-05-12 2022-11-21 김철수 바닥 마루판재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5339B1 (en) Direct laminated flooring product
US7243469B2 (en) Textured laminate flooring
US6931811B2 (en) Floor covering, floor panels for forming such floor covering, and method for realizing such floor panels
CN101010193B (zh) 具有改进的尺寸稳定性并抗翘曲和分层的层压胶合板
US20070175143A1 (en) Laminate floor panels
US20160023508A1 (en) Material sheet with decorative layer and embossing
KR20150034180A (ko) 중량 및 재료 함량이 감소된, 건축용 패널, 플로어 패널 및 목재 기반 플로어 패널의 생산 방법
JP2001329681A (ja) 板 材
KR200284034Y1 (ko) 원목 무늬모양이 피복된 강화마루
WO2002058924A1 (en) Textured laminate flooring
RU2415234C2 (ru) Ламинатные панели пола
KR100613104B1 (ko) 다각형 무늬목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판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6369B1 (ko) 폭 방향 변형에 강한 합판마루
JP3101661B2 (ja) 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226989U (ja) 新型無垢フローリング
WO2008020724A1 (en) Water proof reinforced floor and click structure thereof
JP2002086420A (ja) フロア−用台板合板
JP2007237703A (ja) 化粧板及び建具
KR200362163Y1 (ko) 엣지부위의 방습성을 향상시킨 강화마루
KR200189929Y1 (ko) 메라민 화장판을 이용한 의자
KR102417681B1 (ko) 금속층을 포함한 치수 안전성을 가진 표면재
JP5073086B2 (ja) 表層材及び建築材
KR200377686Y1 (ko) 합판이 부착된 수지화장판
KR200370194Y1 (ko) 브이 커팅을 이용한 가구용 다리
JP5511586B2 (ja) 木質複合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