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824Y1 - 감광 드럼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감광 드럼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824Y1
KR200283824Y1 KR2020020012163U KR20020012163U KR200283824Y1 KR 200283824 Y1 KR200283824 Y1 KR 200283824Y1 KR 2020020012163 U KR2020020012163 U KR 2020020012163U KR 20020012163 U KR20020012163 U KR 20020012163U KR 200283824 Y1 KR200283824 Y1 KR 200283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repeating unit
parts
weigh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1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광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광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광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광양행
Priority to KR20200200121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824Y1/ko

Links

Landscapes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광 드럼과, 이 감광 드럼을 구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감광 드럼은 전자사진 현상 방식에 따라 회전체들과의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그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며, 상기 감광 드럼의 외주면에, 스티렌 반복단위와,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와, 경질 수지와, 순수와, 알콜계 용매와,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얻어진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광 드럼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Photoreceptor drum and electrophotographic imag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감광 드럼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처리해야 할 감광 드럼의 표면에 보호코팅막을 형성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적인 화상 형성방법에 의하면, 유기 감광체는 도전성 지지체상에 감광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플레이트, 디스크, 쉬트(sheet), 벨트 또는 드럼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유기 감광체를 이용하여 전자사진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감광체의 표면을 정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시킨 다음, 대전된 표면을 레이저 빔으로 조사한다. 레이저 빔이 조사된 부분에서는 양, 음전하가 발생하여 표면으로 이동하고, 표면에 대전된 전하가 중화됨에 따라, 표면전위가 달라져 잠상이 형성된다.
그 후, 이 잠상 영역에 소정 색상을 띠는 액체 또는 고체 토너가 현상되면 유기 감광체의 표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화상은 종이와 같은 수용체 표면으로 전사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과정이 복수회 반복된다.
상술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토너에 따라 건식과 습식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건식 방식의 경우는 분말 상태의 토너가 사용된다.
반면에, 습식 전자사진 방식의 경우에는 휘발 성분의 액체 캐리어에 토너가 혼합된 액상의 현상액이 사용되며, 건식의 경우보다 인쇄 품질이 우수한 동시에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서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공정중 감광체는 토너, 롤러 또는 클리닝 블레이드와의 마찰에 의해 쉽게 마모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두께가 감소하여 이의 수명이 줄어들게 되며, 결국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폐기처리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해결하여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한 감광 드럼의 표면상에 보호코팅막을 형성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는 감광 드럼 및 이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감광 드럼을 이용한 흑백 레이저 빔 프린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감광 드럼 201... 대전롤러
207.. 정착롤러 203... 노광장치
204... 현상롤러 205...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206... 전사롤러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전자사진 현상 방식에 따라 회전체들과의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그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 드럼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주면에,
스티렌 반복단위와,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와, 경질 수지와, 순수와, 알콜계 용매와,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얻어진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드럼을 제공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는 화학식 1로 표시된다.
상기식중,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H, CH3또는 C4H9이다.
상기 스티렌 반복단위와, 아크릴산계 반복단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는,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터폴리머이고, 상기 스티렌 반복단위의 함량은 20 내지 40몰%이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은 40 내지 60몰%이고,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은 10 내지 20몰%이고, 상기 아크릴산 반복단위의 함량은 5 내지 1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질 수지는 검로진(산가: 160∼180)(Ascona saciifa사), 아비에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의 함량은 공중합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5 중량부이고, 상기 알콜계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이 알콜계 용매의 함량은 공중합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30 중량부이고, 상기 순수의 함량은 공중합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8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의 pH 조절제는 암모니아수, 트리에탄올아민, 디메틸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그 함량은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은 소포제, 레벨링제 및 실란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감광 드럼;
상기 감광 드럼과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상기 감광 드럼의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
현상롤러를 갖고, 상기 감광 드럼과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상기감광드럼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및
전사롤러를 갖고, 상기 감광 드럼과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상기 감광 드럼에 형성된 상기 토너상을 전사시키는 전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는 폐기처리해야 할 감광 드럼을 재생하는데 사용되는 감광 드럼 재생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 표면코팅 조성물은 스티렌 반복단위과,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와, 경질 수지와, 순수와 알콜계 용매와, pH 조절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공중합체에서 스티렌 반복단위의 함량은 20 내지 40몰%이고,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은 60 내지 80몰%이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는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상기식중,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H, CH3또는 C4H9이다.
상기 스티렌 반복단위와,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는 특히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터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터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50,000, 특히 2만정도인 것이 순수와 알콜계 용매에 대한 용해도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터폴리머를 구성하는 각 반복단위의 함량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티렌 반복단위의 함량은 20 내지 40몰%이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은 40 내지 60몰%이고,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은 10 내지 20몰%이고, 상기 아크릴산 반복단위의 함량은 5 내지 1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폴리머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스티렌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아크릴산을 중합개시제 및 용매와 함께 혼합하고, 이를 통상적인 중합 방법에 의하여 공중합하여 얻을 수 있다. 이 때 중합개시제 및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중합개시제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사용하고, 용매로는 부틸셀로솔브, 이소프로필 알콜 등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중합개시제 및 용매의 함량은 통상적인 수준이다.
상기 경질 수지는 감광 드럼 표면상에 형성된 코팅막의 경도를 양호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물질로서,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석유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특히 검로진(Ascona saciffa사: 고형분 함량이 5중량%이고, 용매로서 부틸셀로솔브 사용함)을 사용한다. 그리고 경질 수지의 함량은 상기 스티렌 반복단위와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20 중량부를 사용한다. 만약 경질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코팅막의 경도 특성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구성하는 순수의 함량은 공중합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80 중량부를 사용한다. 만약 순수의 함량이 50 중량부 미만이면, 도막 평활성이 불량하고,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소지에 대한 젖음성(wetting)이 불량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알콜계 용매로는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에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이의 역할은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후, 건조가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pH 조절제는 코팅 조성물의 pH를 8∼10 정도로 조절해주는 물질로서, 암모니아수, 트리에틸올아민 및 디메틸에탄올아민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이 pH 조절제의 함량은 스티렌 반복단위와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코팅조성물은 상술한 스티렌 반복단위과,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와, 경질 수지와, 순수와 알콜계 용매와, pH 조절제이외에 소포제, 레벨링제, 실란커플링제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조성물내에서 기포 발생을 막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구체적인 예로서, 실리콘오일, 지방족 알콜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소포제로서 Byk-020(Byk사)을 사용한다. 이 소포제의 함량은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0.5 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레벨링제는 도막의 평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터르펜류 등이 사용되며, 특히 본 고안에서는, Byk-346(Byk사)를 사용하고 있다. 레벨링제의 함량은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0.5 중량부를 사용한다.
실란커플링제는 감광드럼에 대한 코팅막의 접착력을 도와주는 물질로서, 이의 구체적인 예로서, A-1160(UCC사)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실란커플링제의 함량은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한다.
본 고안의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에서 점도는 10 내지 15초인 것이 바람직하고, 산가는 2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을 감광 드럼에 코팅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링 코팅법, 딥 코팅법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감광 드럼의 표면상에 코팅한 후, 이를 건조함으로써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건조온도는 60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어진 코팅막의 두께는 0.5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코팅막의 두께가 0.5㎛ 미만인 경우에는 내마모성이 저하되고, 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전 잠상 현상이 미흡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고안의 감광 드럼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전자사진 장치 특히, 복사지, 레이저 빔 프린터 등과 같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드럼을 구비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장치는 상기 감광 드럼과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상기 감광 드럼의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와, 현상롤러를 갖고, 상기 감광 드럼과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드럼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와, 전사롤러를 갖고, 상기 감광 드럼과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상기 감광 드럼에 형성된 상기 토너상을 전사시키는 전사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감광 드럼을 적용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흑백 레이저 빔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여, 도급지인 기록지 카세트로부터 기록지를 공급하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05)와, 감광 드럼(200)과, 상기 감광 드럼(200)과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감광 드럼(200)에 전하를 인가하는 대전롤러(201)와, 디지털 신호를 레이저 광으로 바꾸어 상기 감광드럼(200)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토너상을 형성하는 현상롤러(14)와, 상기 감광드럼(200)과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감광드럼(200)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상을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05)로부터 공급된 기록지에 전사하는 전사롤러(206)와, 상기 전사롤러(206)에 의해 기록지로 전사된 토너상을 일정온도로 압입하여 융착시키는 정착롤러(20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흑백 레이저 빔 프린터를 이용하여 전자사진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대전롤러(201)가 감광드럼(200)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전 고압 조건하에서 감광드럼(200)의 감광층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켜 주게 된다. 이 때 상기 감광드럼(200)의 대전된 부분에 컴퓨터 등으로부터 나오는 임의의 디지털 신호를 빛으로 바꾸는 노광장치, 예컨대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에 의하여 정전 잠상이 생성된다.
상기 감광 드럼 (200) 표면에 생성된 정전잠상은 화상 현상 수단의 현상롤러에 형성된 토너층에 의해 가시상(토너상)으로 변해가고, 그 토너상은 전원장치에서 공급되는 전사롤러(200)의 전사전압에 의해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05)에 의해서 공급되는 기록지로 전사된다.
상기 토너상이 전하된 낱장의 기록지는 정착장치의 정착롤러(207)에 의하여 일정온도로 정착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인쇄과정이 완료된다.
이하, 본 고안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고안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터폴리머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및 콘텐서가 장착된 2리터 4구 플라스크에 부틸 셀로솔브 25 중량부를 넣고, 플라스크내의 온도를 125℃로 올렸다.
이와 별도로, 다른 반응 플라스크에 스티렌 모노머 16 중량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3.9 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 7.5 중량부, 아크릴산 2.6 중량부, 벤조일 퍼옥사이드 0.05 중량부를 부가하여 이를 충분히 혼합하여 터폴리머 형성용 모노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부틸 셀로솔브가 들어 있는 반응 플라스크내에 상기 터폴리머 형성용 모노머 혼합물을 3시간에 걸쳐 적하한 다음, 이를 125℃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여기에 부틸셀로솔브 5.0 중량부, 이소프로필 알콜 20 중량부를 부가하여 희석하여 무색 투명 액체 상태의 터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상기 터폴리머 용액에서의 터폴리머 고형분의 함량은 약 50%이었다.
또한, 상기 터폴리머 용액의 점도 및 산가를 측정하였다. 이 때 점도는 가드너 방법에 의하여 평가하였고, 산가는 0.1N KOH 적정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상기 터폴리머 용액의 점도는 Z-Z1(가드너)이고, 산가는 21을 나타냈다.
실시예 1. 재생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반응 용기에 상기 합성예에 따라 제조된 터폴리머 25 중량부를 부가하고, 여기에 검로진(Ascona saciffa사: 고형분 함량: 5중량%이고, 나머지 용매는 부틸셀로솔브임) 25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충분히 교반하면서, 여기에 암모니아수 2.6 중량부, 순수 73.5 중량부, 메탄올 10 중량부, 소포제(Byk-020, Byk사) 0.1 중량부, 레벨링제(Byk-346, Byk사) 0.3 중량부, 실란커플링제(A-1160, UCC사) 0.15 중량부를 부가하여 10분동안 교반하여 황갈색 황색을 띠는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을 감광 드럼 외부 표면상에 코팅 및 건조하여 코팅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과정에 따라 제조된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에서의 고형분의 농도, 비중,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비중은 비중컵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점도는 포오드컵 4번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 상기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에서의 고형분의 농도는 10중량%이고,점도는 10초(포오드컵, No. 4)이고, 비중은 0.94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팅막을 갖고 있는 감광 드럼의 막 상태, 코팅막의 결합력 및 전기적 특성을 하기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1) 감광체의 막 상태
노르파르(Norpar) 12에 48시간동안 침적실험 전과 후의 크랙, 크레이즈(craze) 등의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평가한다.
(2) 코팅막의 결합력
180도 박리 테스터기를 이용하여 평가한다.
(3) 전기적 특성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의 코팅전, 후 그리고 노르파르(Norpar) 12에 약 48시간동안 침적후의 노르파르 12의 색 변화를 관찰하면서 감광 드럼의 전기적 특성을 PDT2000(QEA사)을 이용하여 평가한다(대전-노광-제전의 싸이클을 100회 반복후의 대전전위 및 노광전위 변화량을 측정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팅막을 갖고 있는 감광 드럼의 막 상태, 코팅막의 결합력 및 전기적 특성 평가 결과, 실시예의 감광 드럼은 싸이클 반복후에도 대전전위 및 노광전위는 거의 변화되지 않아 안정적인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며, 감광 드럼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노르파르 12에 침적후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감광 드럼의 외주면에 스티렌 반복단위와 아크릴산계 반복단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와, 경질 수지와, 순수와, 알콜계 용매와,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얻어진 코팅막을 형성하여 더 이상 사용이 곤란한 감광 드럼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전자사진 현상 방식에 따라 회전체들과의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그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 드럼에 있어서,
    상기 감광 드럼의 외주면에,
    스티렌 반복단위와,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와, 경질 수지(hard resin)와, 순수와, 알콜계 용매와,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얻어진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드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 드럼.
    <화학식 1>
    상기식중, R1은 H 또는 CH3이고, R2는 H, CH3또는 C4H9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 반복단위와,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스티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부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터폴리머이고,
    상기 스티렌 반복단위의 함량은 20 내지 40몰%이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은 40 내지 60몰%이고,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 반복단위의 함량은 10 내지 20몰%이고, 상기 아크릴산 반복단위의 함량은 5 내지 10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드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수지가 검로진(산가: 160∼180)(Ascona saciifa사) 및 아비에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의 함량은 공중합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드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계 용매가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이 알콜계 용매의 함량은 공중합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30 중량부이고, 상기 순수의 함량은 공중합체 고형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8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드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가 암모니아수, 트리에탄올아민 및 디메틸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그 함량이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 드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막 형성용 조성물이 소포제, 레벨링제 및 실란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드럼.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의 감광 드럼;
    상기 감광 드럼과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상기 감광 드럼의 감광체를 대전시키는 대전롤러;
    현상롤러를 갖고, 상기 감광 드럼과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드럼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및
    전사롤러를 갖고, 상기 감광 드럼과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회전하면서 상기 감광 드럼에 형성된 상기 토너상을 전사시키는 전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2020020012163U 2002-04-22 2002-04-22 감광 드럼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200283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63U KR200283824Y1 (ko) 2002-04-22 2002-04-22 감광 드럼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163U KR200283824Y1 (ko) 2002-04-22 2002-04-22 감광 드럼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824Y1 true KR200283824Y1 (ko) 2002-07-27

Family

ID=7312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163U KR200283824Y1 (ko) 2002-04-22 2002-04-22 감광 드럼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8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6013B2 (en) Liquid inks comprising stabilizing plastisols
EP0805170B1 (en) Photoconductor coating
US6106989A (en) Temporary image receptor and means for chemical modification of release surfaces on a temporary image receptor
CN104285187B (zh) 用于图像形成设备的弹性件、定影件、定影装置和图像形成设备
KR100509535B1 (ko) 전자사진 감광체,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장치
JP2004163954A (ja) 湿式電子写真用トナー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電子写真画像形成方法
JP2000508084A (ja) 有機光受容体のためのペルフルオロエーテル剥離塗料
US6194106B1 (en) Temporary image receptor and means for chemical modification of release surfaces on a temporary image receptor
US5965314A (en) Intermediate transfer element for liquid electrophotography
EP0156494B1 (en) Liquid developer for electrostatic photography
US5702803A (en) Electrostatic color imaging paper with an intrinsic release dielectric layer
US5689779A (en) Liquid developer and developing method and developing apparatus using same
KR200283824Y1 (ko) 감광 드럼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10214662B1 (en) Method of print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
US7171152B2 (en) Image-forming apparatus and image-forming method
US4822710A (en) Liquid developer compositions
CN101470367A (zh) 显影剂用载体粒子、显影剂以及图像形成装置
WO2001061414A1 (en) Organic photoreceptors for liquid electrophotography
JP200905358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162997B2 (ja) 画像形成装置
JPH0636100B2 (ja) 光導電性集成体およびトナー像コピーの製造方法
JP3677340B2 (ja) ポリシランならびに電子写真式オフセット印刷用刷版の製造方法
JP2016191768A (ja) 画像形成方法
JPH0277067A (ja) 印刷版用液体現像剤
JPH10177277A (ja) 電子写真現像剤、インキ組成物及びその定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