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691Y1 -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691Y1
KR200283691Y1 KR2020020012959U KR20020012959U KR200283691Y1 KR 200283691 Y1 KR200283691 Y1 KR 200283691Y1 KR 2020020012959 U KR2020020012959 U KR 2020020012959U KR 20020012959 U KR20020012959 U KR 20020012959U KR 200283691 Y1 KR200283691 Y1 KR 200283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oss
pair
op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규
Original Assignee
김헌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규 filed Critical 김헌규
Priority to KR2020020012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6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691Y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개구를 갖는 폐루프형상의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는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 연부면이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내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걸림턱이 형성된 중공의 장치본체와; 일부구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플랜지부를 가지며 일단부 영역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프레임에 연장된 브래킷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의 일단부 영역으로 삽입되며, 외측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를 갖는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에 따라 상기 보스부의 돌출부에 접촉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정지각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스토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구성으로도 도어의 회동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도어를 일정한 개방각도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Hinge device for door assembly}
본 고안은,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도 도어의 회동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도어를 일정한 개방각도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도어조립체는 출입개구를 갖는 사각형상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출입개구에 마련되어 출입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다. 도어는 프레임의 출입개구에 대해 여닫이식으로 회동개폐한다.
이러한 도어의 회동개폐를 위해,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는 힌지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통상의 힌지장치는 도어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로 배치되며, 도어를 프레임에 대해 회동시킬 뿐만 아니라 개방된 도어가 자동으로 회동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힌지장치가 장착된 도어조립체에 있어서는, 도어를 일정한 개방각도에서 정지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도어를 일정한 개방상태로 존재시키기 위해서는 도어의 하부에 별도의 스토핑장치를 더 장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도 도어의 회동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도어를 일정한 개방각도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조립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의 부분 분해 절취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측면도,
도 3b는 도 3a 상태에서 힌지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는 도어가 일정각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4a 상태에서 힌지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a는 도어가 도 4a 보다 더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 상태에서 힌지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4 : 도어
20 : 힌지장치 30 : 장치본체
40 : 회전축부재 50 : 보스부
52a : 제1돌출부 52b : 제2돌출부
60 : 스토핑부재 71 : 제1스토핑부재
72 : 제2스토핑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출입개구를 갖는 폐루프형상의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는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일측 연부면이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내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걸림턱이 형성된 중공의 장치본체와; 일부구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플랜지부를 가지며 일단부 영역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프레임에 연장된 브래킷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의 일단부 영역으로 삽입되며, 외측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를 갖는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에 따라 상기 보스부의 돌출부에 접촉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정지각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스토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스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걸림턱에 끼워지는 돌출턱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며 측면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몸체부를 갖는다.
상기 한 쌍의 스토핑부재는, 중앙영역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취된 복수의 절취부를 갖는다.
상기 장치본체의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연장플랜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축부분과, 상기 제1축부분의 대향측에 형성된 제2축부분을 포함하다.
상기 보스부의 몸체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부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청구항 2항부터 끝까지) 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의 부분 분해 절취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조립체는 출입개구를 갖는 사각형상의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출입개구에 마련되어 출입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4)를 갖는다. 도어(14)는 통상의 여닫이식으로 작동한다. 도어(14)의 일측에는 개폐손잡이(16)가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10)과 도어(14) 사이에는 프레임(10)에 대해 도어(14)를 회동시키는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힌지장치(20)로 인해 도어(14)는 프레임(10)에 대해 회동할 뿐만 아니라 도어(14)를 일정각도 개방할 경우, 자동으로 도어(14)가 출입개구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일정각도(θ1, θ2)에서 도어(14)가 출입개구를 개방한 상태로 정지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θ1을 30도로 하고, θ2를 90도로 하여 도어(14)가 이 각도(θ1, θ2)들에서 회동하지 않고 개방상태로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관해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20)는, 일측 연부면이 연장된 연장부(31)가 도어(14)에 고정되는 중공의 장치본체(30)와, 장치본체(30) 내에 마련되는 회전축부재(40)와, 회전축부재(40)에 결합되는 보스부(50)와, 보스부(50)의 전방에 마련되는 스프링부재(60)와, 보스부(5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스토핑부재(71,72)를 포함한다.
장치본체(30)는 전술한 회전축부재(40), 보스부(50) 및 스프링부재(60) 등을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중공체로 형성된다. 장치본체(30)의 내부에는 보스부(50)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턱(51a)이 걸림유지되는 한 쌍의 걸림턱(32)이 마련되어 있다. 걸림턱(32)은 장치본체(30)의 내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보스부(50)의 돌출턱(51a)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스부(5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장치본체(30)의 양단에는 각각 한 쌍의 캡(35a,35b)이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사부(33a,33b)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부재(40)는 중앙영역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플랜지부(41)를 사이에 두고 일단부에 수나사부(42a)가 형성된 제1축부분(42)과, 타단부는 프레임(10)에 결합된 브래킷부재(12)에 복수의 와셔(44a~44c)를 개재한 후 너트(13)에 의해 고정되는 제2축부분(43)을 갖는다.
보스부(50)는 회전축부재(40)의 수나사부(4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채로 제1축부분(42)에 삽입되어 회전축부재(40)가 회전할 경우, 회전축부재(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보스부(50)는 그 위치에 따라 머리부(51)와,머리부(51)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고 머리부(51)로부터 연장된 몸체부(52)를 갖는다.
머리부(51)의 외측에는 장치본체(30) 내에 마련된 걸림턱(32)에 걸림유지되는 한 쌍의 돌출턱(51a)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부(52)의 외측에는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52a,52b)가 마련되어 있다. 각 돌출부(52a,52b)는 후술할 각 스토핑부재(71,72)가 접촉되어 도어(14)가 일정각도에서 개방상태로 존재하도록 한다.
보스부(50)의 전방에는 스프링부재(60)가 마련되어 있다. 스프링부재(60)는 코일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축부재(40)의 회전에 연동하여 보스부(50)의 가압에 의해 압축된다.
즉, 도어(14)를 개방할 경우, 회전축부재(40)가 회전하면서 회전축부재(40)의 제1축부분(42)에 나사결합된 보스부(50)를 스프링부재(60)를 향해 전진시킨다. 보스부(50)가 스프링부재(60) 측을 향해 전진하면 전진된 보스부(50)의 머리부(51)에 의해 스프링부재(60)는 압축된다. 이렇게 스프링부재(60)가 압축된 상태에서 도어(14)에 가했던 힘을 풀면, 압축된 스프링부재(60)가 다시 압축 해제되면서 도어(14)는 원위치로 회동 복귀될 수 있다.
이 때, 본 고안에서는 도어(14)를 일정각도(θ1, θ2)로 개방할 경우, 이 각도에서 도어(14)가 정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스토핑부재(71,72)를 더 마련하고 있다.
스토핑부재(71,72)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영역에 관통공(71a,72a)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71a,72a)의 외측으로 복수개의 절취부(71b,72b)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핑부재(71,72)에 형성된 절취부(71b,72b)를 8개로 하고 있다. 한 쌍의 스토핑부재(71,72)는 도어(14)의 개방각도에 연동하여 보스부(50)의 몸체부(52)를 따라 이동하면서 보스부(50)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52a,52b)에 가압접촉되어 도어(14)가 그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스부(50)의 몸체부(52)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를 제1 및 제2돌출부(52a,52b)라 하여 설명하고, 한 쌍의 스토핑부재 역시 제1 및 제2스토핑부재(71,72)라 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스토핑부재(71,72) 사이에는 제1 내지 제3부시(80a~80c)가 마련되어 있다. 제1부시(80a)는 제1 및 제2스토핑부재(71,72)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해 마련되며, 제2 및 제3부시(80b,80c)는 스프링부재(60)와 연장플랜지부(41) 사이의 간격 보상을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힌지장치(2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14)가 프레임(10)의 출입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도 3a의 상태에서 제1 및 제2스토핑부재(71,72)의 위치는 도 3b와 같다. 즉, 제1스토핑부재(71)는 보스부(50)의 머리부(51)에 인접하게 머리부(51)와 제1돌출부(52a) 사이에 배치되고, 제2스토핑부재(72)는 제1 및 제2돌출부(52a,52b) 사이에 위치한다. 이 때의 스프링부재(60)는 압축되지 않은 원상태이다. 그리고, 제1축부분(42)의 단부와 보스부(50)의 머리부(51) 사이의 간격(H1)을 기준으로 한다.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도어(14)를 θ1인 30도로 개방하면, 도어(14)의 회동에 따라 회전축부재(40)가 일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축부재(40)가 회전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부(50)가 회전축부재(40)의 제1축부분(42)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프링부재(60) 측을 향해 전진하여 스프링부재(60)를 압축시켜 스프링부재(60)가 압축되도록 한다.
이 때, 제1스토핑부재(71)는 보스부(50)의 몸체부(52)를 따라 제1돌출부(52a)를 향해 소정 거리 이동하고, 제2스토핑부재(72)는 제2돌출부(52b)를 넘어 제2돌출부(52b)의 측부에 가압접촉됨으로써 30도 각도에서 도어(14)는 개방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작동하면 제1축부분(42)의 단부와 보스부(50)의 머리부(51) 사이의 간격(H2)이 도 3a 및 도 3b의 간격(H1)보다 작아진다.
만일, 도 4a 및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4)를 폐쇄방향으로 가압한다면, 압축된 스프링부재(60)가 다시 압축 해제됨으로써 도어(14)는 프레임(10)의 출입개구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및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4)를 θ2인 90도 각도로 더 개방한다. 그러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토핑부재(71)는 제1돌출부(52a)를 넘어 제1돌출부(52a)의 측부에 가압접촉되고, 제2스토핑부재(72)는 회전축부재(40)의 제1축부분(42)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어(14)는 90도 각도에서 개방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때의 스프링부재(60)는 도 4a 및 도 4b 보다 더 압축된 상태가 되며, 제1축부분(42)의 단부와 보스부(50)의 머리부(51) 사이의 간격(H3)은 도 4a 및 도 4b의 간격(H2) 보다 더 작아진다.
도 5a 및 도 5b 상태에서도 역시, 도 4a 및 도 4b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도어(14)를 폐쇄방향으로 가압한다면, 압축된 스프링부재(60)가 다시 압축 해제됨으로써 도어(14)는 프레임(10)의 출입개구를 회동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도 도어(14)의 회동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14)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도어(14)를 일정한 개방각도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도 도어의 회동개폐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도어를 일정한 개방각도에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6)

  1. 출입개구를 갖는 폐루프형상의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기 도어를 회동시키는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에 있어서,
    일측 연부면이 상기 도어에 고정되며, 내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걸림턱이 형성된 중공의 장치본체와;
    일부구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플랜지부를 가지며 일단부 영역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프레임에 연장된 브래킷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축부재와;
    상기 회전축부재의 일단부 영역으로 삽입되며, 외측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를 갖는 보스부와;
    상기 보스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가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부세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에 따라 상기 보스부의 돌출부에 접촉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 정지각도를 조절하는 한 쌍의 스토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는 상기 장치본체의 걸림턱에 끼워지는 돌출턱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며 측면에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몸체부를 갖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토핑부재는, 중앙영역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외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취된 복수의 절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재는 상기 연장플랜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축부분과, 상기 제1축부분의 대향측에 형성된 제2축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의 몸체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부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KR2020020012959U 2002-04-29 2002-04-29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KR200283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959U KR200283691Y1 (ko) 2002-04-29 2002-04-29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959U KR200283691Y1 (ko) 2002-04-29 2002-04-29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397A Division KR20030085210A (ko) 2002-04-29 2002-04-29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691Y1 true KR200283691Y1 (ko) 2002-07-27

Family

ID=73122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959U KR200283691Y1 (ko) 2002-04-29 2002-04-29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6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624B1 (en) Cover damping mechanism
US5915441A (en) Dual pivot hinge assembly
AU2019258466A1 (en) Door clos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102464961B1 (ko) 회전도어용 힌지장치
KR200190938Y1 (ko) 자동 록킹기능을 갖는 도어 힌지장치
JP4005024B2 (ja) ヒンジ
KR200283691Y1 (ko)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KR101482725B1 (ko) 고중량 도어용 힌지구조
US5505505A (en) Device for securing a closure such as a window
JP2005507472A5 (ko)
KR20030085210A (ko) 도어조립체용 힌지장치
KR102105870B1 (ko) 문닫힘 성능 향상을 위한 도어 힌지장치
RU2443839C2 (ru) Поворотная опора для прижимного механизма закрыва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EP1980696A2 (en) Hinge unit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KR100340226B1 (ko) 스프링 경첩의 탄력 조절장치
KR100479006B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102390644B1 (ko) 손가락 끼임 방지 도어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100376254B1 (ko) 미닫이문용 록킹장치
KR200337136Y1 (ko) 경첩
KR102105871B1 (ko)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JPH06158950A (ja) 観音開き扉の召合せ装置
KR102464816B1 (ko) 도어 스토퍼장치
KR102085834B1 (ko) 도어힌지장치
JP3232189B2 (ja) 折戸のヒンジ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