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871B1 -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871B1
KR102105871B1 KR1020180043158A KR20180043158A KR102105871B1 KR 102105871 B1 KR102105871 B1 KR 102105871B1 KR 1020180043158 A KR1020180043158 A KR 1020180043158A KR 20180043158 A KR20180043158 A KR 20180043158A KR 102105871 B1 KR102105871 B1 KR 102105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oor
hole
bracket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782A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문주하드웨어 filed Critical (주)문주하드웨어
Priority to KR102018004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87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7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5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납장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본체, 수납장의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 및 상기 브라켓본체와 도어플레이트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외측브라켓; 상기 외측브라켓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 및 상기 내측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브라켓과 나사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 높이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DOOR HINGE DEVICE FOR SETTING ELEVATING LIMIT OF BRACKET BODY}
본 발명은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납장의 문을 닫을 때 문이 수납장에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밀폐되어 닫힐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과 같은 여닫이식 문에는 도어 힌지가 부착된다.
도 1은 종래 도어 힌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도어 힌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도어 힌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힌지장치는 브라켓 본체(2), 상기 브라켓 본체(2)에 장착되며 수납장 벽체에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4) 및 상기 브라켓 본체(2)에 연결되며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플레이트(5)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힌지장치의 브라켓 본체(2)는 도어플레이트(5)에 연결되는 외측브라켓(18)과, 상기 외측브라켓(18)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19)을 구비한다.
상기 내측브라켓(19)는 하부에 걸고리(7)와 끼움돌기(8)가 형성되고, 후단에 클램프(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브라켓(19)에 결합되고 외측브라켓(18)과 나사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 높이 조절볼트(1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브라켓(18)과 상기 외측브라켓(19)을 회동축(17)이 일측에서 연결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 높이조절볼트(16)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에 결합된 내측브라켓(19)에 대해서 상기 외측브라켓(18)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는 대략 십자형태로 된 상부판(11)과 하부판(12)이 중첩되고, 4군데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통공(6)이 형성되며, 하부판(12)과 상부판(11)은 가이드핀(15) 및 볼트(14)로 결합된다.
즉, 상기 가이드핀(15)는 하부판(12)에 형성되어 상부판(11)의 장공을 통과해 결합되고, 상기 볼트(14)는 상부판(11)의 홈(도시되지 않았음)에 끼워져 하부판(12)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내측브라켓(19)에 대한 외측브라켓(18)의 승강운동에 대한 스톱퍼 기능이 없어서 브라켓 높이조절볼트(16)를 최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내측브라켓(19)이 외측브라켓(18)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브라켓 본체(2)와 도어플레이트(5)의 각도가 90도 이상으로 될 수 있어서, 도어가 수납장 본체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닫히게 된다. 즉, 도어가 수납장에 완전히 닫힌 상태가 아니라 일부 열린 상태로 위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브라켓 높이 조절볼트가 외측브라켓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작업자들에게 불편함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4579호 (2011.03.17)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1373호 (2013.04.3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납장에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라켓 본체의 상하 승강시 승강운동에 대해 제한 기능을 제공하여 문닫힘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는, 수납장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본체, 수납장의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 및 상기 브라켓본체와 도어플레이트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외측브라켓; 상기 외측브라켓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 및 상기 내측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브라켓과 나사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 높이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 높이 조절볼트는,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부; 상기 외측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나사부; 및 상기 내측브라켓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의 크기는 상기 외측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브라켓의 전면부 양쪽 측부에는 그 하단 일측에 상기 외측브라켓의 하강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브라켓과 상기 외측브라켓의 후방에 그들을 연결하는 회동축이 더 설치되고,
상기 내측브라켓의 후면부 양쪽 측부에는 회동축이 가로질러서 위치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는, 양측에 수평장공이 형성된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중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수평장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겹친 상태에서 상기 수평장공과 관통공을 지나서 수납장의 벽체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의 일측에는 수직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수직장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 본체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정장치는, 환형의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저면에 머리부의 지름보다 작은 환형의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저면에는 편심되게 위치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고정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편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머리부의 지름은 상기 머리부가 상기 수직장공을 관통하지 못하도록 상기 수직장공의 타원형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의 지름은 상기 수직장공의 타원형 좌우폭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며, 상기 작동부의 측면부가 상기 수직장공의 내벽면과 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 본체의 상하 승강시 승강운동에 대해 제한 기능을 제공하여 문닫힘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납장에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 본체에 설치되는 브라켓 높이조절볼트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브라켓 높이조절볼트가 외측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 힌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도어 힌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도어 힌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도어 힌지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에서 내측브라켓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에서 개선된 브라켓 높이조절볼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에서 내측브라켓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닫힘 성능 향상을 위한 도어 힌지장치는, 크게 수납장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30),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30)의 상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본체(20), 수납장의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25), 상기 브라켓본체(20)와 도어플레이트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6), 및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 본체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는 대략 T자 형태로 된 상부판(31)과 하부판(32)이 중첩되고, 결합볼트(35)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상부판(31)의 날개부 양측에는 각각 수평장공(34)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32)의 날개부 양측에는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장공(34)의 타원형 상하폭은 상기 결합볼트(35)의 헤드부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헤드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합볼트(35)는 상기 상부판(31)과 하부판(32)을 겹친 상태에서 상기 수평장공(34)과 관통공(33)을 지나서 수납장(100)의 벽체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와 상기 브라켓본체(20)가 결합되는 방식을 살펴보면, 상기 브라켓본체(20)의 하부에 걸고리(41)와 끼움돌기(43)가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에는 클램프(4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의 상부판(31) 전면에는 걸이부(45)와 상부판(31)의 중앙부에는 홈(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프(40)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판(31)의 후단에는 고정부재(4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본체(20)의 걸고리(41)를 상기 걸이부(45)에 걸은 상태에서 브라켓본체(20)를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끼움돌기(43)가 상기 홈(47)에 삽입되어 위치가 결정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클램프(40)가 상기 고정부재(49)에 걸림으로써, 상기 브라켓본체(20)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에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위치조정장치(50)가 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상부판(31)의 날개부 일측에는 수직장공(37)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32)에는 상기 수직장공(37)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홀(38)이 형성된다.
상기 위치조정장치(50)는 환형의 머리부(51), 상기 머리부(51)의 저면에 머리부의 지름보다 작은 환형의 작동부(53) 및 상기 작동부(53)의 저면에는 편심되게 위치하여 일체로 형성된 편심축(5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머리부(51)의 지름은 상기 수직장공(37)의 타원형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머리부(51)가 상기 수직장공(37)을 관통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머리부(51)의 상부에는 머리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요부(5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부(57)는 필요에 따라서 일자형, 십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요부(57)에 대응하는 회전용 도구(예, 일자형 드라이버, 십자형드라이버 또는 다각형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위치조정장치(5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53)의 지름은 상기 수직장공(37)의 타원형 좌우폭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53)의 측면부가 상기 수직장공(37)의 내벽면과 면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심축(55)은 상기 하부판(32)의 고정홀(38)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본체(20)는 도어플레이트(25)에 연결되는 외측브라켓(21)과, 상기 외측브라켓(21)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23)을 구비한다.
상기 내측브라켓(23)은 하부에 걸고리(41)와 끼움돌기(42)를 구비하고, 후단에 클램프(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측브라켓(23)에 결합되고 외측브라켓(21)과 나사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 높이 조절볼트(6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브라켓(23)과 상기 외측브라켓(21)을 회동축(22)이 일측에서 연결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 높이조절볼트(6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30)에 결합된 내측브라켓(23)에 대해서 상기 외측브라켓(21)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내측브라켓(23)의 전면부 양쪽 측부에는 그 하단 일측에 스톱퍼(24)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브라켓(23)의 후면부 양쪽 측부에는 회동축(22)이 가로질러서 위치하는 장공(29)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축(22)은 상기 내측브라켓(23)에 형성된 한 쌍의 장공(29)을 통과해서 상기 외측브라켓(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스톱퍼(24)는 상기 브라켓 높이조절볼트(6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내측브라켓(23)에 대한 외측브라켓(21)의 상하 승강운동시 외측브라켓(21)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내측브라켓(23)의 상부 전면에는 결합요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요홈(28)에는 상기 브라켓 높이조절볼트(60)가 결합된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 높이조절볼트(60)는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부(63), 상기 외측브라켓(21)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나사부(61) 및 상기 내측브라켓(23)의 결합요홈(28)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6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헤드부의 크기는 상기 외측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헤드부가 나사공으로 빠지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닫힘 성능 향상을 위한 도어 힌지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높이조절볼트(60)의 헤드부(63)를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나사부(61)가 외측브라켓(21)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외측브라켓(21)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외측브라켓(21)은 최대로 상기 스톱퍼(24)까지만 하강하게 됨으로써, 그 하강 범위가 제한되고, 그로 인해 도어(100)와 수납장(200)의 문닫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도 8 참조).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브라켓(21)이 상기 스톱퍼(24)까지 하강했을 때, 상기 도어(100)와 수납장(200)의 각도는 84°∼87°의 각도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각도를 이룸으로써, 도어는 닫히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항상 완전하고 정확하게 닫힐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브라켓 본체 21: 외측브라켓
22: 회동축 23: 내측브라켓
24: 스톱퍼
25: 도어플레이트 26: 힌지부
28: 결합요홈 29: 장공
30: 마운팅플레이트 41: 걸고리
43: 끼움돌기 45: 걸이부
47: 홈 50: 위치조정장치
60: 브라켓 높이조절볼트 61: 나사부
63: 헤드부 67: 하부결합부

Claims (8)

  1. 수납장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브라켓 본체, 수납장의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 및 상기 브라켓본체와 도어플레이트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외측브라켓; 상기 외측브라켓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 및 상기 내측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브라켓과 나사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 높이 조절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높이 조절볼트는,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부;
    상기 외측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나사부; 및
    상기 내측브라켓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브라켓의 전면부 양쪽 측부에는 그 하단 일측에 상기 외측브라켓의 하강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브라켓과 상기 외측브라켓의 후방에 그들을 연결하는 회동축이 더 설치되고, 상기 내측브라켓의 후면부 양쪽 측부에는 회동축이 가로질러서 위치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크기는 상기 외측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는,
    양측에 수평장공이 형성된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중첩되어 결합되고, 상기 수평장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을 겹친 상태에서 상기 수평장공과 관통공을 지나서 수납장의 벽체에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의 일측에는 수직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에는 상기 수직장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 본체의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조정장치는,
    환형의 머리부;
    상기 머리부의 저면에 머리부의 지름보다 작은 환형의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의 저면에는 편심되게 위치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고정홀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편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지름은 상기 머리부가 상기 수직장공을 관통하지 못하도록 상기 수직장공의 타원형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지름은 상기 수직장공의 타원형 좌우폭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며, 상기 작동부의 측면부가 상기 수직장공의 내벽면과 면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KR1020180043158A 2018-04-13 2018-04-13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KR102105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58A KR102105871B1 (ko) 2018-04-13 2018-04-13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58A KR102105871B1 (ko) 2018-04-13 2018-04-13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82A KR20190119782A (ko) 2019-10-23
KR102105871B1 true KR102105871B1 (ko) 2020-04-29

Family

ID=6846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158A KR102105871B1 (ko) 2018-04-13 2018-04-13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8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755Y1 (ko) * 2001-08-24 2001-11-26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WO2009127335A1 (de) * 2008-04-16 2009-10-22 Grass Gmbh & Co. Kg Möbelscharnier
US20130305487A1 (en) * 2011-02-09 2013-11-21 Julius Blum Gmbh Furniture hin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579B1 (ko) 2009-03-16 2011-03-31 (주)문주하드웨어 도어 힌지용 마운팅플레이트
KR101047855B1 (ko) * 2009-10-21 2011-07-08 표진호 고정판을 고정한 가구힌지
KR101261373B1 (ko) 2012-04-30 2013-05-06 (주)문주하드웨어 도어용 댐퍼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755Y1 (ko) * 2001-08-24 2001-11-26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용 힌지
WO2009127335A1 (de) * 2008-04-16 2009-10-22 Grass Gmbh & Co. Kg Möbelscharnier
US20130305487A1 (en) * 2011-02-09 2013-11-21 Julius Blum Gmbh Furniture hi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782A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7880C (en) Adjustable hinge
US20060137139A1 (en) Hinge device able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a door and a doorframe in different manners
KR102105870B1 (ko) 문닫힘 성능 향상을 위한 도어 힌지장치
EP2128370B1 (en) Door closing device and door device provided therewith
JP3891956B2 (ja) フレーム付きの家具用の小型ヒンジ
US20070240283A1 (en) Hinged for doors or windows
US10914109B2 (en) Hinge device
KR102105871B1 (ko)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CN111094681B (zh) 用于在窗户或门上的被遮盖的装置的转动配件
CN113195906B (zh) 家具驱动装置
EP3296491B1 (en) Adjustable latching hinge
KR20200009557A (ko) 경첩의 결합구조
KR100911572B1 (ko) 테일게이트 글래스의 힌지장치
CA3020835C (en) End load arm
US20040100104A1 (en) Adjustable sliding bolt for a lock
JP2002357043A (ja) 蝶 番
JP5474650B2 (ja) ヒンジ用カバー
KR20200009546A (ko) 경첩의 위치조정장치
KR200339341Y1 (ko) 도어경첩
KR102433485B1 (ko)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KR102427689B1 (ko)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CN213175229U (zh) 一种平开窗铰链
CN214273284U (zh) 一种家具铰链底座调节机构及具有该调节机构的铰链
EP2937500A1 (en) Pivot for a door
CN213980276U (zh) 执手组件及门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