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689B1 -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 Google Patents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689B1
KR102427689B1 KR1020220059378A KR20220059378A KR102427689B1 KR 102427689 B1 KR102427689 B1 KR 102427689B1 KR 1020220059378 A KR1020220059378 A KR 1020220059378A KR 20220059378 A KR20220059378 A KR 20220059378A KR 102427689 B1 KR102427689 B1 KR 102427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bracket
inner bracket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진호
황근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9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돌출판의 상면에 턱을 구비하지 않으면서 나사머리부의 회전방향(또는 조절방향)에 상관없이 한 방향으로만 돌려도 내측브라켓이 용이하게 전진 또는 후진하여 도어의 닫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측브라켓(110)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내부에 장공(112)을 구비하는 돌출판(114)과; 상기 돌출판(114)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회전판(120)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의 상면에 위치되되, 내부 일측에 수용공(107)을 구비하여 마운팅플레이트(10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본체(108)와; 상기 수용공(107)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브라켓본체(108)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측브라켓(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측브라켓(11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해 주는 상하높이조절볼트(118)와; 상기 회전판(12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브라켓본체(108)의 수용공(107)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나사머리부(122)와; 상기 회전판(120)의 저면 일측에 편심지게 하측방향으로 설치되되, 돌출판(114)의 장공(112)에 위치되어 나사머리부(122)의 회전시 장공(112)에서 회전되어 내측브라켓(110)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주는 조절기둥(124)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DOOR HINGE WITH DOOR CLOSING ADJUSTMENT MEANS}
본 발명은 도어경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판의 상면에 턱을 구비하지 않으면서 나사머리부의 회전방향(또는 조절방향)에 상관없이 한 방향으로만 돌려도 내측브라켓이 용이하게 전진 또는 후진하여 도어의 닫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과 같은 여닫이식 문에는 도어힌지장치(또는 도어경첩)가 부착된다.
도 1은 종래 도어힌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도어힌지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도어힌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힌지장치는 브라켓본체(2), 상기 브라켓본체(2)에 장착되며 수납장 벽체에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4) 및 상기 브라켓본체(2)에 연결되며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5)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힌지장치의 브라켓본체(2)는 도어플레이트(5)에 연결되는 외측브라켓(18)과, 상기 외측브라켓(18)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19)을 구비한다.
상기 내측브라켓(19)은 하부에 걸고리(7)와 끼움돌기(8)가 형성되고, 후단에 클램프(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브라켓(19)에 결합되고 외측브라켓(18)과 나사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높이조절볼트(1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브라켓(18)과 외측브라켓(19)을 회동축(17)이 일측에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높이조절볼트(16)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에 결합된 내측브라켓(19)에 대해서 외측브라켓(18)이 상하로 승강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4)는 대략 십자형태로 된 상부판(11)과 하부판(12)이 중첩되고, 4군데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통공(6)이 형성되며, 하부판(12)과 상부판(11)은 가이드핀(15) 및 볼트(14)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핀(15)은 하부판(12)에 형성되어 상부판(11)의 장공을 통과해 결합되고, 상기 볼트(14)는 상부판(11)의 홈(도시되지 않았음)에 끼워져 하부판(12)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내측브라켓(19)에 대한 외측브라켓(18)의 승강운동에 대한 스톱퍼 기능이 없어서 브라켓높이조절볼트(16)를 최대로 회전시키게 되면, 내측브라켓(19)이 외측브라켓(18)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브라켓본체(2)와 도어플레이트(5)의 각도가 90도 이상으로 될 수 있어서, 도어가 수납장 본체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닫히게 된다. 즉, 도어가 수납장에 완전히 닫힌 상태가 아니라 일부 열린 상태로 위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2018년 04월 13일자 출원번호 제10-2018-0043158호(발명의 명칭 :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힌지장치)로 특허청에 출원된 바 있으며, 도 4를 참조하여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청구범위는 " 수납장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는 브라켓본체, 수납장의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 및 상기 브라켓본체와 도어플레이트를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본체는, 상기 도어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외측브라켓; 상기 외측브라켓의 내측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내측브라켓; 및 상기 내측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외측브라켓과 나사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브라켓높이조절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높이조절볼트는, 상부에 위치하는 헤드부; 상기 외측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나사부; 및 상기 내측브라켓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브라켓의 전면부 양쪽 측부에는 그 하단 일측에 상기 외측브라켓의 하강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측브라켓과 상기 외측브라켓의 후방에 그들을 연결하는 회동축이 더 설치되고, 상기 내측브라켓의 후면부 양쪽 측부에는 회동축이 가로질러서 위치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힌지장치. " 이다.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도어힌지장치(또는 도어경첩)는 꾸준히 연구 및 개발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출원인은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힌지장치 외에 돌출판의 상면에 턱을 구비하지 않으면서 나사머리부의 회전방향(또는 조절방향)에 상관없이 한 방향으로만 돌려도 내측브라켓이 용이하게 전진 또는 후진하여 도어의 닫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돌출판의 상면에 턱을 구비하지 않으면서 나사머리부의 회전방향(또는 조절방향)에 상관없이 한 방향으로만 돌려도 내측브라켓이 용이하게 전진 또는 후진하여 도어의 닫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은,
수납장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10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도어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104)와; 상기 도어플레이트(104)의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106)와; 상기 힌지(106)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116)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위치되되, 회전부(116)에 연결되어 회전부(116)의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여 도어의 급작스러운 닫힘이나 도어의 충격 소음발생을 미연에 방지해 주는 내측브라켓(110)을 포함한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에 있어서,
상기 내측브라켓(110)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내부에 장공(112)을 구비하는 돌출판(114)과;
상기 돌출판(114)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회전판(120)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의 상면에 위치되되, 내부 일측에 수용공(107)을 구비하여 마운팅플레이트(10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본체(108)와;
상기 수용공(107)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브라켓본체(108)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측브라켓(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측브라켓(11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해 주는 상하높이조절볼트(118)와;
상기 회전판(12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브라켓본체(108)의 수용공(107)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나사머리부(122)와;
상기 회전판(120)의 저면 일측에 편심지게 하측방향으로 설치되되, 돌출판(114)의 장공(112)에 위치되어 나사머리부(122)의 회전시 장공(112)에서 회전되어 내측브라켓(110)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주는 조절기둥(124)을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은 돌출판의 상면에 턱을 구비하지 않으면서 나사머리부의 회전방향(또는 조절방향)에 상관없이 한 방향으로만 돌려도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고 빠르게 내측브라켓을 조절 즉,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음으로써, 도어의 닫힘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어힌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도어힌지장치에 대한 분해도,
도 3은 도 1의 도어힌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힌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의 요부 분해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은 도 5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이 수납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의 도어닫힘조절볼트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의 요부 분해도이며,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100)은,
수납장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10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도어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104)와;
상기 도어플레이트(104)의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106)와;
상기 힌지(106)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116)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위치되되, 회전부(116)에 연결되어 회전부(116)의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여 도어의 급작스러운 닫힘이나 도어의 충격 소음발생을 미연에 방지해 주는 내측브라켓(110)과;
상기 내측브라켓(110)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내부에 장공(112)을 구비하는 돌출판(114)과;
상기 돌출판(114)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회전판(120)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의 상면에 위치되되, 내부 일측에 수용공(107)을 구비하여 마운팅플레이트(10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본체(108)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수용공(107)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브라켓본체(108)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측브라켓(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측브라켓(11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해 주는 상하높이조절볼트(118)와;
상기 회전판(12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브라켓본체(108)의 수용공(107)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나사머리부(122)와;
삭제
삭제
상기 회전판(120)의 저면 일측에 편심지게 하측방향으로 설치되되, 돌출판(114)의 장공(112)에 위치되어 나사머리부(122)의 회전시 장공(112)에서 회전되어 내측브라켓(110)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주는 조절기둥(1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본체(108)의 수용공(107)과 장공(112)을 구비하는 돌출판(114)과 회전판(120)과 나사머리부(122) 및 조절기둥(124)은 도어닫힘조절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1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100)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마운팅플레이트(102)를 위치시킨 후,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도어플레이트(104)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도어플레이트(104)의 일측에 힌지(106)를 설치한 후, 힌지(106)의 일측에 회전부(116)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내측브라켓(110)를 위치시킨 후, 회전부(116)의 일측에 내측브라켓(11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브라켓(110)의 상면 일측에 장공(112)을 구비하는 돌출판(114)을 설치한다.
그리고, 회전판(120)을 위치시킨 후, 상기 회전판(120)의 상면 중앙에 나사머리부(122)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120)의 저면 일측에 편심지게 하측방향으로 조절기둥(124)을 설치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브라켓본체(108)의 수용공(107)에 나사머리부(122)를 끼운다.
삭제

그리고, 상기 내측브라켓(110)의 상면에 브라켓본체(108)를 위치시킨 후, 마운팅플레이트(102)의 상면 일측에 브라켓본체(108)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회전판(120)이 돌출판(114)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조절기둥(124)이 돌출판(114)의 장공(112)에 위치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하높이조절볼트(118)를 위치시킨 후, 상기 상하높이조절볼트(118)를 브라켓본체(108)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측브라켓(110)의 일측에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상하높이조절볼트(118)는 내측브라켓(11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해 준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100)의 동작에 앞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장의 내벽 일측에 마운팅플레이트(102)를 설치하고,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도어의 내벽 일측에 도어플레이트(104)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본체(108)의 수용공(107)에 수용된 나사머리부(122)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돌린다.
상기와 같이 나사머리부(122)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돌출판(114)의 장공(112)에 위치된 조절기둥(124)이 편심지게 회전하고, 상기 조절기둥(124)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120)이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지게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120)의 편심 회전에 따라, 회전판(120)이 내측브라켓(11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돌출판의 상면에 턱을 구비하지 않으면서 나사머리부의 회전방향(또는 조절방향)에 상관없이 한 방향으로만 돌려도 내측브라켓이 용이하게 전진 또는 후진하여 도어의 닫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102 : 마운팅플레이트
104 : 도어플레이트
106 : 힌지
107 : 수용공
108 : 브라켓본체
110 : 내측브라켓
112 : 장공
114 : 돌출판
116 : 회전부
118 : 상하높이조절볼트
120 : 회전판
122 : 나사머리부
124 : 조절기둥

Claims (2)

  1. 수납장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마운팅플레이트(10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도어의 내벽 일측에 설치되는 도어플레이트(104)와; 상기 도어플레이트(104)의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106)와; 상기 힌지(106)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116)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의 상면에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위치되되, 회전부(116)에 연결되어 회전부(116)의 회전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여 도어의 급작스러운 닫힘이나 도어의 충격 소음발생을 미연에 방지해 주는 내측브라켓(110)을 포함한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에 있어서,
    상기 내측브라켓(110)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어 내부에 장공(112)을 구비하는 돌출판(114)과;
    상기 돌출판(114)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회전판(120)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02)의 상면에 위치되되, 내부 일측에 수용공(107)을 구비하여 마운팅플레이트(10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본체(108)와;
    상기 수용공(107)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브라켓본체(108)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측브라켓(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측브라켓(11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해 주는 상하높이조절볼트(118)와;
    상기 회전판(12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브라켓본체(108)의 수용공(107)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나사머리부(122)와;
    상기 회전판(120)의 저면 일측에 편심지게 하측방향으로 설치되되, 돌출판(114)의 장공(112)에 위치되어 나사머리부(122)의 회전시 장공(112)에서 회전되어 내측브라켓(110)을 전진 또는 후진시켜 주는 조절기둥(124)을 더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본체(108)의 수용공(107)과 장공(112)을 구비하는 돌출판(114)과 회전판(120)과 나사머리부(122) 및 조절기둥(124)은 도어닫힘조절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2. 삭제
KR1020220059378A 2022-05-16 2022-05-16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KR102427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378A KR102427689B1 (ko) 2022-05-16 2022-05-16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378A KR102427689B1 (ko) 2022-05-16 2022-05-16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689B1 true KR102427689B1 (ko) 2022-08-03

Family

ID=8284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378A KR102427689B1 (ko) 2022-05-16 2022-05-16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6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1834B2 (ja) * 2010-10-29 2013-09-18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用基部
KR20200024265A (ko) * 2017-06-29 2020-03-06 헷티히-오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힌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1834B2 (ja) * 2010-10-29 2013-09-18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用基部
KR20200024265A (ko) * 2017-06-29 2020-03-06 헷티히-오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335B1 (en) Door supporting device
US20080034539A1 (en) Adjustable refrigerator door hinge
KR102427689B1 (ko)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KR102433485B1 (ko) 도어닫힘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경첩
JP2002250171A (ja) ヒンジ装置
KR102176888B1 (ko) 도어 수직바의 위치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도어
CN113195906B (zh) 家具驱动装置
KR102105870B1 (ko) 문닫힘 성능 향상을 위한 도어 힌지장치
KR20090031116A (ko) 도어힌지
KR200411572Y1 (ko) 문과 그 문이 설치되는 문틀
JP2602937Y2 (ja) 調整蝶番
KR102255003B1 (ko) 여닫이문 귀환장치
KR102558155B1 (ko) 도어경첩 보호덮개
EP1828515B1 (en) Adjustable door hinge
KR102105871B1 (ko) 브라켓본체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도어 힌지장치
JP4050518B2 (ja) 扉開閉装置
CN219158721U (zh) 一种三维可调铝框门阻尼铰链装置
KR200233704Y1 (ko) 고정수단을 구비한 도어용 경첩
KR102181562B1 (ko) 개방각도가 확대된 여닫이 도어
CN218467394U (zh) 一种铰接结构和转动门
KR101900854B1 (ko) 쇼크 업소버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
JP2001020591A (ja) ドア用ヒンジ
JP2789439B2 (ja) ドア用のピボット金具
KR102130500B1 (ko) 도어용 힌지어셈블리
JP2544673Y2 (ja) 門扉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