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159Y1 -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159Y1
KR200283159Y1 KR2020020012691U KR20020012691U KR200283159Y1 KR 200283159 Y1 KR200283159 Y1 KR 200283159Y1 KR 2020020012691 U KR2020020012691 U KR 2020020012691U KR 20020012691 U KR20020012691 U KR 20020012691U KR 200283159 Y1 KR200283159 Y1 KR 200283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purification
air supply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섭
Original Assignee
(주)한일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일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한일이에스티
Priority to KR2020020012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159Y1/ko

Links

Landscapes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의 부레의 일측으로 공기공급기가 구비되어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정수 및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부레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하부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요동체에 의해 수질을 정화시키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레의 일측으로 장착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하부로 연통되어 구비되는 흡수관과, 상기 펌프의 일측으로 연통되어 구비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끝단으로 장착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공기수용부와, 상기 공기수용부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통되어 구비되는 공기유입관과, 상기 공기수용부의 일측으로 연통되고 하향으로 절곡된 토출관으로 구성되는 보조정화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정화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보다 많은 수질의 정화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장치 하나가 정화시키는 정화범위 및 정화수량이 현저히 상승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A purification apparatus to be usable of a shaking body with a air feeder}
본 고안은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요동체의 요동에 의해 물의 정화작용이 일어나는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장치의 부레의 일측으로 공기공급기가 구비되어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정수 및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는 수면에 부상한 상태에서 수면과 닿아있는 방사형의 요동체가 요동함으로서 수면과 외부공기의 접촉면적을 높여 외부공기에 내포되는 산소가 원활히 물에 녹아들도록 하여 물에 산소가 자연스럽게 공급됨으로서 고여있는 물이나 오염물질 및 부유물이 함유된 물 등을 점차적으로 자연스럽게 정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장치로,
대형수족관이나 담수호, 양어장, 폐수 및 하수처리장의 대형수조, 저수지 등의 수질의 정화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정화장치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개량한 것으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실용신안등록 제249119호)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정화장치는 요동체만으로 수질의 정화가 일어남으로서, 정화효율이 떨어져 장치 한 대당 정화범위와 정화수량이 제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제한으로 대형의 저수지 등에는 다수개의 정화장치가 요구되는 등 설비에 다소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정화장치는 그 크기에 비하여 적절한 정화효율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의 부레의 일측으로 공기공급기가 구비되어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정수 및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는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공급부의 토출관이 요동체에서 생성되는 물결의 진행방향의 중심쪽으로 하향 설치되어 공기가 그 진행방향의 중심을 따라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정화장치의 다수개의 공기공급부가 설치되어 수질의 오염도에 따라 적절한 정화가 일어나도록 하는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부레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하부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요동체에 의해 수질을 정화시키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레의 일측으로 장착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하부로 연통되어 구비되는 흡수관과, 상기 펌프의 일측으로 연통되어 구비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끝단으로 장착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공기수용부와, 상기 공기수용부의 상부로 연통되어 구비되는 공기유입관과, 상기 공기수용부의 일측으로 연통되고 하향으로 절곡된 토출관으로 구성되는 공기공급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는 그 하부의 토출관을 지나는 공기가 요동체에 의해생성되는 물결의 진행방향의 중심과 하부를 향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는 두개의 부레의 일측에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공급부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공급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화장치
10 : 부레 20 : 프레임 30 : 요동체
40 : 요동체 구동부
50 : 공기공급부
51 : 펌프 52 : 흡수관 53 : 배수관
54 : 분사노즐 55 : 공기수용부 56 : 공기유입관
57 : 토출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화장치의 전체 사시도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정화장치(1)는 두개의 부레(10)의 상측으로 프레임(2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20)의 상부로 요동체 구동부(40)가 구비되며, 상기 요동체 구동부(40)의 하부로 요동체(3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부레(10)의 일측으로 공기공급부(5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레(10)는 상기 정화장치(1)가 수면에 떠 있도록 하는 것이고, 프레임(20)은 요동체 구동부(40)가 상기 부레(10)의 사이에 설치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요동체 구동부(40)는 요동체(30)가 회동되도록 구동력을 주는 것이고, 상기 요동체(30)는 수면에서 상하좌우 회동되어 공기 중의 산소가 수중으로 녹아들어 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부(50)는 펌프(51)의 하부로 흡수관(52)이 구비되고, 상기 펌프(51)의 일측으로 배수관(53)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53)의 끝으로 공기유입관(56)을 갖는 공기수용부(55)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수용부(55)의 끝으로 토출관(57)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공기공급부(50)는 본 정화장치(1)의 요동체(30)에 의한 정화효과에 보조적으로 정화효과를 더 발생시킴으로 전체적인 정화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펌프(51)는 흡수관(52)으로 물을 흡입하여 배수관(53)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공기수용부(55)는 공기유입관(56)으로 유입되는 대기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토출관(57)은 상기 배수관(53)에서 배출되는 물에 상기 공기수용부(55)에 있는 공기가 섞여서 수중으로 토출되는 곳이다.
그러므로, 상기 공기공급부(50)는 펌프(51)를 이용하여 수중의 물을 흡입하여 공기와 섞어서 수중으로 다시 배출시킴으로서, 공기 중에 포함되는 산소가 수중에서 쉽게 녹아들어 수질을 정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공기공급부(50)는 요동체(30)의 회전으로 인한 수면의 파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공급부의 종단면도를 살펴보면,
공기공급부(50)는 부레(10)의 일측에 펌프(51)가 장착되고, 상기 펌프(51)의 하부로 연통되는 흡수관(52)이 구비되며, 상기 펌프(51)의 일측으로 배수관(53)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53)의 끝으로 분사노즐(54)이 장착되며, 상기 분사노즐(54)을 둘러싸도록 상기 배수관(53)에 공기수용부(55)가 구비되고, 상기공기수용부(55)의 상부로 연통되는 공기유입관(56)이 구비되며, 상기 공기수용부(55)의 끝으로 하향 절곡되는 토출관(57)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흡수관(52)은 수중의 물을 펌프(51)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향으로 수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분사노즐(54)은 상기 펌프(51)에서 흡입된 물이 배출되는 배수관(53)의 끝에 장착되어 물이 가속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분사노즐(54)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공기수용부(55)는 상기 분사노즐(54)에 의해 가속 분사되어 토출관(57)으로 분출되는 물을 따라 공기가 섞이도록 하기 위해 공기유입관(56)을 통해 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토출관(57)은 공기수용부(55)의 공기와 분사노즐(54)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섞여서 토출되는 부분인데, 그 일측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토출되는 공기와 물이 수중으로 깊숙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토출관(57)은 수중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수중에서 다소 오래 있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공기 중의 산소가 더욱 많이 물 속에서 녹아 수중의 용존산소를 높여주고, 그에 따라 수질이 자연적인 정화가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펌프(51)는 수중에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수중펌프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공급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살펴보면,
공기공급부(50)는 부레(10)의 일측에 장착되는 펌프(51)를 통해 흡수관(52)으로 수중의 물을 흡입하고, 배수관(53)의 끝에 장착되는 분사노즐(54)을 통해 분사를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레(10)에 의해 상기 공기공급부(50)는 수면에 떠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펌프(51)의 가동으로 상기 분사노즐(54)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토출관(57)으로 유입되고, 그에 따라 공기유입관(56)을 통해 공기수용부(55)에 내재되는 공기를 빨아들이듯이 함께 상기 토출관(57)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토출관(57)을 통해 수중으로 유입되는 물은 많은 공기가 뒤섞여 있고, 이 공기가 수중으로 들어감으로서 공기 중에 함유하는 산소가 물 속에 녹아들어 수중의 용존산소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토출관(57)은 하향으로 절곡되어 물과 섞여있는 공기가 수중으로 깊숙이 유입되도록 함으로서, 보다 오랫동안 공기가 수중에 잔류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보다 많은 산소가 수중에 녹아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기공급부(50)는 저수지 등에 수중의 물을 빨아들여 공기와 섞어서 다시 수중으로 토출함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수중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저수지 등의 용존산소를 향상시키고, 이런 용존산소의 향상으로 인해 수질의 자연정화가 향상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살펴보면,
정화장치(1)에 구비되는 두개의 부레(10)의 일측으로 다수개의 공기공급부(50)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공급부(50)의 토출관(57)으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요동체(30)에 의해 발생되는 물결의 진행방향의 중심을 따라 공급되도록 상기 토출관(57)이 비스듬히 하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토출관(57)에 의해 공급된 공기는 더욱 멀리 퍼져나가면서 수중에 흡수되어, 결국 물의 용존산소량을 높여주게 됨으로 수질의 정화에 더욱 빠른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요동체(30)에 의해 생성되는 물결의 중심에서 그 양측으로 비스듬하게 상기 토출관(57)이 설치되어, 그 물결의 중심의 양측에서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곡선을 그으며 공기가 이동하고 결국은 물결의 중심에 모여서 그 진행방향을 따라 공기가 밀려올라 오도록 공급되면,
수중에 공기 중의 산소가 용이하게 녹아들면서 동시에 물결의 진행이 촉진되어 대기와 만나는 수면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공급되는 공기와 대기 중의 산소가 용이하게 수중으로 녹아서 흡수되어 자연적인 정화효율이 증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요동체(30)의 물결의 중심을 따라 비스듬하게 구비되는 토출관(27)에 의해 공기가 하부에서 이 중심을 향해 수중으로 공급되면 본 정화장치(1)의 정화효율이 배가되어 저수지 등의 넓은 범위의 수질정화도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오염도가 극심한 저수지 등에는 다수개의 공기공급부(50)를 장착한 정화장치(1)를 구비하여, 그 오염도에 따른 적절한 정화가 일어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별도로 다수개의 정화장치(1)를 구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나의 정화장치(1)로 다수개의 정화장치(1)와 동일한 정화효율을 발생시킴으로, 보다 적절하고 합리적인 정화설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화장치(1)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공기공급부(50)는 요동체(30)의 물결의 진행방향을 따라 적절히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즉, 상기 공기공급부(50)에 구비되는 토출관(57)이 상기 요동체(50)의 물결의 진행방향의 중심을 따라 비스듬하게 구비된 상태로 하향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정화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의 부레의 일측으로 공기공급기가 구비되어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정수 및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보다 많은 수질의 정화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장치 하나가 정화시키는 정화범위 및 정화수량이 현저히 상승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공기공급부의 토출관이 요동체에 의해 생성되는 물결의 진행방향의 중심쪽으로 하향 설치되어 공기가 그 진행방향의 중심을 따라 공급되도록 하여, 공급되는 공기 중의 산소가 더욱 용이하게 물 속으로 흡수되고 아울러 요동체에 의해 생성되는 물결의 진행이 현저히 촉진되며 그에 따라 정화효율이 한층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정화장치의 다수개의 공기공급부가 설치로 수질의 오염도에 따라 적절한 정화가 일어나도록 하여, 간단한 장착으로 정화효율을 극대화시키고여러 개의 정화장치를 설치함으로 발생하는 설비비용의 증대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부레(10)에 설치되는 프레임(20)의 하부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요동체(30)에 의해 수질을 정화시키는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레(10)의 일측으로 장착되는 펌프(51)와, 상기 펌프(51)의 하부로 연통되어 구비되는 흡수관(52)과, 상기 펌프(51)의 일측으로 연통되어 구비되는 배수관(53)과, 상기 배수관(53)의 끝단으로 장착되는 분사노즐(54)과, 상기 분사노즐(54)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공기수용부(55)와, 상기 공기수용부(55)의 상부로 연통되어 구비되는 공기유입관(56)과, 상기 공기수용부(55)의 일측으로 연통되고 하향으로 절곡된 토출관(57)으로 구성되는 공기공급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50)는,
    그 하부의 토출관(57)을 지나는 공기가 요동체(30)에 의해 생성되는 물결의 진행방향의 중심과 하부를 향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부(50)는,
    두개의 부레(10)의 일측에 다수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
KR2020020012691U 2002-04-25 2002-04-25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 KR200283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691U KR200283159Y1 (ko) 2002-04-25 2002-04-25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691U KR200283159Y1 (ko) 2002-04-25 2002-04-25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159Y1 true KR200283159Y1 (ko) 2002-07-26

Family

ID=73121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691U KR200283159Y1 (ko) 2002-04-25 2002-04-25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1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014B1 (ko) 2012-06-22 2013-01-22 천상준 축산용 폭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014B1 (ko) 2012-06-22 2013-01-22 천상준 축산용 폭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4003B2 (en) Ultrafine bubble generation device for aquaculture or wastewater treatment
CN106045077A (zh) 一种景观河道曝气装置及曝气方法
JP2009202038A (ja) 太陽光発電による浮体式水循環ろ過エアレーション水質浄化装置
WO2000041801A1 (fr) Dispositif melangeur de gaz/liquide
KR100714227B1 (ko) 여과 정수 장치
JPH0919694A (ja) オゾン浄化装置
KR200283159Y1 (ko) 공기공급기가 구비된 요동체를 이용한 정화장치
JP4374885B2 (ja) 膜分離装置
JP4819841B2 (ja) 膜分離装置
JPH11156148A (ja) 湿式オゾン脱臭装置
KR100301521B1 (ko) 거품 부상식 슬러지 제거장치
JP2003126884A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KR20050024474A (ko) 오존살균 정수 시스템
JP2007275829A (ja) 浄化処理装置
JP2006263724A (ja) 燃焼排ガス浄化装置
KR101084061B1 (ko) 호수 정화장치
KR200166875Y1 (ko) 활어 수조용 정수장치
CN213387945U (zh) 臭氧催化氧化装置
KR101208816B1 (ko) 하천에서의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JP4207181B2 (ja) 水質改善装置
KR101227698B1 (ko) 이동용 수질정화장치
CN206751483U (zh) 一种水质消毒及蛋白分离系统
KR940008622Y1 (ko) 수처리 기포발생장치
KR200322493Y1 (ko) 해수의 정수 장치
JP2007050366A (ja) 排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