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493Y1 - 해수의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해수의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493Y1
KR200322493Y1 KR20-2003-0013607U KR20030013607U KR200322493Y1 KR 200322493 Y1 KR200322493 Y1 KR 200322493Y1 KR 20030013607 U KR20030013607 U KR 20030013607U KR 200322493 Y1 KR200322493 Y1 KR 200322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seawater
discharge
bubble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국경
Original Assignee
성국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국경 filed Critical 성국경
Priority to KR20-2003-0013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4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조내의 해수를 유입시키면서 벤추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한 후 미세한 공기방울들을 상부로 떠오르게 하여 상부에 체류하게 하면서 거품 등의 찌꺼기를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해수의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수조로부터 유입보조구(1)를 통하여 유입되는 해수가 유입구(3)와 분사관(7)을 통하여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된 "U자형"의 원통컵(8)을 향하여 토출되는데 이때 수중모터(5)의 토출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압에 의해 빨아들여진 공기와 혼합되므로 무수히 많은 미세한 기포와 함께 원통컵(8)을 향하여 토출되며, 원통컵(8)을 향하여 토출된 해수는 원통컵(8)의 바닥에 부딪히면서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수많은 기포군을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기포군이 다시 상방으로 솟구쳐올라 본체(2)의 상부에 설치된 저지판(9)에 의해 거품이 하향치 않고 그 자리에 머물게 되면서 거품이 점검 차올라서 거품 토출구(10)를 통하여 거품배출관(12)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관찰창(13)을 통해 거품의 배출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수의 정수 장치{A clean device of the seawater}
본 고안은 수족관 등에서 사용되는 해수의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조내의 해수를 유입시키면서 벤추리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한 후 미세한 공기방울들을 상부로 떠오르게 하여 상부에 체류되게 하면서 찌꺼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함께 정수된 해수를 다시 수조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어는 많은 분비물을 방출시켜서 수질 오염과 세균증식을 가중시킨다.
따라서, 횟집 등에서는 해수를 정수하기 위하여 수조 하단이나 측면에 여과조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으나, 정기적인 청소시에만 오염 물질의 배출이 가능하며 청소하기가 번거로운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정수장치의 유입보조구를 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곳에 위치시키면 이러한 유입보조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해수를 벤추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하여 원통컵내에서 부딪혀 상부로 떠오르게 하며, 상부의 저지판에서는 이러한 거품들이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거품 토출구로 토출시켜 거품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조내의 해수에 섞인 더러운 찌꺼기들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근 해수의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유입보조구 2:본체
3:유입구 5:수중모터
6:벤추리 7:분사관
8:원통컵 9:저지판
10:거품토출구 11:공기조절밸브
12:거품배출관 13:관찰창
14:구멍 15:걸개
18:산기관 19:에어호스
20:거품수집통 21:거품배출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조의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는 해수유입수단과, 수압에 의해 공기를 빨아들이도록 작동하는 수중모터와, 상기수중모터에 의한 공기와 해수를 분사하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을 통하여 토출된 기포를 상부로 올라가게 하는 원통컵과,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거품이 머물도록 하는 저지판과, 상기 저지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거품배출량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절밸브와, 거품을 토출하기 위한 거품토출구와, 상기 거품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거품을 배출하는 거품배출관 및 거품의 배출정도를 관찰하기 위한 관찰창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해수의 정수 장치의 구성도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해수를 유입시키는 유입보조구(1)와, 원통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2)와, 해수를 유입시키며 후방에 설치되는 수중모터(5)를 본체(2)에 고정시키는 유입구(3)와, 상기 유입구(3)의 후방에 설치되는 수중모터(5)와, 상기 수중모터(5)의 하부에 벤추리(6)를 매개하여 설치되어 유입되는 해수와 공기를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분사관(7)과, 상기 분사관(7)의 주위에 설치되며 U자형으로 형성된 원통컵(8)과, 상기 본체(2)의 상부에 설치되어 떠오르는 거품이 머무르도록 하는 저지판(9)과, 상기 저지판(9)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거품배출량과 속도를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11)와, 상기 저지판(9)의 상부에 형성되는 거품을 토출하는 거품토출구(10)와, 상기 거품토출구(10)를 통해 토출된 거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거품배출관(12)과, 상기 거품배출관(12)의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거품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관찰창(13)과, 상기 본체(2)의 밑면에 형성되어 유입수를 수조안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다수의 구멍(14)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는 정수장치를 수조의 상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개이다.
단, 상기 유입구(3)의 끝부분은 볼트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수중모터(5)의 일측에 형성된 너트에 결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벤추리(6)는 공기조절밸브(11)쪽과 연결되어 공기가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조로부터 유입보조구(1)를 통하여 유입되는 해수는 유입구(3)와 분사관(7)을 통하여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된 "U자형"의 원통컵(8)을 향하여 토출되는데 이때 수중모터(5)의 토출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압에 의해 빨아들여진 공기와 혼합되므로 무수히 많은 미세한 기포와 함께 원통컵(8)을 향하여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보조구(1)는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수면의 거품을 빨아들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유입보조구(1)를 하부에 위치시킬 경우 바닥의 찌꺼기를 흡입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원통컵(8)을 향하여 분사된 해수는 원통컵(8)의 바닥에 부딪히면서 수많은 기포군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기포군은 다시 솟구쳐 본체(2)의 상부로 떠오르며 수중의 유기물질을 포함하게 되며, 이때 본체(2)의 상부에는 저지판(9)이 설치되어 있어 상부로 떠오른 거품이 하향치 않고 그 자리에 머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저지판(9)의 상부에는 공기조절밸브(11)가 설치되어 있어 거품배출량 및 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저지판(9)의 상부에 형성되어 머무르는 거품이 점점 차오르면 거품 토출구(10)를 통하여 거품배출관(12)으로 배출되는데, 상기 거품배출관(12)에는 관찰창(13)이 형성되어 있어 거품들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의 하부에는 다수의 구멍(14)들이 형성되어 있어 유입구(3)를 통하여 유입된 유입수가 구멍(14)들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어 수조로 들어간다.
한편, 본 고안의 해수정수장치는 수조가 깊을 경우에는 상부에 걸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걸개(15)를 통하여 수조의 상부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다른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나, 본체(2)의 하부에 다수의 구멍(14)을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배출구(16)와 배출관(17)을 통하여 해수를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이 다르며, 하부에 고정홈(25)이 형성되어 있어 바닥의 고정구(26)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정수장치를 수조에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수조의 외부에도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외부설치시에는 배출관(17)의 길이로 본체의 수위를 조절한다.
이 경우 수위가 낮을 때에는 거품배출 속도가 느리게 되고, 수위가 높을 때에는 거품배출 속도가 빠르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제2실시예와 같은 수중모터(5)를 사용하지 않아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본체(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에어호스(19)를 통하여 에어를 주입받아 기포가 발생하게 하는 산기관(18)과, 상기 산기관(18)의 상부에 설치되어 기포군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고 하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저지통(22)과, 기포군이 해수내의 유기물질과 혼합되어 체류하면서 기포군에 유기물질이 포함되게 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거품배출구(21)가 형성되어 있어 거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거품수집통(2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본체(30)의 하판(23)에 산기관(18)을 설치하고, 이러한 산기관(18)에 에어호스(19)를 통하여 에어를 주입하면 다수의 기포군이 상부로 떠오르며 하판(23)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구멍을 통하여 수조내의 해수가 본체(30)로 유입되며, 유입된 해수와 다수의 기포군이 뒤섞이면서 해수내의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기포군이 떠오르며 상부에 거품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산기관(18)에 의해 발생된 기포군은 역류저지통(22)에 의해 하부로 역류하지 않고 상부로 떠오르게 되며, 유입된 해수는 하판(23)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구멍을 통하여 또한 수조내로 배출된다,
또한, 상부에는 거품수집통(20)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이러한 거품수집통(20)을 이탈시켜 청소할 수 있으며, 거품수집통(20)의 상부에는 뚜껑(2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는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맞춤끼우기로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3실시예의 경우 수중모터를 사용하지 않아 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체의 하부에 원통컵을 설치하고 이 원통컵내에 분사관을 설치함과 함께 벤추리를 설치하여 해수와 공기의 혼합에 의해 기포가 발생하여 원통컵에 의해 상방으로 떠오르도록 하고 상방에는 저지판을 설치하여 거품이 밑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하면서 거품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해수를 정화를 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원가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해수를 유입시키는 유입보조구와, 원통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해수를 유입시키며 본체내의 수중모터와 나사끼우기식으로 고정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는 수중모터와, 상기 수중모터의 하부에 벤추리를 매개하여 설치되어 유입되는 해수와 공기를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의 주위에 설치되며 U자형으로 형성되어 해수와 공기를 부딪혀 떠오르게 하는 원통컵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떠오르는 거품을 머무르게 하는 저지판과, 상기 저지판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거품배출량과 속도를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와, 상기 저지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거품을 토출하는 거품토출구와, 상기 거품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거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거품배출관과, 상기 거품배출관의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거품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관찰창과, 상기 본체의 밑면에 형성되어 유입수를 배출하는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정수장치.
  2.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해수를 유입시키는 유입보조구와, 원통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해수를 유입시키며 본체내의 수중모터와 나사끼우기식으로 고정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결합되는 수중모터와, 상기 수중모터의 하부에 벤추리를 매개하여 설치되어 유입되는 해수와 공기를 혼합하여 토출시키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의 주위에 설치되며 U자형으로 형성되어 해수와 공기를 부딪혀 떠오르게 하는 원통컵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떠오르는 거품을 머무르게 하는 저지판과, 상기 저지판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거품배출량과 속도를 조절하는 공기조절밸브와, 상기 저지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거품을 토출하는 거품토출구와, 상기 거품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거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거품배출관과, 상기 거품배출관의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배출되는 거품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관찰창과,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장착되어 유입수를 배출하는 배출관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 및 이 고정홈에 고정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정수장치.
  3.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에어호스를 통하여 에어를 주입받아 기포가 발생하게 하는 산기관과, 밑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해수를 유입 또는 배출할 수 있으며 중앙에 산기관을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하판과, 상기 산기관을 통해 발생되는 기포군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고 하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판위에 설치된 역류저지통과, 기포군이 해수내의 유기물질과 혼합되어 체류하면서 기포군에 유기물질이 포함되게 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거품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어 거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거품수집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정수장치.
KR20-2003-0013607U 2003-04-30 2003-04-30 해수의 정수 장치 KR200322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607U KR200322493Y1 (ko) 2003-04-30 2003-04-30 해수의 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607U KR200322493Y1 (ko) 2003-04-30 2003-04-30 해수의 정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493Y1 true KR200322493Y1 (ko) 2003-08-06

Family

ID=49412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607U KR200322493Y1 (ko) 2003-04-30 2003-04-30 해수의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4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04B1 (ko) 2006-07-20 2007-06-21 대한민국 미세포말 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804B1 (ko) 2006-07-20 2007-06-21 대한민국 미세포말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3956A1 (en) Aquarium protein skimmer
CN111903592A (zh) 一种海水循环养殖系统
KR101058492B1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JPS5843956Y2 (ja) 自動洗浄式消泡ノズル
JP3676157B2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CN112125487B (zh) 一种便于清理的猪群养殖用猪粪高效降解装置
KR200322493Y1 (ko) 해수의 정수 장치
KR100973773B1 (ko) 수족관 정수장치
KR101026725B1 (ko) 이동용 수질정화장치
CN108793599A (zh) 一种低浓度有机污水处理系统
RU198056U1 (ru) Биофильтр для открытых водоемов
JP3082853B2 (ja) 水質浄化装置
CN113082794A (zh) 一种用于污泥排放的翼式排泥装置及排泥系统
KR200217498Y1 (ko) 수족관용 오염물질 제거장치
KR200191282Y1 (ko) 골프장용 연못정화장치
KR20160130681A (ko) 수질정화장치
CN208327538U (zh) 一种城市河道污水处理装置
KR10106143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100668420B1 (ko) 수처리 장치
RU229441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с вод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US20090206497A1 (en) Liquid waste aeration system and method
KR102559433B1 (ko) 폐수정화용 흡입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RU2004120239A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12894338U (zh) 一体化自动污水污泥处理设备
CN210528519U (zh) 垃圾渗滤液处理用微纳米曝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