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588Y1 - 전동스쿠터 - Google Patents

전동스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588Y1
KR200282588Y1 KR2020020000931U KR20020000931U KR200282588Y1 KR 200282588 Y1 KR200282588 Y1 KR 200282588Y1 KR 2020020000931 U KR2020020000931 U KR 2020020000931U KR 20020000931 U KR20020000931 U KR 20020000931U KR 200282588 Y1 KR200282588 Y1 KR 200282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motor
electric scooter
body fram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훈
이성일
Original Assignee
오세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훈 filed Critical 오세훈
Priority to KR2020020000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588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동스쿠터에서는 본체프레임(20)의 후단에 구동유니트(30)를 분해가능하게 장착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프레임(20)의 후단에는 고정로드(24)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유니트(3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로드(24)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연결로드(3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로드(38)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로드(24)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밀착패드(39)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로드(38)와 고정로드(24)에 동시에 고정나사(40)가 체결된다. 상기 구동유니트(30)는 구동륜인 후륜(32), 상기 후륜(32)을 구동하는 모터(34), 상기 모터(34)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후륜(32)으로 전달하는 감속기(36), 상기 감속기(36)와 상기 모터(34)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후륜(32)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모터(34)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4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의하면 전동스쿠터의 휴대성이 높아지고 복수개의 구동유니트(30)를 구비하면 전동스쿠터를 항상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동스쿠터{Scooter}
본 고안은 전동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구동되고 구동유니트가 본체프레임에 분해가능하게 장착된 전동스쿠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요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본체프레임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체프레임(1)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전륜(3)과 후륜(5)이 설치된다. 상기 후륜(5)에 인접한 본체프레임(1)에는 안장(7)이 소정 높이로 직립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1)의 선단에는 연결암(9)이 연장되고, 상기 연결암(9)의 선단에는 베어링설치관(10)이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설치관(10)의 내부에는 베어링(도시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설치관(10)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포크부(11)가 설치되는데, 상기 포크부(11)에는 상기 전륜(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포크부(11)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봉형상의 회전로드(12)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로드(12)는 상기 포크부(11)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로드(12)의 상단에는 핸들(15)이 연결설치되어, 상기 전륜(3)의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의 후단에는 연결로드(17)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로드(17)에 상기 후륜(5)이 설치된다. 상기 후륜(5)의 중앙에는 모터(18)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8)의 출력측에는 감속기(19)가 구비되어 모터(18)의 구동력을 후륜(5)으로 전달한다. 상기 감속기(19)의 일측은 상기 연결로드(17)에 체결나사(17')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후륜(5)과 모터(18)를 고정한다. 참고로 상기 모터(18)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상기 본체프레임(1)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모터(18)가 구동되어 상기 후륜(5)이 회전하면서 스쿠터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18)을 적절하게 회전시켜 주면 상기 회전로드(12) 및 포크부(11)가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륜(3)의 방향이 조절되어 진행방향이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쿠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전동스쿠터는 배터리와 콘트롤러 등이 본체프레임(1)상에 위치하고, 모터(18)와 감속기(19)가 후륜(5)인 구동륜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배터리와 콘트롤러의 취부를 위한 공간을 본체프레임(1)에 별도로 확보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동스쿠터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동스쿠터는 그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본체프레임(1)에 고정되어 있어 충전을 위해서는 전동스쿠터 전체를 전원공급장치근처로 이동시켜야 하고, 충전중에는 전동스쿠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중량물로서 전체 전동스쿠터 무게의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를 분리할 수 없으므로 전동스쿠터의 이동시에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체 전동스쿠터를 동시에 들고 다녀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스쿠터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포함하는 구동유니트 전체를 하나의 유니트로 본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본체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부분절결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본해하여 보인 부분단면측면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유니트의 구성을 후방에서 보인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를 도 7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보인 요부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본체프레임 22: 연결암
23: 베어링설치관 24: 고정로드
30: 구동유니트 32: 후륜
34: 모터 35: 연결지지대
36: 감속기 38: 연결로드
39: 밀착패드 41: 배터리부
43: 체결편 43': 체결나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 은 선단에 이동을 위한 전륜이 구비되고 상기 전륜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핸들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프레임의 이동을 위한 후륜을 구비하고 상기 후륜을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와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유니트를 본체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단에는 중공의 관형상의 고정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유니트에는 상기 고정로드에 삽입되는 연결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로드와 고정로드는 고정나사로 체결된다.
상기 연결로드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상기 고정로드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패드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유니트는, 본체프레임이 이동되게 회전하는 후륜과, 상기 후륜의 중앙에 설치되어 후륜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후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후륜으로 감속하여 전달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터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후륜의 상부를 덮고 내부에 배터리와 콘트롤러가 구비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스쿠터에 의하면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구동유니트가 본체프레임에서 분해가능하므로 전동스쿠터의 휴대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복수개의 구동유니트를 구비하여 하나의 구동유니트의 충전시에 다른 구동유니트를 장착하여 전동스쿠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진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가 탑승하는 본체프레임(20)은 소정의 폭을 가지고 전후로 길게 형성되는 판형상이다. 상기 본체프레임(20)의 선단에는 연결암(22)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암(22)의 선단에는 베어링설치관(23)이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설치관(23)의 내부에는 베어링(도시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설치관(23)에는 전륜을 지지하는 포크부와 핸들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본체프레임(20)의 후단 일측에는 후방을 향해 고정로드(24)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로드(24)는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도시된다. 상기 고정로드(2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나사(4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도시않음)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로드(24)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로드(38)의 삽입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프레임(20)의 후단에는 상기 고정로드(24)에 연결되어 구동유니트(3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유니트(30)는 전동스쿠터의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구동유니트(30)에는 후륜(32)이 구비된다. 상기 후륜(32)은 구동유니트(30)가 본체프레임(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프레임(20)의 선단에 구비된 전륜과 함께 전동스쿠터가 이동하게 하는 것으로,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륜이 된다.
상기 후륜(32)의 중앙에는 모터(34)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34)는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지지대(35)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배터리부(41)에 그 일단부가 지지된다. 상기 연결지지대(35)의 양단은 배터리부(41)에 체결나사(35')를 통해 체결된다.
상기 모터(34)의 출력축과 연결되어서는 감속기(36)가 구비된다. 상기 감속기(36)는 상기 모터(34)의 구동력을 적절한 속도로 감속하여 상기 후륜(32)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감속기(36)의 입력측은 상기 모터(34)의 출력축과 연결되고, 출력측은 상기 후륜(32)과 연결된다. 상기 감속기(36)는 상기 모터(34)와 체결된다.
한편, 상기 감속기(36)의 일측에는 연결로드(38)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로드(38)는 상기 고정로드(24)의 내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로드(38)의 일측에는 고정나사(40)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로드(38)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밀착패드(39)가 설치된다. 상기 밀착패드(39)는 상기 연결로드(38)가 상기 고정로드(24)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우레탄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패드(39)는 상기 구동유니트(30)가 본체프레임(20)에 장착되었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로드(24)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후륜(32)의 상부에 배터리부(41)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부(41)는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3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에서 후륜(32)이 보이지 않게 한다. 즉, 상기 배터리부(41)의 일단에는 체결편(43)이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감속기(36)에 체결나사(43')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부(41)의 타단에는 상기 연결지지대(35)가 체결됨에 의해 모터(34)와 배터리부(41)가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부(41)의 내부에는 배터리와 콘트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는 충전가능한 것으로 배터리부(41)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모터(34)의 제어를 위한 것이다.
참고로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프레임(20)과 구동유니트(30)를 고정로드(24)와 연결로드(38)로 체결함과 동시에 별도의 체결부를 마련하여 상기 배터리부(41)와 본체프레임(20)이 직접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스쿠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전동스쿠터에서는 배터리부(41)를 포함하는 구동유니트(30)가 본체프레임(20)에 분해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먼저 상기 구동유니트(30)를 본체프레임(20)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한다.
즉, 상기 후륜(32), 모터(34), 감속기(36) 및 배터리부(41)가 일체로 조립되어 구성되는 구동유니트(30)의 상기 감속기(36)에 구비된 연결로드(38)를 상기 본체프레임(20)의 후단에 후방으로 연장된 고정로드(24)에 삽입한다.
상기 연결로드(38)가 고정로드(24)에 삽입되면, 상기 연결로드(38)의 밀착패드(39)가 상기 고정로드(24)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연결로드(38)가 상기 고정로드(24)에 삽입되는 정도는 상기 고정로드(24) 내부의 스토퍼에 의해 규제된다.
상기 연결로드(38)의 삽입이 이루어지면 상기 고정로드(24)의 체결공과 연결로드(38)의 체결공이 서로 일치하게 되고, 이에 상기 고정나사(40)를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고정나사(40)에 의해 고정로드(24)와 연결로드(38)가 체결되고 상기 밀착패드(39)에 의해 상기 고정로드(24)와 연결로드(38)의 상대적인 유동이 없게 되어 구동유니트(30)의 장착이 완료된다. 물론 설계조건, 예를 들면 상기 구동유니트(30)의 무게중심이 모터(34)의 후단 쪽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부(41)와 본체프레임(20)을 직접 체결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구동유니트(30)의 장착이 완성되면, 전동스쿠터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배터리부(41)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34)가 구동되고 상기 모터(34)의 구동력으로 후륜(32)이 회전되면서 전동스쿠터가 이동한다. 이때 전동스쿠터의 이동방향은 핸들을 조작하여 전륜의 방향을 제어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이 소진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유니트(30)를 상기 본체프레임(20)에서 분리하여 충전한다. 물론 반드시 구동유니트(30)를 분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동유니트(30)가 본체프레임(20)에 장착된 상태로 배터리의 충전을 하여도 상관없다.
상기 구동유니트(30)의 분리는 상기 고정나사(40)를 풀어 상기 연결로드(38)를 상기 고정로드(24)에서 빼내면 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스쿠터는 후륜, 배터리, 모터를 하나의 구동유니트로 제작하고, 구동유니트를 본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체프레임과 구동유니트를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어 전동스쿠터의 휴대성이 높아지고,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이 소진된 경우에 구동유니트를 본체프레임에서 분리하여 배터리가 충전된 다른 구동유니트를 장착하면 전동스쿠터를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구동유니트에 배터리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가 후륜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됨에 의해 상대적으로 본체프레임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배터리부가 상기 후륜의 상단을 덮으므로 별도로 후륜을 덮기 위한 커버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구동유니트를 본체프레임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구동유니트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경우에 본체프레임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업그레이드 비용이 적게 들게 된다.
마지막으로 구동유니트를 본체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해 고정나사를 사용하므로 구동유니트의 장착과 탈착에 복잡한 기계적인 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구동유니트를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선단에 이동을 위한 전륜이 구비되고 상기 전륜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핸들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프레임의 이동을 위한 후륜을 구비하고 상기 후륜을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와 모터를 구비하는 구동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니트를 본체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본체프레임의 후단에는 중공의 관형상의 고정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유니트에는 상기 고정로드에 삽입되는 연결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로드와 고정로드는 고정나사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의 외주면을 둘러서는 상기 고정로드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패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니트는,
    본체프레임이 이동되게 회전하는 후륜과,
    상기 후륜의 중앙에 설치되어 후륜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후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후륜으로 감속하여 전달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터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후륜의 상부를 덮고 내부에 배터리와 콘트롤러가 구비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쿠터.
KR2020020000931U 2002-01-11 2002-01-11 전동스쿠터 KR200282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931U KR200282588Y1 (ko) 2002-01-11 2002-01-11 전동스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931U KR200282588Y1 (ko) 2002-01-11 2002-01-11 전동스쿠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588Y1 true KR200282588Y1 (ko) 2002-07-19

Family

ID=73116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931U KR200282588Y1 (ko) 2002-01-11 2002-01-11 전동스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5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3355B2 (en) Electronic control containment unit for bicycles
JP5358003B2 (ja) 自転車チェーンテンショナ装置
CN100348451C (zh) 自行车用中空构造部件
US20160268817A1 (en) Electric motorized bicycle components and a wireless control system including such
CN103419867B (zh) 倒置摆动式车辆
EP2623404A1 (e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CN214138807U (zh) 电动滑板车
US10668827B2 (en) Battery box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TW202212195A (zh) 用於人力驅動車之電池保持裝置、用於人力驅動車之起動單元、及用於人力驅動車之電池單元
JP2009078622A (ja) 燃料電池二輪車
CN111232111A (zh) 电动摩托车
KR200282588Y1 (ko) 전동스쿠터
CN213056768U (zh) 一种新能源汽车用电池组件装卸支撑翻转装置
CN201061862Y (zh) 一种电动磨削工具
JP7390573B2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及び非接触受電装置
KR101140644B1 (ko) 헬스 자전거
CN216190733U (zh) 潜伏式机器人的顶升结构
WO2002062426A1 (fr) Appareil d'entrainement pour bicyclette
JP2000238674A (ja) 電動自転車のバッテリ脱着構造
CN212149151U (zh) 电动摩托车
CN211107863U (zh) 一种双用自行车助力器
CN212149150U (zh) 电动摩托车
JP2000072071A (ja) 電動自転車
CN212149152U (zh) 电动摩托车
CN216802353U (zh) 一种便于调节的燃气管道对接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