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543Y1 - 모터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543Y1
KR200282543Y1 KR2020020013101U KR20020013101U KR200282543Y1 KR 200282543 Y1 KR200282543 Y1 KR 200282543Y1 KR 2020020013101 U KR2020020013101 U KR 2020020013101U KR 20020013101 U KR20020013101 U KR 20020013101U KR 200282543 Y1 KR200282543 Y1 KR 2002825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rotating body
inner ring
contact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남수
Original Assignee
구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남수 filed Critical 구남수
Priority to KR2020020013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5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5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543Y1/ko

Links

Landscapes

  • 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내륜과 회전체 및 외륜을 거쳐 회전자의 요크에 공급되도록 하고 회전하는 몸통의 외주면이 러닝머신의 이송 벨트와 직접 접하도록 하여 회전력의 전달을 위한 부품의 수를 줄이는 동시에 회전력이 보다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모터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축의 외주에서 회전자가 회전하는 브러쉬레스 타입으로 형성하되,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고정축의 외주면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끼워지는 내륜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전선이 꼬이거나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고,
상기의 내륜과 접하는 금속체인 회전체를 거쳐 전달되는 전원은 외륜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별도의 전선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외륜의 외면에 형성된 절연층을 개재하여 이송 벨트가 접하도록 하여 이송 벨트가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 외륜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은 자성체가 구비된 고정축의 외주에 설치되는 회전체인 몸통의 요크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송 벨트가 직접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부품의 수를 줄이고 원활하게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 전원 공급장치{The power supply of motor}
본 고안은 모터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를 고정축의 외주에서 회전자인 몸통이 회전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내륜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회전체와 외륜을 거쳐 회전자의 요크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회전하는 몸통의 외주면이 러닝머신의 이송 벨트와 직접 접하면서 회전시키도록 하여 회전력의 전달을 위한 부품의 수를 줄이는 동시에 회전력이 보다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모터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러닝머신이나 컨베이어 시스템과 같이 이송 벨트를 이송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에 외부의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모터 풀리를 결합하여 같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모터 풀리에 벨트로 연결되어 같이 회전하는 풀리가 축착된 회전축이 같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축결합된 회전 로울러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공회전 로울러에 지지된 이송 벨트가 회전 이송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회전 로울러와 공회전 로울러의 사이에 다수의 공회전 로울러를위치시켜 이송 벨트가 안정되게 회전 이송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송 벨트를 이송시키는 구성에 의하여서는 구동모터의 구조가 고정자의 내부에서 회전자인 축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축의 회전력을 이송 벨트의 회전 로울러에 전달하기 위하여 풀리와 벨트를 추가해야 하므로 부품의 수가 불필요하게 증가됨은 물론, 구동모터와 이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하게 소요되어 러닝머신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내륜과 회전체 및 외륜을 거쳐 회전자의 요크에 공급되도록 하고 회전하는 몸통의 외주면이 러닝머신의 이송 벨트와 직접 접하도록 하여 회전력의 전달을 위한 부품의 수를 줄이는 동시에 회전력이 보다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모터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축의 외주에서 회전자가 회전하는 브러쉬레스 타입으로 형성하되,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고정축의 외주면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끼워지는 내륜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회전에도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선이 꼬이거나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고,
상기의 내륜과 접하는 금속체인 회전체를 거쳐 전달되는 전원은 외륜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별도의 전선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외륜의 외면에 형성된 절연층을 개재하여 이송 벨트가 접하도록 하여이송 벨트가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 외륜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은 자성체가 구비된 고정축의 외주에 설치되는 회전체인 몸통의 요크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송 벨트가 직접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부품의 수를 줄이고 원활하게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의 모터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터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8 : 전선 19 : 고정축
21 : 내륜 22 : 회전체
23 : 외륜 25 : 내부 전선
26 : 몸통 27 : 요크
28 : 자성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러닝머신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러닝머신에 적용되어 작동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모터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은 하부받침대(11)가 있고 하부받침대(11)에 상하로 세워진 지지대(12)가 연결하여 설치하고,
지지대(12)에는 다양한 계측 및 조절 스위치가 설비된 콘트롤러 박스(14)와 손잡이부(13)가 각각 연결되고, 하부에는 사용자가 걷고 뛰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받침대(15)와 로울러(16) 및 이송 벨트(17)를 형성한 러닝머신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전선(18)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고정축(19)의 외주면에 절연층(20)을 개재하여 끼워지는 내륜(21)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회전에도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선(18)이 꼬이거나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고,
상기의 내륜(21)과 접하는 금속체인 회전체(22)를 거쳐 전달되는 전원은 외륜(23)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별도의 전선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외륜(23)의 외면에 형성된 절연층(24)을 개재하여 이송 벨트(17)가 접하도록 하여 이송 벨트(17)가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 외륜(23)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은 회전체인 몸통(26)의 요크(27)에 공급되도록 하여 교호로 전원의 흐름을 변화시켜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축(19)에는 자성체(28)를 다수 부착하여 상기 몸통(26)의 요크(27)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고정축(19)의 양끝 연장부는 축받이(29)에 의해 회전체인 몸통(26)의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러닝머신에 동력이 발생되어 작동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러닝머신은 하부받침대(11)와 지지대(12)에 의해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하여 이송되는 이송 벨트(17)에서 뛰거나 걷는 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의 지지대(12)에 연결된 콘트롤러 박스(14)의 다양한 계측 및 조절 스위치를 통하여 운동을 원하는 속도와 배경 등을 설정한 상태에서 받침대(15)와 로울러(16)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스타트 스위치를 온시키면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에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송 벨트(17)가 이송하게 되고, 이송되는 이송 벨트(17)는 구동모터의 외주와 로울러(16)에 의해 원활히 회전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콘트롤러 박스(14)의 조작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전선(18)을 통해 내륜(21)으로 공급된다.
상기의 내륜(21)은 고정축(19)의 외주면에 절연층(20)을 개재하여 끼워지는 상태이므로 절연층(20)에 의해 고정축(19)으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상기의 내륜(21)에 전선(18)을 연결함으로써 전원을 공급하는 중에 회전이 일어나지 않아 전선(18)이 꼬이거나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한다.
상기의 내륜(21)과 접하는 금속체인 회전체(22)를 거쳐 전달되는 전원은 외륜(23)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별도의 전선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륜(23)의 외면에는 절연층(24)을 개재하여 이송 벨트(17)와 접하도록 하여 이송 벨트(17)가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절연상태가 유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륜(23)에서 내부 전선(25)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은 회전체인 몸통(26)의 요크(27)에 극성이 자동으로 바뀌면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축(19)에 다수 부착한 자성체(28)의 극성에 의해 요크(27)의 극성이 변화하는 상태에 따른 회전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몸통(26)이 직접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절연층(24)을 개재하여 접하는 이송 벨트(17)가 같이 회전하므로 걷거나 뛰는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러닝머신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모터(31)의 축(32)을 축받이(3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31)의 회전을 위해 결합되는 베어링(34)의 내륜(35)으로 외부로부터의 전선(38)을 연결하여 전선(38)이 꼬이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베어링(34)의 회전체(36)를 통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외륜(37)에는 내부 전선(39)을 연결하여 이를 통하여 내부의 요크(4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모터(31)의 베어링(34)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을 위한 회전체를 결합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러닝머신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정축(41)을 축받이(4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축(41)에 절연층(43)을 개재하여 접하는 제1 내륜(44)으로 외부로부터의 제1 전선(47)을 연결하여 제1 전선(47)이 꼬이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내륜(44)과 접하여 회전하는 중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1 회전체(45)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1 외륜(46)에는 제1 내부 전선(48)을 연결하여 이를 통하여 내부의 1차 요크(49)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축(41)에 절연층(43)을 개재하여 접하는 제2 내륜(51)으로 외부로부터의 제2 전선(50)이 고정축(41)의 내부를 통과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제2 전선(47)이 꼬이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2 내륜(51)과 접하여 회전하는 중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2회전체(52)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2 외륜(53)에는 제2 내부 전선(54)을 연결하여 이를 통하여 내부의 2차 요크(55)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전선(47)과 제2 전선(50)을 통하여 공급되는 단상 2선 식의 전원이 내부의 요크(49)(55)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의 내륜과 회전체 및 외륜을 3개씩 형성하여 단상 3선 식의 전원이나 3상 4선 식의 전원이 요크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축(41)에 형성된 자성체(56)와 접하는 요크(49)(55)의 극성을 변화시키면서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러닝머신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정축(61)을 축받이(6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축(61)에 절연층(63)을 개재하여 접하는 내륜(64)으로 외부로부터의 전선(68)을 연결하여 전선(68)이 꼬이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내륜(64)과 접하여 회전하는 중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1 회전체(65)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2 회전체(66)를 차례로 결합하여 원활한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제2 회전체(66)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륜(67)에는 내부 전선(69)을 연결하여 이를 통하여 내부의 요크(7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축(61)에 형성된 자성체(71)와 접하는 요크(70)의 극성을 변화시키면서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러닝머신의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정축(81)을 축받이(8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축(81)에 절연층(83)을 개재하여 접하는 내륜(84)으로 외부로부터의 전선(87)을 연결하여 전선(87)이 꼬이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내륜(84)과 접하여 회전하는 중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회전체(85)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륜(86)에는 내부 전선(88)을 연결하여 이를 통하여 내부의 요크(89)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절연층(83), 내륜(84), 회전체(85) 및 외륜(86)의 구성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양측 중 한 군데의 외륜(86)을 내측으로 연장한 연장부(89)에 팬(90)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고정축(81)에 부착되는 자성체(91)와 상기의 내부 전선(88)을 통한 전원을 공급받는 요크(9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이 행하여지는 중에 발생하게 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본원의 모터 전원 공급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인 몸통을 러닝머신에 적용한 상태를 예로 들어 기술하였지만,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몸통이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등의 구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그 길이에 따라 한쪽이나 양끝에 본원의 모터를 설치하면서 사이에 공회전 로울러를 위치시키거나, 적절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모터를 설치함으로써 무거운 물품을 안정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본원 고안의 모터를 러닝머신이나 컨베이어 벨트에 적용할 경우에는 이동하는 이송벨트에 의해 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가 배출되어 모터가 필요 이상으로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모터 전원 공급장치는 고정축의 외주에서 회전자가 회전하는 브러쉬레스 타입으로 형성하되,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고정축의 외주면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끼워지는 내륜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전선이 꼬이거나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고,
상기의 내륜과 접하는 금속체인 회전체를 거쳐 전달되는 전원은 외륜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별도의 전선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외륜의 외면에 형성된 절연층을 개재하여 이송 벨트가 접하도록 하여 이송 벨트가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하고,
상기 외륜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원은 자성체가 구비된 고정축의 외주에 설치되는 회전체인 몸통의 요크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러닝머신의 이송 벨트가 직접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부품의 수를 줄이고 원활하게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6)

  1. 상기의 고정축(19)의 외주면에 절연층(20)을 개재하여 내륜(21)을 결합하면서 외부로부터 전선(18)을 연결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의 내륜(21)과 접하는 금속체인 회전체(22)의 외부에는 외륜(23)을 결합하고,
    상기 외륜(23)의 외면에 형성된 절연층(24)을 개재하여 이송 벨트(17)가 접하도록 하고,
    상기 외륜(23)에 일측이 연결된 전원선의 타측이 회전체인 몸통(26)의 요크(27)에 연결되도록 하고,
    자성체(28)를 다수 부착하여 상기 몸통(26)의 요크(27)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고정축(19)의 양끝 연장부는 축받이(29)에 의해 회전체인 몸통(26)의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전원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26)의 외부에 이송 벨트를 장착하여 직접 회전시키도록 한 모터 전원 공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고정축(41)에 절연층(43)을 개재하여 접하는 제1 내륜(44)에 외부로부터의 제1 전선(47)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내륜(44)과 접하는 제1 회전체(45)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1 외륜(46)에는 제1 내부 전선(48)을 연결하고,
    상기 고정축(41)에 절연층(43)을 개재하여 접하는 제2 내륜(51)에 외부로부터의 제2 전선(50)이 고정축(41)의 내부를 통과하여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내륜(51)과 접하는 제2 회전체(52)의 외부에 결합되는 제2 외륜(53)에는 제2 내부 전선(54)을 연결하고,
    상기의 제1 전선(47)과 제2 전선(50)을 통하여 공급되는 단상 2선 식의 전원, 단상 3선 식의 전원 또는 3상 4선 식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모터 전원 공급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고정축(61)에 절연층(63)을 개재하여 접하는 내륜(64)으로 외부로부터의 전선(68)을 연결하고,
    상기 내륜(64)과 접하여 회전하는 중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1 회전체(65)의 외부에는 제2 회전체(66)를 차례로 결합하고,
    상기 제2 회전체(66)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륜(67)에는 내부 전선(69)을 연결하여 이를 통하여 내부의 요크(7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모터 전원 공급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81)에 절연층(83)을 개재하여 접하는 내륜(84)에 외부로부터의 전선(87)을 연결하고,
    상기 내륜(84)과 접하여 회전하는 중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회전체(85)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륜(86)에는 내부 전선(88)을 연결하여 이를 통하여 내부의 요크(89)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되,
    상기 절연층(83), 내륜(84), 회전체(85) 및 외륜(86)의 구성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양측 중 한 군데의 외륜(86)을 내측으로 연장한 연장부(89)에 팬(90)을 일체로 형성하여 내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 모터 전원 공급장치.
  6. 모터(31)의 축(32)을 축받이(3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모터(31)의 회전을 위해 결합되는 베어링(34)의 내륜(35)에는 외부로부터의 전선(38)을 연결하고,
    상기 베어링(34)의 회전체(36)를 통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외륜(37)에는 내부 전선(39)을 연결하여 이를 통하여 내부의 요크(4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 모터 전원 공급장치.
KR2020020013101U 2002-04-30 2002-04-30 모터 전원 공급장치 KR2002825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01U KR200282543Y1 (ko) 2002-04-30 2002-04-30 모터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01U KR200282543Y1 (ko) 2002-04-30 2002-04-30 모터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543Y1 true KR200282543Y1 (ko) 2002-07-22

Family

ID=7308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101U KR200282543Y1 (ko) 2002-04-30 2002-04-30 모터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5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8769A (en) Motor for rotary brush
US20030085681A1 (en) Multi-joint type industrial robot
US4384386A (en) Motor for rotating brush
US6914362B2 (en) Construction and mode of operation of opposite statorless electronically switched motors
EP1286451A3 (en) Dynamoelectric machine
KR200282543Y1 (ko) 모터 전원 공급장치
IE39586B1 (en) Commutation apparatus for dc permanent magnet machines
US5514926A (en) Power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JP2000302233A (ja) コンベアユニットおよびコンベアシステム
EP1085225A3 (en) Magnetic bearing device for motor-combined structure
KR100522857B1 (ko) 기판 이송장치
JPH06232047A (ja) ウェハ回転装置
KR20190018366A (ko) 오일레스 정류베어링
KR19980076241A (ko) 발전기
RU2000126426A (ru) Промышленный робот
JPH07139459A (ja) 車輪駆動発電装置
US616396A (en) Combined bearing and power-transmitting device
JPH1143223A (ja) 基板搬送装置
JPS6146147A (ja) 多軸直流モ−タ
JPS6176040A (ja) 電動プ−リ−
JP3546241B2 (ja) モータローラ
ATE260413T1 (de) Rotationsanlage mit antriebsmotor
KR950035009A (ko) 개선된 전기 모터
JP3823201B2 (ja) 撚線装置
JP3823201B6 (ja) 撚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