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408Y1 - 평판형 철재 파렛트 - Google Patents

평판형 철재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408Y1
KR200282408Y1 KR2020020013128U KR20020013128U KR200282408Y1 KR 200282408 Y1 KR200282408 Y1 KR 200282408Y1 KR 2020020013128 U KR2020020013128 U KR 2020020013128U KR 20020013128 U KR20020013128 U KR 20020013128U KR 200282408 Y1 KR200282408 Y1 KR 200282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bent
band
reinforcing memb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바야시켄지
쯔루오카마사오
시미즈노보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야마하시코우교우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야마하시코우교우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Priority to KR2020020013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408Y1/ko

Links

Landscapes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판형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상 요부와 철부가 반복형성되는 띠형상의 금속제 상부면판과 지지부재 및 보강부재로 구성되는 평판형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부면판(6)의 양단부에 L자형으로 구부린 보호부(16)(18)를 형성하고, 지지부재(12)는 요부(8)와 철부(10)를 성형하기 앞서 미리 주어진 4개소를 절곡하여 측면 직사각형태로 구성하므로서 보호부(16)(18)에 의해 안전하게 이용할 수가 있고, 지지부재(12)의 양측면은 보강부재(14)와 함께 다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내구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며, 보강부재(14)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가 있어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평판형 철재 파렛트{Flat metal pallet}
본 고안은 평판형 철재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생산성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평판형 파렛트는 물품운반용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재료의 입수 및 제작이 용이한 목재파렛트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강도약화로 인한 변형 및 파손우려가 높고 산림회손은 물론 국가간 거래시 방역을 필하도록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대두됨에 따라 근래에는 주로 합성수지재 파렛트와 철재 파렛트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수지재 파렛트는 온도변화에 매우 약해 저온창고에는 부적합하며 화재발생시에는 유독가스 발생은 물론 가연성이므로 더 큰 화재를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철재 파렛트로서는 일본실용신안등록 제3053964호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가 있는데, 그 구조를 살펴보면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형성된 면판과, 일방으로 개방공을 가지도록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그 개방공의 대응면 상하측에 결합홈이 형성된 지지부재를 갖추고, 상기 결합홈에 의해 평행하게 대응하는 두개의 면판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어져 조합되고 용접에 의해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철재 파렛트는 두개의 면판 사이에 지지부재를 결합하여 용접을 이용한 접합시 그 접촉면 전체를 용접해 줄 경우 생산성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부분적인 용접시에는 틈이 발생될 수 밖에 없어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힘이 약화되므로 내구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고, 지지부재의 구조 또한 복잡하여 생산성 저하의 한 원인이 되며, 각 면판의 양단부는 날카롭게 노출되므로 취급자 내지는 다른 재치물과의 접촉시 손상을 입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열변화에 강한 철재로 구성하면서 내구성과 안정성이 뛰어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가 있으며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철재 파렛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요부와 철부가 반복형성된 상부면판의양측에 보호부를 절곡형성하고 상기 상부면판과 같이 요부와 철부가 반복형성되는 면판을 직사각형태로 절곡하여 지지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판 사이에는 수개의 보강부재를 접합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이용되는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이용되는 지지부재의 1차가공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이용되는 지지부재의 2차가공시를 나타낸 일부사시도
도 5 : 본 고안에 이용되는 보강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
도 6 : 본 고안에 이용되는 보강부재의 타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분해사시도
도 7 : 본 고안의 타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8)--요부 (4)(10)--철부
(6)--상부면판 (12)--지지부재
(14)--보강부재 (16)(18)--보호부
(20)--절곡선 (22)--관통공
(24)--측면부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단면상 요부(2)와 철부(4)가 교대로 형성된 띠형상의 금속제 상부면판(6)과, 이역시 단면상 요부(8)와 철부(10)가 교대로 형성되고 측면상 직사각으로 절곡형성된 금속제 지지부재(12)와, 상기 지지부재(12)의 상하판 사이에 끼워져 접합고정되는 금속제 보강부재(14)로 구성된다.
상기에 있어 상부면판(6)은 얻고자 하는 파렛트(A)의 폭보다 길게 형성하여 그 양단부를 압착과 동시에 절곡하거나 또는 압착후 절곡하여 L자형으로 구부려진 보호부(16)(18)가 형성되게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이용되는 지지부재의 사시도로서, 지지부재(12)는 그 길이방향의 4개소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측면 직사각형의 틀형상으로 구성하도록 하며, 4개소를 절곡함에 있어서는 상부면판(6)의 보호부(16)(18)와 같이 해당부위의 압착을 통하여 대체로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하거나 또는 요부와 철부의 성형전 절곡선(20)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부를 펀칭기로 제거하여 관통공(2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쉽게 절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에 이용되는 상부면판(6)과 지지부재(12)에 요부(2)(8)와 철부(4) (10)를 갖도록 함에 있어서는 통상 롤포밍기가 이용되는데 이러한 롤포밍기를 이용한 지지부재(12)의 성형전 절곡선(20)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부를 펀칭기로 제거하여 관통공(22)을 형성해 주게 되면 롤포밍기를 이용한 성형시 그 나머지 부분에 의해 요부(8)와 철부(10)를 구성하면서 해당부분에는 관통공(22)을 갖게 된다.
다만 절곡선(20)에 해당하는 부분에 관통공(22)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가급적 요부(8)와 철부(10) 사이의 측면부(24)에 철부(10)의 끝점으로부터 거의 직각을 이루고 또 측면부(24)의 끝점에 도달한 지점으로부터는 요부(8)을 횡단하는 나란한 선에 의해 연결되게 한 대체로 육각형상으로 형성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절곡선(20) 중 철부(10)를 제외한 부분에 육각형태의 관통공(22)을 형성해 줄 경우 롤포밍기를 이용한 성형시 도 4에서와 같이 관통공(22)은 측면상 철부(10)의 저면으로부터 직각된 "ㅅ"형을 구성하게 되므로 별도의 프레싱 공정이나 별다른 노력없이 단순히 작업자가 약간의 힘만 가하여 구부려 주게 되면 절곡선(20) 부분이 정확히 절곡된다.
관통공(22)을 이용한 절곡후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각면이 거의 직각을 이루게 되면 절곡전 측면상 "ㅅ"형을 이루고 있던 관통공(22)의 대칭된 양면이 서로 접촉하여 더이상 절곡이 어렵게 되므로 측면상 직사각형태의 틀을 구성하게 된다.
한편 지지부재(12)의 상하판 사이에 끼워 고정되는 보강부재(14)는 그 단면형상을 특정할 필요는 없으나 강도보강을 위하여는 가급적 "ㄷ"형이나 "ㅁ"형등으로 형성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12)의 상하판 사이에 배치시에도 도 5에서와 같이 지지부재 (12)의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배치해 줄 수도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지지부재 (12)의 길이방향과 직각된 종방향으로 배치해 줄 수도 있다.
다만 보강부재(14')를 지지부재(12)와 직각된 종향으로 배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하단부에 요철이 결합될수 있는 폭과 깊이의 결합홈(26)(28)을 형성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을 구성함에 있어 지지부재(12)는 펀칭기와 롤포밍기를 이용한 성형후 관통공(22)을 이용하여 절곡하되 완전히 절곡하기 앞서 상하판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수개의 보강부재(14)를 결합한 다음 지지부재(12)를 측면상 대체로 직사각을 이루도록 완전절곡한 상태에서 보강부재(14)와 용접이나 볼트죄임, 리벳처리등을 하여 일체감을 갖도록 구성한다.
지지부재(12)의 제작후에는 복수개를 나란히 배열형성하여 그 상면에 복수개의 상부면판(6)을 격자형을 배열형성한 다음 각 접촉점을 이 역시 용접이나 볼트죄임, 리벳처리 등으로 서로 일체감을 갖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부면판(6)의 양단부에 절곡형성된 보호부(16)(18)는 지지부재(12)의 측면부와 긴밀히 접촉하게 되므로 더욱 강하게 접합해 줄 수가 있고 또 매끈한 단부를 갖게 되므로 취급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2)는 띠형상의 면판을 4개소의 절곡선(20)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22)을 이용하여 절첩구성할 경우 각 면은 관통공(22)을 구성하는 면과의 접촉으로 직각을 유지하게 되므로 그 접촉면의 용접없이도 직사각형태를 유지할 수가 있고 또 양측면은 보강부재(14)와 함께 다리로서의 지지력을 발휘하여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힘을 보강해 주게 되므로 보강부재(14)의 구성을 간단히 할 수가 있어 결국 내구성 , 안정성 및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2) 저면에 상부면판과 같은 형태의 복수개의 하부면판(6')을 격자형으로 접합구성하여 사용토록 할 수도 있으며, 이는 무게는 가중되나 강도는 더욱 보강되고 또 양면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부재(12)의 절곡시 상하판 사이에는 복수개의 보강부재(14)를 끼워 접합구성한 다음 복수개의 지지부재(12) 상면에 보호부(16) (18)를 갖는 상부면판(6)을 접합하여 구성토록 하므로서, 보호부(16)(18)에 의해 안전성이 확보되고, 지지부재(12)의 구성시 그 양측면부는 보강부재(14)와 함께 다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힘이 커져 내구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며, 지지부재(12)는 펀칭기와 롤포밍기를 이용한 성형후 관통공(22)을 통하여 간단히 절첩해 주면 되고 또 지지부재(12)의 양측면부와 함께 다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보강부재(14)는 구성을 간단히 해 줄 수가 있어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측면상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형성된 띠형상의 상부면판과, 이역시 측면상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띠형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판 사이에 결합고정되는 보강부재로 이루어진 평판형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상부면판(6)의 양단부를 L자형으로 절곡하여 보호부(16)(18)를 형성하여서 된 평판형 철재 파렛트.
  2. 측면상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형성된 띠형상의 상부면판과, 이역시 측면상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띠형상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하판 사이에 결합고정되는 보강부재로 이루어진 평판형 철재 파렛트에 있어서, 지지부재(12)는 미리 주어진 4개소의 절곡선(20)을 따라 측면직사각형태로 절곡구성하여서 된 평판형 철재 파렛트.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부재(12)는 요부(8)와 철부(10)를 성형하기 앞서 4개소의 절곡선(20)에 해당하는 부분의 일부를 제거하여 관통공(22)을 형성하여서 된 평판형 철재 파렛트.
  4. 제3항에 있어서, 관통공(22)은 철부(10)의 끝점으로부터 측면부(24)의 끝점에 이르기까지 거의 직각을 이루고 또 측면부(24)의 끝점으로부터는 요부(8)를 나란히 횡단하여 육각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여서 된 평판형 철재 파렛트.
KR2020020013128U 2002-04-30 2002-04-30 평판형 철재 파렛트 KR200282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28U KR200282408Y1 (ko) 2002-04-30 2002-04-30 평판형 철재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128U KR200282408Y1 (ko) 2002-04-30 2002-04-30 평판형 철재 파렛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666A Division KR20030085303A (ko) 2002-04-30 2002-04-30 평판형 철재 파렛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408Y1 true KR200282408Y1 (ko) 2002-07-22

Family

ID=7312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128U KR200282408Y1 (ko) 2002-04-30 2002-04-30 평판형 철재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4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812B1 (ko) * 2005-01-15 2007-03-20 (주)에이엘팔레트 화물적재용 팔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812B1 (ko) * 2005-01-15 2007-03-20 (주)에이엘팔레트 화물적재용 팔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516B1 (ko) 모듈화된 리브보강 ㄷ강판과 클립강판을 이용한 보 강판거푸집
JP3594926B2 (ja) 運搬用パレット
US20060201401A1 (en) Impact-resisting pallet having metal stay
KR200282408Y1 (ko) 평판형 철재 파렛트
KR20030085303A (ko) 평판형 철재 파렛트
US3160120A (en) Stackable pallet of pressed sheet material
JP3397646B2 (ja) パレット
KR101252180B1 (ko) 조립식 철재 팔레트
JP2004142829A (ja) 運搬用パレット
KR20000012741U (ko) 평판 보강형 철제팔레트
KR200177848Y1 (ko) 수출용 조립 포장박스
JPH0356515Y2 (ko)
KR200306060Y1 (ko) 파레트어셈블리
JP4286976B2 (ja) バンド緊諦用パレット
KR101780256B1 (ko) 조립식 철재 파렛트
KR100530424B1 (ko) 경량 철재파렛트
KR200295650Y1 (ko) 철제 팔레트
JP6002706B2 (ja) 梱包箱及び梱包方法
JP4240449B2 (ja) 段ボール製パレット
SE9902297L (sv) Lastpall samt metod att tillverka densamma
JP2013129440A (ja) パレット
JP2003191954A (ja) 運搬用パレット
JPH066234U (ja) パレット
KR101612532B1 (ko) 철재 파렛트
KR200334244Y1 (ko) 파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