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220Y1 -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 Google Patents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220Y1
KR200282220Y1 KR2020020013348U KR20020013348U KR200282220Y1 KR 200282220 Y1 KR200282220 Y1 KR 200282220Y1 KR 2020020013348 U KR2020020013348 U KR 2020020013348U KR 20020013348 U KR20020013348 U KR 20020013348U KR 200282220 Y1 KR200282220 Y1 KR 200282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roller
anchor
shaft
hydraul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일
Original Assignee
김흥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일 filed Critical 김흥일
Priority to KR2020020013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22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선의 기관력으로 로프(R)를 권취하여 닻을 작동하는 기구에 관하여 개시된다. 본 고안의 특징으로서 상기 기관력을 받도록 브라켓(10) 상에 유압모터(12)와 드럼(14)이 장착되고, 제동수단, 안내수단, 보조수단도 포함한다. 드럼(14)은 상기 로프(R)의 권취를 위한 보빈형 구조로 드럼축(24)에 장착되고, 유압모터(12)와 전동되도록 연결된다. 제동수단은 상기 닻이 일정위치에 내려지면 드럼(14)의 회전을 구속하여 일시 정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안내수단은 복수의 롤러(21)(22)(23)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가 정위치로 이송되도록 지지한다. 보조수단은 상기 제1롤러(21)가 드럼(14)과 근접한 상태로 드럼축(24)과 평행한 축상으로 왕복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소형 어선이나 낚시용 선박에 있어서 기관의 동력을 이용하여 닻을 내리고 올리는 동작이 신속ㆍ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조업의 편리성과 어획량 증가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Device for operating anchor}
본 고안은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 어선이나 낚시용 선박에 있어서 기관의 동력을 이용하여 닻을 내리고 올리는 동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연안에서 명태, 넙치, 농어, 복어, 가자미, 우럭 등을 그물로 포획하는 선박의 경우 5-10톤 규모로 1척당 2-5명이 승선하며 어군탐지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어군탐지기는 신속하게 이동하면서 조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어군이 탐지되면 일시 정지하기 위해 닻을 내리고 올리는 과정이 수반된다.
비록 어군탐지기를 사용하지 않는 낚시용 선박에 있어서도 물때, 바람, 지형에 따라 수시로 이동하는 경우 정확한 포인트가 선정되면 신속하게 닻을 내려 그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앵커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식도로서, 도 1b처럼 닻(앵커)이 해저면에 도달되어 부호 R의 로프가 약 45°경사를 이루면 선박이 정지된다. 다시 장소를 정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도 1a처럼 닻을 감아 올리고 기관을 가동하여 신속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선박에 있어서 엔진의 축에 직접 감아 작동해야 하므로 작동을 위한 노동력이 투입되어 조업에 지장을 주는 것은 물론, 조업 및 낚시의 포인트를 제때에 변경하지 못하여 어군탐지에 따른 위치지정이 부정확한 관계로 어획량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닻을 올릴 때 로프를 지그재그로 균일하게 감기 어려워 로프에 손상을초래하여 내구성이 저하되고, 또한 로프가 원활하게 풀리지 않는 경우도 있을 뿐 아니라 로프의 경로 이탈로 인해 안전사고를 초래할 위험마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 어선이나 낚시용 선박에 있어서 기관의 동력을 이용하여 닻을 내리고 올리는 동작이 신속ㆍ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조업의 편리성과 어획량 증가를 도모하는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앵커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측면에서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브라켓 12: 유압모터
13: 스프라켓 휘일 14: 드럼
15, 17: 체인 16: 슬라이더
18: 파일럿 체크밸브 20: 레일
21, 22, 23: 롤러 24: 드럼축
26: 안내축 36: 나선축
38: 조작밸브 40: 전자브레이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동력선의 기관력으로 로프(R)를 권취하여 닻을 작동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관력을 받도록 브라켓(10) 상에 장착되는 유압모터(12); 상기 로프(R)의 권취를 위한 보빈형 구조로 드럼축(24)에 장착되고, 유압모터(12)와 전동되도록 연결되는 드럼(14); 상기 닻이 일정위치에 내려지면 드럼(14)의 회전을 구속하여 일시 정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동수단; 복수의 롤러(21)(22)(23)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가 정위치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안내수단; 및 상기 제1롤러(21)가 드럼(14)과 근접한 상태로 드럼축(24)과 평행한 축상으로 왕복동되도록 하는 보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제동수단은 양방향 유압모터(12)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조작밸브(38)와, 상기 유압모터(12)의 일측 유로에서 파일럿 신호를 받도록 타측 유로에 장착되는 파일럿 체크밸브(18)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동수단은 드럼축(24)의 일단부에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전자브레이크(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전자브레이크(40)보다는 파일럿 체크밸브(18)를 구비하는 것이 기능적인 측면에서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볼때 훨씬 더 유리하다.
본 고안의 상기 안내수단은 제1롤러(21)의 양측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가이드부시(19)와, 제2롤러(22)의 양측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측판(27)을 구비하고, 중간의 제2롤러(22)는 레일(20)상에 위치변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고안의 상기 보조수단은 양방향 나선(36a)이 형성되고 유압모터(12)로 구동되는 나선축(36)과, 상기 나선축(36)과 평형하게 장착되는 안내축(26)과, 상기 나선축(36)과 안내축(26)에 동시에 장착되고 제1롤러(21)를 지지하는 슬라이더(16)와, 상기 나선축(36)의 나선(36a)에 맞물리도록 슬라이더(16)에 장착되는 캠(28)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은 동력선의 기관력으로 로프(R)를 권취하여 닻을 작동하는 기구에 있어서, 브라켓(10) 상에 유압모터(12), 드럼(14), 슬라이더(16) 등을 주요 구성품으로 구비한다. 로프(R)는 일단이 드럼(14)에 결속되고 타단에 닻이 연결된다. 로프의 안내수단으로서 3개 정도의 롤러(21)(22)(23)를 사용하며 브라켓(10) 및 별도의 레일(20) 상에 분산하여 설치한다. 유압모터(12)는 동력선 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소정의 유압회로로 연결된다.
본 고안의 드럼(14)은 상기 로프(R)가 권취되는 보빈형 구조로 브라켓(10) 상에 드럼축(24)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드럼축(24)은 베어링으로 지지되고 일단에서 유압모터(12)에 연결된다. 부호 13은 드럼축(24)의 일단에 고정되는 스프라켓 휘일(wheel)이며 유압모터(12)의 스프라켓 휘일과 체인(15)으로 연결된다. 드럼(14)과 드럼축(24)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3에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닻이 일정위치에 내려지면 드럼(14)의 회전을 구속하여 일시 정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동수단과, 복수의 롤러(21)(22)(23)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가 정위치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제1롤러(21)가 드럼(14)과 근접한 상태로 드럼축(24)과 평행한 축상으로 왕복동되도록 하는 보조수단을 사용한다.
본 고안의 제동수단은 전술한 도 1b처럼 닻을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유압방식을 기본으로 하며 보조적으로 전기방식을 택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한 양자의 방식이 상술된다.
본 고안의 안내수단은 복수의 롤러(21)(22)(23)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가 정위치로 이송되도록 지지한다. 제1롤러(21)는 드럼(14)에 근접하도록 브라켓(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슬라이더(16)를 개재하는 구조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 직선운동도 가능하다. 제2롤러(22)와 제3롤러(23)는 레일(20) 상에 회전 가능하게장착된다. 제1롤러(21)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3에서, 제2롤러(22)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된다.
본 고안의 보조수단은 상기 제1롤러(21)가 드럼(14)과 근접한 상태로 드럼축(24)과 평행한 축상으로 왕복동되도록 한다. 보조수단은 로프(R)가 드럼(14)에 감길 때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도 3을 통하여 상술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인용되지 않은 부호는 전술한 도 2를 참조한다.
드럼(14)의 회전을 위해 드럼축(24)에 장착되는 스프라켓 휘일(13 ; 도 2 참조)은 이중 구조로서 유압모터(12)와 체인(15)으로 연결되는 부분과 보조수단의 나선축(36)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구비한다. 유압모터(12)와 드럼축(24)은 감속되는 잇수비로 토크를 증가하는 것이 좋으나 드럼축(24)과 나선축(36)은 동일 잇수비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제동수단은 양방향 유압모터(12)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조작밸브(38)와, 상기 유압모터(12)의 일측 유로에서 파일럿 신호를 받도록 타측 유로에 장착되는 파일럿 체크밸브(18)를 구비한다. 유압모터(12)는 닻을 올리는 방향으로 드럼(14)을 구동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내리는 방향으로도 구동하도록 양방향 형식을 사용한다. 유압모터(12)가 닻을 내리는 방향으로 작동할 때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기 위해 본 고안은 조작밸브(38)로 4포트 2위치 방식의 방향제어밸브를 사용하고 파일럿 체크밸브(18)를 부가적으로 설치한다.
도 4에서, 조작밸브(38)는 수동조작 방식으로서 일측에서 유압펌프 및 유압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유압모터(12)와 연결된다. 유압펌프는 기관에 연결되고, 유압모터(12)에는 부하가 연결된다. 부하는 드럼(14), 드럼축(24), 로프(R) 및 닻을 포함한다. 유압모터(12)에 이르는 유압관중에서 좌측이 고압이면 닻을 올리는 기본방향 동작이고, 우측이 고압이면 닻을 내리는 역방향 동작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좌측의 유압관에 파일럿 체크밸브(18)가 설치되는데 우측의 유압관에서 파일럿 압력이 도달되는 동안 역류가 허용된다.
작동에 있어서, 조작밸브(38)를 도시와 같은 포지션으로 하고 기관을 구동하면 우측의 유압관이 고압으로 되어 파일럿 체크밸브(18)가 역류를 허용하므로 유압모터(12)가 역방향 회전되어 닻이 내려진다. 닻이 내려지는 동안 기관을 정지하면 부하는 같은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작동유를 순환시키려 하지만 파일럿 체크밸브(18)에 작용하던 파일럿 신호가 오프되므로 파일럿 체크밸브(18)에서 역류가 방지되고 드럼(14)은 정지된다. 조작밸브(38)를 좌측으로 시프트하고 기관을 구동하면 정방향(시계방향)의 유로가 형성되어 유압모터(12)가 정회전되고 닻이 올려진다. 물론 이 과정에서 기관을 정지하여도 부하가 작동유의 역방향(반시계 방향) 순환압력을 형성하지만 파일럿 체크밸브(18)의 기능으로 드럼(14)은 정지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상기 제동수단은 드럼축(24)의 일단부에 전자브레이크(40)를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전자브레이크(40)는 기관의 기동용 배터리 또는 별도의 배터리에 의한 DC전원을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전자브레이크(40)의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도시 없음)는 브라켓(10)에 설치한다. 만일 전자브레이크(40)를 주된 제동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구성에서 유압모터(12)는 단방향을 사용하고, 파일럿 체크밸브(18)는 생략하고, 조작밸브(38)는 단순한 개폐밸브로 변경한다. 유압회로의 구성은 간단화되는 반면, 전기회로 구성이 추가되고 보다 큰 용량의 배터리가 필요하다.
도시에는 없으나 이러한 기능의 전자브레이크(40) 대신 기계식 블록 또는 밴드 브레이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드럼축(24)을 더 연장하여 구성하므로 크기가 작은 선박에는 유효공간을 축소시키는 단점이 있으나 유압방식이나 전기방식의 고장시에도 작업자의 답력으로 로프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보조수단은 나선축(36), 안내축(26), 슬라이더(16), 캠(28)을 구비한다. 나선축(36)은 양방향 나선(36a)이 형성되고 유압모터(12)로 구동되도록 연결된다. 나선(36a)은 동시에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왼나사와 오른나사를 구비한다. 왼나사와 오른나사는 양단지점에서 타원형태의 홈으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경로를 형성한다. 안내축(26)은 상기 나선축(36)의 상측으로 평형하게 장착되는데, 도시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축소하였으나 드럼축(24)과 유사한 높이로 한다. 슬라이더(16)는 상기 나선축(36)과 안내축(26)에 동시에 장착되고 제1롤러(21)를 지지한다. 제1롤러(21)는 슬라이더(16)의 상측을 통과하는 안내축(26) 상에 헐거운 끼움상태로 삽착한다. 캠(28)은 상기 나선축(36)의 나선(36a)에 맞물리도록 슬라이더(16)에 장착된다. 캠(28)의 상단은 나선축(36)에서 나선(36a)과 동일한 곡률과 폭을 지닌 곡면부(28a)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나선축(36)이 회전하면 캠(28)이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더(16)와 제1롤러(21)를 이동시킨다. 캠(28)이 나선축(36)의 일단에 도달하면 슬라이더(16)와 제1롤러(21)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롤러(21)는 나선축(36), 즉 드럼축(24)과 정확하게 연동하며 왕복동하는 동시에 로프(R)가 풀리거나 감기는 것을 지지하며 회전된다. 슬라이더(16)의 왕복동 행정 거리는 드럼(14)의 폭과 유사하게 유지한다.
드럼축(24)과 나선축(36)은 반드시 회전속도비의 변동이 없어야 하므로 체인(17)을 비롯한, 타이밍벨트, 기어 등의 전동수단을 사용한다. 반면 유압모터(12)와 드럼축(24)의 연결은 체인(15) 대신 V벨트 등을 사용하여 약간의 슬립을 허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안내수단으로 사용되는 가이드 부시(19)는 슬라이더(16)에서 제1롤러(21)의 양측으로 설치된다. 가이드 부시(19)는 원활한 회전을 기본동작으로 하고 어느 정도 승하강도 허용한다. 제1롤러(21)를 통과하는 로프(R)는 왕복동 운동을 병행하면서 격렬하게 출입되므로 양측 가이드 부시(19)의 상단은 커버(29)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드럼(14) 부근을 지나는 로프는 수평의 제1롤러(21)ㆍ커버(29) 및 수직의 가이드 부시(19)에 의해 사면에서 지지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에서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레일(20)은 한 쌍의 관부재를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켜 장착된 형태이고, 레일(20) 상에 받침대(25)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받침대(25)는 상측으로 제2롤러(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하측에서 레일(20)에 볼트(도시 없음)로 가압 체결된다. 볼트를 풀어 받침대(25)를 부호 25'의 위치로 이동하면 제2롤러(22)로 부호 22'의 위치로 연동된다. 받침대(25)는 수시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선박의 크기에 따라 대체로 위치를 정하여 사용한다. 레일(20)에 장착되는 제3롤러(23)는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여 로프를 안내한다.
본 고안의 안내수단에서 제2롤러(22)는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판(27)을 구비한다. 측판(27)은 제1롤러(21)와 제2롤러(22)의 양측면에서 외주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로프의 이송중에 이탈을 방지한다. 제3롤러(23)에는 측판(27)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소형 어선이나 낚시용 선박에 있어서 기관의 동력을 이용하여 닻을 내리고 올리는 동작이 신속ㆍ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조업의 편리성과 어획량 증가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동력선의 기관력으로 로프(R)를 권취하여 닻을 작동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관력을 받도록 브라켓(10) 상에 장착되는 유압모터(12);
    상기 로프(R)의 권취를 위한 보빈형 구조로 드럼축(24)에 장착되고, 유압모터(12)와 전동되도록 연결되는 드럼(14);
    상기 닻이 일정위치에 내려지면 드럼(14)의 회전을 구속하여 일시 정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동수단;
    복수의 롤러(21)(22)(23)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가 정위치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안내수단; 및
    상기 제1롤러(21)가 드럼(14)과 근접한 상태로 드럼축(24)과 평행한 축상으로 왕복동되도록 하는 보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양방향 유압모터(12)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조작밸브(38)와, 상기 유압모터(12)의 일측 유로에서 파일럿 신호를 받도록 타측 유로에 장착되는 파일럿 체크밸브(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드럼축(24)의 일단부에 전자브레이크(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제1롤러(21)의 양측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가이드 부시(19)와, 제2롤러(22)의 양측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측판(27)을 구비하고, 중간의 제2롤러(22)는 레일(20)상에 위치변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단은 양방향 나선(36a)이 형성되고 유압모터(12)로 구동되는 나선축(36)과, 상기 나선축(36)과 평형하게 장착되는 안내축(26)과, 상기 나선축(36)과 안내축(26)에 동시에 장착되고 제1롤러(21)를 지지하는 슬라이더(16)와, 상기 나선축(36)의 나선(36a)에 맞물리도록 슬라이더(16)에 장착되는 캠(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KR2020020013348U 2002-05-01 2002-05-01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KR200282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348U KR200282220Y1 (ko) 2002-05-01 2002-05-01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348U KR200282220Y1 (ko) 2002-05-01 2002-05-01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220Y1 true KR200282220Y1 (ko) 2002-07-22

Family

ID=7307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348U KR200282220Y1 (ko) 2002-05-01 2002-05-01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2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1656A (zh) * 2023-10-08 2023-12-01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地球物理调查用海洋调查仪器的抛放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41656A (zh) * 2023-10-08 2023-12-01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地球物理调查用海洋调查仪器的抛放设备
CN117141656B (zh) * 2023-10-08 2024-01-30 国家海洋局北海海洋工程勘察研究院 一种地球物理调查用海洋调查仪器的抛放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2387A (en) Winding mechanism
KR100341034B1 (ko) 연속언로더
CN101715408B (zh) 管道铺设船
KR101672334B1 (ko) 장력조절부가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 스풀링 장치
US8267620B2 (en) Rotatable boat lift with sliding pads
US20190242223A1 (en) Oil pumping apparatus without a speed reducer
US6230639B1 (en) Single motor boat lift having horizontally and longitudinally driven cables
US4641596A (en) Boat dock and lift
CN103548784A (zh) 一种围网渔船的船艉落地式起网装置
KR200282220Y1 (ko)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KR101422473B1 (ko) 선박용 아지포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213800074U (zh) 一种海洋工程定位锚泊装置
KR200310953Y1 (ko) 선박용 윈치장치
US5390616A (en) Dock mounted small boat lifting system
DE3418026A1 (de) Winde zum aufnehmen von schwimmenden lasten, insbesondere bei seegang
CN210116619U (zh) 一种船用组合式锚机
CN111236174A (zh) 一种闸门启闭装置及其控制方法
NO164767B (no) Anordning som paavirkes av sjoegang.
US3861534A (en) Davit, particularly for marine use
JPH06272278A (ja) 砂採取船の揚水装置用引き揚げ装置
CN104555494B (zh) 卸船机机械随动式抗风浪取料系统
KR20160103855A (ko) 와이어 로프 인양용 수문
CN209066393U (zh) 一种可倾式闸门
KR100277291B1 (ko) 시 앵커 권양기
CN2756703Y (zh) 清漂推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211

Effective date: 200503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