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0953Y1 - 선박용 윈치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윈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0953Y1
KR200310953Y1 KR20-2003-0000267U KR20030000267U KR200310953Y1 KR 200310953 Y1 KR200310953 Y1 KR 200310953Y1 KR 20030000267 U KR20030000267 U KR 20030000267U KR 200310953 Y1 KR200310953 Y1 KR 200310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nchor
drum
rop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경
Original Assignee
김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경 filed Critical 김도경
Priority to KR20-2003-0000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09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0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09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16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using wi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08Driving gear incorporating flui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26Operating devices pneumatic or hydraul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용 윈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윈치장치는,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로프(R)를 권취하므로서 닻과 같은 물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모터(12)와; 상기 모터(12)와 연동하여 상기 로프(R)를 권취하며, 보빈형 구조를 가지는 드럼(14)과; 상기 모터(12)의 회전을 구속하여 일정위치에 닻이 정지되도록 하는 제동수단과; 상기 모터(12)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12)의 회전동력이 단속적으로 상기 드럼(14)에 전달되도록 하는 클러치(52)와; 상기 모터(12) 및 클러치(52)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콘(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동수단은 양방향 모터(12)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조작밸브(38)와, 상기 모터(12)의 일측 유로에서 파일럿 신호를 받도록 타측 유로에 장착되는 파일럿 체크밸브(18)와, 상기 모터(12)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레이크(5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Description

선박용 윈치장치{Winch device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용 윈치(winch)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 필요한 각종기구 또는 어구를 바다에 투척하거나 인양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선박용 윈치(winch)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안에서 명태, 넙치, 농어, 복어, 가자미, 우럭 등을 그물로 포획하는 선박의 경우 5-10톤 규모로 1척당 2-5명이 승선하며 어군탐지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어군탐지기는 신속하게 이동하면서 조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어군이 탐지되면 일시 정지하기 위해 닻을 내리고 올리는 과정이 수반된다.
비록 어군탐지기를 사용하지 않는 낚시용 선박에 있어서도 물때, 바람, 지형에 따라 수시로 이동하는 경우 정확한 포인트가 선정되면 신속하게 닻을 내려 그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닻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식도로서, 도 1처럼 닻(anchor)이 해저면에 도달되어 부호 R의 로프가 약 45°경사를 이루면 선박이 정지된다. 그리고, 다시 장소를 정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닻을 감아 올리고기관을 가동하여 신속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선박의 닻 등은 엔진의 축에 직접 감아 작동해야 하므로 작동을 위한 노동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조업에 지장을 주는 것은 물론, 조업 및 낚시의 포인트를 제때에 변경하지 못하여 어군탐지에 따른 위치지정이 부정확한 관계로 어획량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닻을 올릴 때 로프를 지그재그로 균일하게 감기 어려우므로 로프에 손상을 초래하여 내구성이 저하되고, 또한 로프가 원활하게 풀리지 않는 경우도 있을 뿐 아니라, 로프의 경로 이탈로 인해 안전사고를 초래할 위험마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어선이나 낚시용 선박에 있어서 기관의 동력을 이용하여 닻을 내리고 올리는 동작이 신속ㆍ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되도록 하여 조업의 편리성과 어획량 증가를 도모하는 선박용 윈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용 닻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식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윈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윈치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윈치장치의 동작을 보인 유압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윈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안내수단을 보인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측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브라켓 12: 유압모터
13: 스프라켓 휘일 14: 드럼
15,17: 체인 16: 슬라이더
18: 파일럿 체크밸브 20: 레일
21,22,23: 롤러 24: 드럼축
26: 안내축 36: 나선축
38: 조작밸브 40: 조작판넬
42,42': 정회전스위치 44,44': 역회전스위치
46,46': 클러치레버 48,48': 제동스위치
50: 리모콘 52: 전자클러치
54: 전자브레이크 R: 로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윈치장치는,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로프를 권취하므로서, 닻과 같은 물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상기 로프를 권취하며, 보빈형 구조를 가지는 드럼과; 상기 모터의 회전을 구속하여 일정위치에 닻이 정지되도록 하는 제동수단과;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이 단속적으로 상기 드럼에 전달되도록 하는 클러치와; 상기 모터 및 클러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동수단은 양방향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조작밸브와, 상기 모터의 일측 유로에서 파일럿 신호를 받도록 타측 유로에 장착되는 파일럿 체크밸브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리모콘은 상기 조작밸브와 연결되는 조작판넬과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윈치장치에 의하면, 닻과 같은 선박의 기구를 내리고 올리는 동작이 신속ㆍ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되므로, 조업이 편리하고 어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선박용 윈치장치의 요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동력선의 기관력으로 로프(R)를 권취하여 닻을 작동하는 기구에 있어서, 브라켓(10) 상에 유압모터(12), 드럼(14), 슬라이더(16) 등을 주요 구성품으로 구비한다. 로프(R)는 일단이 드럼(14)에 결속되고 타단에 닻이 연결된다. 로프의 안내수단으로서 3개 정도의 롤러(21)(22)(23)를 사용하며 브라켓(10) 및 별도의 레일(20) 상에 분산하여 설치한다. 유압모터(12)는 동력선 기관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소정의 유압회로로 연결된다
상기 드럼(14)은 상기 로프(R)가 권취되는 보빈형 구조로 브라켓(10) 상에 드럼축(24)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드럼축(24)은 베어링으로 지지되고 일단에서 유압모터(12)에 연결된다. 부호 13은 드럼축(24)의 일단에 고정되는 스프라켓 휘일(wheel)이며 유압모터(12)의 스프라켓 휘일과 체인(15)으로 연결된다. 상기 드럼(14)과 드럼축(24)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3에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된다.
또, 본 고안은 상기 닻이 일정위치에 내려지면 드럼(14)의 회전을 구속하여 일시 정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동수단과, 복수의 롤러(21)(22)(23)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가 정위치로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제1롤러(21)가 드럼(14)과 근접한 상태로 드럼축(24)과 평행한 축상으로 왕복동되도록 하는 보조수단을 사용한다.
본 고안의 제동수단은 전술한 도 1처럼 닻을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유압방식을 기본으로 하며 보조적으로 전기방식을 택할 수 있다.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한 양자의 방식이 상술된다.
본 고안의 안내수단은 복수의 롤러(21)(22)(23)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가 정위치로 이송되도록 지지한다. 제1롤러(21)는 드럼(14)에 근접하도록 브라켓(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슬라이더(16)를 개재하는 구조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 직선운동도 가능하다. 제2롤러(22)와 제3롤러(23)는 레일(2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롤러(21)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3에서, 제2롤러(22)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된다.
본 고안의 보조수단은 상기 제1롤러(21)가 드럼(14)과 근접한 상태로드럼축(24)과 평행한 축상으로 왕복동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수단은 로프(R)가 드럼(14)에 감길 때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도 3을 통하여 상술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인용되지 않은 부호는 전술한 도 2를 참조한다.
상기 드럼(14)의 회전을 위해 드럼축(24)에 장착되는 스프라켓 휘일(13 ; 도 2 참조)은 이중 구조로서 유압모터(12)와 체인(15)으로 연결되는 부분과, 보조수단의 나선축(36)으로 연결되는 부분을 구비한다. 유압모터(12)와 드럼축(24)은 감속되는 잇수비로 토크를 증가하는 것이 좋으나 드럼축(24)과 나선축(36)은 동일 잇수비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제동수단은 양방향 유압모터(12)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조작밸브(38)와, 상기 유압모터(12)의 일측 유로에서 파일럿 신호를 받도록 타측 유로에 장착되는 파일럿 체크밸브(18)를 구비한다. 유압모터(12)는 닻을 올리는 방향으로 드럼(14)을 구동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내리는 방향으로도 구동하도록 양방향 형식을 사용한다. 유압모터(12)가 닻을 내리는 방향으로 작동할 때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하기 위해 본 고안은 조작밸브(38)로 4포트 2위치 방식의 방향제어밸브를 사용하고 파일럿 체크밸브(18)를 부가적으로 설치한다.
도 4에서, 조작밸브(38)는 전기에 의한 자동조작 방식으로서 일측에서 유압펌프 및 유압탱크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유압모터(12)와 연결된다. 유압펌프는 기관에 연결되고, 유압모터(12)에는 부하가 연결된다. 부하는 드럼(14), 드럼축(24), 로프(R) 및 닻을 포함한다. 유압모터(12)에 이르는 유압관 중에서 좌측이 고압이면 닻을 올리는 기본방향 동작이고, 우측이 고압이면 닻을 내리는 역방향 동작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좌측의 유압관에 파일럿 체크밸브(18)가 설치되는데 우측의 유압관에서 파일럿 압력이 도달되는 동안 역류가 허용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있어서, 조작밸브(38)를 도시와 같은 포지션으로 하고 기관을 구동하면 우측의 유압관이 고압으로 되어 파일럿 체크밸브(18)가 역류를 허용하므로 유압모터(12)가 역방향 회전되어 닻이 내려진다. 닻이 내려지는 동안 기관을 정지하면 부하는 같은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작동유를 순환시키려 하지만 파일럿 체크밸브(18)에 작용하던 파일럿 신호가 오프되므로 파일럿 체크밸브(18)에서 역류가 방지되고 드럼(14)은 정지된다.
상기 조작밸브(38)를 좌측으로 시프트하고 기관을 구동하면 정방향(시계방향)의 유로가 형성되어 유압모터(12)가 정회전되고 닻이 올려진다. 물론 이 과정에서 기관을 정지하여도 부하가 작동유의 역방향(반시계 방향) 순환압력을 형성하지만 파일럿 체크밸브(18)의 기능으로 드럼(14)은 정지된다.
상기 조작밸브(38)는 전기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작밸브(38)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판넬(40)은 일반적으로 선박의 조타실 내에 설치되며, 이러한 조작판넬(40)에는 상기 유압모터(12)가 정회전되도록 하여 닻을 올리는 정회전스위치(42)와, 상기 유압모터(12)가 역회전되도록 하는 역회전스위치(4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판넬(4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자클러치(52)의 작동을 조작하는 클러치레버(46)와, 전자브레이크(54)의 제동을 제어하는 제동스위치(48)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조작판넬(40)에는 리모콘(50)이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리모콘(50)에는 상기 조작판넬(40)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조작스위치(42,44,46,48)와 대응되는 정,역회전스위치(42',44'), 클러치레버(46') 및 제동스위치(48')가 장착되어 선박의 어느 위치에서나 상기 유압모터(12), 전자클러치(52) 및 전자브레이크(54)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판넬(40)과 상기 리모콘(50)은 유선으로 연결되는 외에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압모터(12)의 일측에는 전자클러치(52)가 설치된다. 상기 전자클러치(52)는 세부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전자석 부분과 마찰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자석 부분은 여자코일을 내장하고, 축에 고정되어 있는 요크(yoke)와 축에 교합하는 아마추어(amature)로 구성된다. 상기 아마추어는 축방향에 습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클러치(52)는 전기에 의해 자속을 발생하므로서 아마추어를 흡인하며, 이로인해 내외부의 디스크(disk)가 압착되고 이러한 디스크의 마찰력으로 구동축의 회전토크를 종동축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전기가 끊어지면 자속이 소실되고, 아마추어는 해방되어 마찰력이 없어지므로 전자클러치(52)는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제동수단은 상기 전자클러치(52)의 일단부에 전자브레이크(54)를 더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전자브레이크(54)는 기관의 기동용 배터리 또는별도의 배터리에 의한 DC전원을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상기 전자브레이크(54)의 전원을 단속하는 제동스위치(48)는 선박의 조타실에 설치되는 상기 조작판넬(40)에 구비된다.
만일, 상기 전자브레이크(54)를 주된 제동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구성에서 유압모터(12)는 단방향을 사용하고, 파일럿 체크밸브(18)는 생략하고, 조작밸브(38)는 단순한 개폐밸브로 변경하여 사용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 유압회로의 구성은 간단화되는 반면, 전기회로 구성이 추가되고 보다 큰 용량의 배터리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브레이크(54) 대신 기계식 블록 또는 밴드 브레이크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드럼축(24)을 더 연장하여 구성하므로 크기가 작은 선박에는 유효공간을 축소시키는 단점이 있으나, 유압방식이나 전기방식의 고장시에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로프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보조수단은 나선축(36), 안내축(26), 슬라이더(16), 캠(28)을 구비한다. 나선축(36)은 양방향 나선(36a)이 형성되고 유압모터(12)로 구동되도록 연결된다. 나선(36a)은 동시에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왼나사와 오른나사를 구비한다. 왼나사와 오른나사는 양단지점에서 타원형태의 홈으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축(26)은 상기 나선축(36)의 상측으로 평형하게 장착되는데,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축소하였으나, 드럼축(24)과 유사한 높이로 한다. 슬라이더(16)는 상기 나선축(36)과 안내축(26)에 동시에 장착되고 제1롤러(21)를 지지한다. 제1롤러(21)는 슬라이더(16)의 상측을 통과하는 안내축(26) 상에 헐거운 끼움상태로 삽착한다.
상기 캠(28)은 상기 나선축(36)의 나선(36a)에 맞물리도록 슬라이더(16)에 장착된다. 캠(28)의 상단은 나선축(36)에서 나선(36a)과 동일한 곡률과 폭을 지닌 곡면부(28a)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나선축(36)이 회전하면 캠(28)이 일측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더(16)와 제1롤러(21)를 이동시킨다. 캠(28)이 나선축(36)의 일단에 도달하면 슬라이더(16)와 제1롤러(21)는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롤러(21)는 나선축(36), 즉 드럼축(24)과 정확하게 연동하며 왕복동하는 동시에 로프(R)가 풀리거나 감기는 것을 지지하며 회전된다. 슬라이더(16)의 왕복동 행정 거리는 드럼(14)의 폭과 유사하게 유지한다.
상기 드럼축(24)과 나선축(36)은 반드시 회전속도비의 변동이 없어야 하므로 체인(17)을 비롯한, 타이밍벨트, 기어 등의 전동수단을 사용한다. 반면 유압모터(12)와 드럼축(24)의 연결은 체인(15) 대신 브이(V)벨트 등을 사용하여 약간의 슬립을 허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안내수단으로 사용되는 가이드 부시(19)는 슬라이더(16)에서 제1롤러(21)의 양측으로 설치된다. 가이드 부시(19)는 원활한 회전을 기본동작으로 하고 어느 정도 승하강도 허용한다. 제1롤러(21)를 통과하는 로프(R)는 왕복동 운동을 병행하면서 격렬하게 출입되므로 양측 가이드 부시(19)의 상단은 커버(29)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상기 드럼(14) 부근을 지나는 로프는 수평의 제1롤러(21)ㆍ커버(29) 및 수직의 가이드 부시(19)에 의해 사면에서 지지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에서 안내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레일(20)은 한 쌍의 관부재를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켜 장착된 형태이고, 레일(20) 상에 받침대(25)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받침대(25)는 상측으로 제2롤러(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하측에서 레일(20)에 볼트(도시 없음)로 가압 체결된다. 볼트를 풀어 받침대(25)를 부호 25'의 위치로 이동하면 제2롤러(22)로 부호 22'의 위치로 연동된다. 받침대(25)는 수시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선박의 크기에 따라 대체로 위치를 정하여 사용한다. 레일(20)에 장착되는 제3롤러(23)는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여 로프를 안내한다.
본 고안의 안내수단에서 제2롤러(22)는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측판(27)을 구비한다. 측판(27)은 제1롤러(21)와 제2롤러(22)의 양측면에서 외주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로프의 이송중에 이탈을 방지한다. 제3롤러(23)에는 측판(27)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윈치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윈치장치는 리모콘(50)으로 작동 가능하다. 따라서, 선박의 적당한 위치에서 작동이 가능하므로 닻의 동작을 보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모콘(50)의 정회전스위치(42)를 누르면, 상기 조작밸브(38)가 작동하여 유압관 중에서 좌측이 고압으로 된다. 따라서, 유압모터(12)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닻이상방으로 올라간다.
상기 리모콘(50)의 역회전스위치(44)를 누르면, 상기 조작밸브(38)의 작동으로 유압관 중 우측이 고압으로 된다. 따라서, 유압모터(1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닻을 내리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닻을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 중에 상기 제동스위치(48)를 누르게 되면, 상기 닻이 그 위치에서 정지하므로 필요한 임의의 위치에 닻을 정확히 멈추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레버(46)를 상하로 움직여 작동시키면, 상기 전자클러치(52)가 탈착한다. 즉, 상기 클러치레버(46)를 온(on)상태로 두면 상기 전자클러치(52)에 전기가 인가되어 아마추어를 흡인하며, 이로인해 내외부의 디스크(disk)가 압착되어 디스크의 마찰력으로 유압모터(12)의 회전토크를 상기 드럼(14)에 전달한다. 그리고, 전기가 끊어지면 자속이 소실되며, 아마추어는 해방되고 마찰력은 없어지므로 전자클러치(52)는 분리되어 상기 드럼(14)을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닻을 올리는 과정에서는 상기 클러치레버(46)를 온(on) 상태로 두어 상기 유압모터(12)의 회전력을 상기 드럼(14)에 전달할 필요가 있으며, 반대로 닻을 내리는 과정에서는 상기 클러치레버(46)를 오프(off) 상태로 두어 상기 드럼(14)이 자유로이 회전 가능토록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드럼(14)은 회전하고, 상기 드럼(14)에 감겨진 로프는 풀어져 선박의 닻은 자체의 무게에 의해 바닷속으로 내려가게 된다.
물론, 닻을 내릴때에도 상기 클러치레버(46)를 온(on) 상태로 두고 상기 유압모터(1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닻이 서서히 내려가게 할 수 있으나, 이런 경우에는 닻의 하강속도가 느리므로 선박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하기가 힘들다. 그러므로, 선박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닻을 내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레버(46)를 오프(off)시켜 닻을 신속히 내림으로서, 선박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정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유압모터(12)를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유압모터(12) 대신에 전기모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뿐만아니라, 상기 전자클러치(52) 대신에 기어식이나 기타의 다른 클러치를 사용하여 동력을 단속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실시예에서는 클러치레버(46)를 온(on) 상태로 둘때 상기 유압모터(12)의 회전력이 상기 드럼(14)에 전달되고, 오프(off) 상태로 두면 상기 전자클러치(52)가 분리되어 상기 드럼(14)이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클러치레버(46)가 온(on) 상태일 때 상기 전자클러치(52)가 분리되고, 오프(off) 상태일 때는 밀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선박용 윈치장치에 의하면, 소형 어선이나 낚시용 선박에 있어서 기관의 동력을 이용하여 닻을 내리고 올리는 동작이 신속ㆍ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이 가능하므로 조업의 편리성과 어획량 증가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리모콘을 사용하여 유압모터를 작동할 수 있으므로 선박내 임의의 위치에서 닻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므로 선박의 정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 전자브레이크를 상기 유압모터의 일단에 장착하므로서, 상기 모터의 제어가 보다 용이해진다. 즉, 드럼의 일단에 브레이크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용이하게 로프를 정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압모터의 일단에 전자클러치를 설치하므로써, 선박의 닻을 내릴때 상기 전자클러치를 오프(off)시켜 닻이 보다 신속히 하강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선박을 원하는 임의의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로프를 권취하므로서, 닻과 같은 물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상기 로프를 권취하며, 보빈형 구조를 가지는 드럼과;
    상기 모터의 회전을 구속하여 일정위치에 닻이 정지되도록 하는 제동수단과;
    상기 모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동력이 단속적으로 상기 드럼에 전달되도록 하는 클러치와;
    상기 모터 및 클러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모콘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윈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양방향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조작밸브와, 상기 모터의 일측 유로에서 파일럿 신호를 받도록 타측 유로에 장착되는 파일럿 체크밸브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윈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상기 조작밸브와 연결되는 조작판넬과 무선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윈치장치.
KR20-2003-0000267U 2003-01-06 2003-01-06 선박용 윈치장치 KR200310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267U KR200310953Y1 (ko) 2003-01-06 2003-01-06 선박용 윈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267U KR200310953Y1 (ko) 2003-01-06 2003-01-06 선박용 윈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0953Y1 true KR200310953Y1 (ko) 2003-04-21

Family

ID=4940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267U KR200310953Y1 (ko) 2003-01-06 2003-01-06 선박용 윈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095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819B1 (ko) * 2005-09-23 2007-02-12 (주)해안기계산업 소해함 윈치
KR200454118Y1 (ko) * 2008-10-29 2011-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작업용 자동이동형 안전윈치장치
KR101131914B1 (ko) 2011-10-25 2012-04-03 라인호(주) 다수의 모터가 구비된 선박 인양용 윈치
KR101719102B1 (ko) * 2016-08-26 2017-03-22 정경영 소형 선박용 앵커 로프 권취기
CN115140243A (zh) * 2022-07-08 2022-10-04 中交四航局江门航通船业有限公司 一种遥控锚机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819B1 (ko) * 2005-09-23 2007-02-12 (주)해안기계산업 소해함 윈치
KR200454118Y1 (ko) * 2008-10-29 2011-06-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고소작업용 자동이동형 안전윈치장치
KR101131914B1 (ko) 2011-10-25 2012-04-03 라인호(주) 다수의 모터가 구비된 선박 인양용 윈치
KR101719102B1 (ko) * 2016-08-26 2017-03-22 정경영 소형 선박용 앵커 로프 권취기
CN115140243A (zh) * 2022-07-08 2022-10-04 中交四航局江门航通船业有限公司 一种遥控锚机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8911A (en) Winch assembly
US6280331B1 (en) Torque limiting slip clutch apparatus for cable reel drive assembly
KR200310953Y1 (ko) 선박용 윈치장치
US20080287260A1 (en) Speed Controlled Spring Return Actuator
RU193467U1 (ru) Якорная лебедка Штокер
WO2020044120A1 (en) Oil pumping apparatus without a speed reducer
US3059485A (en) Electro-mechanical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7140598B2 (en) Freefall windlass with governor
US3915022A (en) Control arrangement
CN105966553A (zh) 一种新型的能够远程控制的智能起锚机
KR100570669B1 (ko) 전동 및 수동 전환용 전자클러치를 채용한 권양기
CN2868843Y (zh) 船用齿轮箱档位电动操纵器
CN109501983B (zh) 一种水下执行器及其方法
US4604558A (en) Motor drive assembly having a floating switch actuator
RU203909U1 (ru) Якорная лебедка с регулируемым по высоте управляемым сбросом якоря
KR200282220Y1 (ko) 선박용 앵커 작동기구
US4809633A (en) Free fall windlass
US20210362988A1 (en) High capacity cable puller with multi-speed automatic shifting transmission
RU202471U1 (ru) Якорная лебедка с управляемым сбросом якоря
KR200370091Y1 (ko) 전동 및 수동 전환용 전자클러치를 채용한 권양기
CN209749537U (zh) 一种自动断线机构及遥控钓鱼船
KR0178118B1 (ko) 세탁기의 동력 전달 클러치
CN105819357A (zh) 一种能够远程控制的智能船用绞车
JP2003292290A (ja) ウインチ
KR200443457Y1 (ko) 비닐하우스 보온덮개 개폐기용 클러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