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789Y1 -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 Google Patents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789Y1
KR200281789Y1 KR2020020006953U KR20020006953U KR200281789Y1 KR 200281789 Y1 KR200281789 Y1 KR 200281789Y1 KR 2020020006953 U KR2020020006953 U KR 2020020006953U KR 20020006953 U KR20020006953 U KR 20020006953U KR 200281789 Y1 KR200281789 Y1 KR 2002817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drain
plate
drain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용
Original Assignee
김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하용 filed Critical 김하용
Priority to KR2020020006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7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7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789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 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에 관한 것이며 하수관과 배수조에서 부패되어 발생되는 악취를 배수조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하고, 우수의 배수를 신속히 하고 배수조의 제조를 간편히 할 수 있는 배수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배수조 본체에 배수판과 악취차단판을 수납하고 악취차단판에는 우수 유치요홈 저부에 수개의 배수구와 개폐판이 구비되는 우수 배수관을 결합 또는 U형의 우수 배수관을 결합하여서 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배수판과 악취차단판의 제조가 용이하고 악취차단판에 우수 배수관을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서 사용이 편리하고 우수의 배수가 신속하고 배수조 내의 악취가 배수조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 The draintank combined with excluding a bad smell punction }
본 고안은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배수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활오수와 우수 배수조에서 집적하여 이를 하수관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때 하수관과 배수조에서 부패되어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하여 배수관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주택단지와 상가 등지에서 발생되는 생활오수와 우수를 하수관으로 보내기 위하여 배수조에서 집수시키게 되고 배수관에서 집수된 생활오수와 우수에서 비중이 큰 이물질은 침진되고 오수와 우수는 오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된다.
이 때 배수조에는 우천시 우수를 함께 하수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윗면부를 개방하고 리브로 구성되는 윗판을 설치하여 배수조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조는 하수관과 배수조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이 부패되면서 발생되는 악취가 윗판을 통하여 발산되어 주변이 불결하게 되고 또한 모기, 쥐등 각종 벌레의 서식처가 되는 폐단이 있어 왔다.
이를 해소하는 수단으로는 배수조의 오수유입구에 개폐문을 구비하여 생활오수의 배출시에는 개폐문이 열리고 배출이 완료되면 닫히게 하거나 또는 오수유입구측에 오수를 이용한 저수실을 형성하여 생활오수가 저수실을 거쳐 배수가 이루어지게 하여 저수실에서 통로를 차단되도록 하게 되므로서 하수관의 부패된 악취가 오수유입구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게 되나 우수가 유입되는 배수조 윗판으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폐단이 있고 또 배수조의 윗판이 설치되는 지점에 차단판을 구성하고 차단판의 중앙 통공에 부구를 형성하여 우수가 유입되면 부구가 부상되면서 통공이 열리게 하여 우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고 우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부구가 통공을 차단하여 배수조 내부의 악취 발산을 차단하게 구성하고 있으나 이 또한 오수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차단판의 통공에 걸리게 되면 부구에 의한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기대효과를 거둘수가 없게 되는 폐단이 있다.
또 본원에 의해 출원된 실용신안 2000-27742호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 장치가 있으나 동 수단은 깔대기 형의 냄새방지 장치의 하방에 횡설되는 개구부의 양외연에 냄새차단구를 구성하고 동 냄새차단구의 상부를 지지부에서 핀으로 결합하여 냄새차단구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인데 동 수단은 냄새방지장치의 제조가 어려워 양산되지 못하고 일시에 많은 양의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이 있어 왔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제반 폐단을 해소하고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의 제조를 간편히 하고 우수의 배수를 신속히 하는 배수조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서 도1의 우수 배수관을 발췌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서 도3의 우수 배수관을 발췌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서 도5의 우수 배수관을 발췌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배수조 본체 2 : 오수 유입구
3 : 오수 배출구 4,12,23 : 단턱
5 : 윗판 10 : 배수판
11 : 배수공 20 : 악취차단판
21 : 우수 유치요홈 22 : 배수구
30 : 우수 배수관 31 : 걸림턱
32 : 탄성요홈 40 : 개폐판
31a,41 : 돌편 50 : 핀
100 : 경사진 돌턱 101 : 환요홈
배수조 본체(1)의 일방에는 오수유입구(2)를, 타측에는 오수배출구(3)가 구비되며 상부는 개방되는 단턱(4)에 리브로 구성된 윗판(5)이 설치되는 통상의 배수조에 있어서 배수조 본체(1)의 단턱(4)에 얹히는 배수판(10)을 구비하되 중앙으로는 경사지게 하여 배수공(11)을 형성하고 동 배수판(10)의 단턱(12)에는 악취차단판(20)을 설치하되 악취차단판(20)의 윗면부에는 우수 유치요홈(21)을, 동 우수유치요홈(21) 저부로 수개의 배수구(22)를 구비한 내측에 단턱(23)을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우수 배수관(30)의 상부 외면으로는 걸림턱(31)을, 종으로는 탄성요홈(32)을, 우수 배수관(30) 하방은 경사지게 하여 연부의 경사면 상부 중심에는 돌편(31a)을 형성하여, 개폐판(40)의 상부 돌편(41)과 핀(50)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우수 배수관(30)을 악취차단판(20)의 배수구(22)의 단턱(23)에 우수 배수관(30)의 걸림턱(31)으로 결합하여서 된 구성이다.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로는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악취차단판(20)의 우수유치요홈(21)에서 저부로 돌출되는 배수구(22)의 외곽으로 경사진 돌턱(100)을 형성하고, 우수 배수관(30) 상부의 내측에는 환요홈(101)을 형성한 우수 배수관(30)으로 결합하여서 된 구성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로는 도5 및 도6에서와 같이 악취차단판(20)의 우수유치요홈(21) 저부에 단턱(23)이 구비된 배수구(22)에, 상부 외면으로는 걸림턱(31)을, 종으로는 탄성요홈(32)을 구비한 하방을 U형으로 한 우수 배수관(30)을 구성하여 배수구(22)의 단턱(23)에 우수 배수관(30)의 걸림턱(31)으로 결합하여서 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0은 걸름망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배수조를 통상과 같이 주택단지 또는 상가 등지에서 발생되는 생활오수와 우수를 집적하여 배수할 때 비중이 큰 이물질을 침전시켜 배수하고 우천시에는 우수를 함께 배수시키는 용도의 배수조로 통상과 같이 설치시공하여 사용하게 되면 우수는 걸름망(200)에서 이물질은 걸러지고 우수는 악취차단판(20)의 우수 배수관(30)을 통하여 배수판(10)에 모아져 배수조 내로 유입되고 악취는 악취차단판(20)에서 차단되어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 된다.
즉 배수조 본체(1)의 단턱(4)에 배수판(10)을 수납하고 동 배수판(10)의 단턱(12)에 악취차단판(20)을 수납하게 되면 배수조 본체(1)에는 배수판(10)과 악취차단판(20)이 격층으로 구성되고 동 악취차단판(20)의 배수구(22)의 단턱(23)에는 우수 배수관(30) 상부의 걸림턱(31)에서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우수 배수관(30)의 출구가 배수판(10)의 중심에 형성된 배수공(11) 상부에 위치되고 우수 배수관(30)의 출구 상부의 돌편(31a)에 개폐판(40) 상부의 돌편(41)이 핀(50)으로 결합되어져 개폐판(40)의 자중에 의해 닫혀진 상태가 되고 배수조 본체(1)와 윗판(5) 간에는 악취차단판(20)에서 차단되어 배수조 내부와 하수관에서 부패로 인하여 발생된 악취는 악취차단판(20)에서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우천시 빗물은 윗판(5)을 통하여 유입되면 걸름망(200)에서 이물질은 걸러지고 악취차단판(20)으로 유입되면 우수는 우수 유치요홈(21)으로 이동되어 배수구(22)로 유입되고 배수구(22)로 유입된 우수는 우수 배수관(30)으로 유입되나 우수에 의해 우수 배수관(30)의 개폐판(40)이 상부핀(50)을 중심으로 열리게 되어배수가 이루어지고 배수되는 우수는 배수판(10) 중앙의 배수공(11)으로 모아져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배수가 완료되면 우수 배수관(30)의 개폐판(40)이 차단하게 되어 배수조 본체(1) 내부의 악취는 악취차단판(20)에서 차단되므로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 된다.
또, 본 고안은 악취차단판(20)의 배수구(22)에 우수 배수관(30)의 결합시에는 우수 배수관(30)의 상부를 배수구(22)에 끼워 압입시키면 우수 배수관(30)의 상부에서 종으로 형성된 탄성요홈(32)에서 우수 배수관(30)의 외경이 신축이 이루어져 우수 배수관(30)이 악취차단판(20)의 배수구(22)로 삽입되어 걸림턱(31)이 배수구(22)의 단턱(23)에 끼워지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악취차단판(20)에는 수개의 우수 배수관(30)이 결합되므로 배수가 용이하게 되고 악취는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 본 고안에서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우수 배수관(30)은 연질의 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성형제조하고 악취차단판(20)은 합성수지재 등으로 성형제조하여 악취차단판(20)의 배수구(22) 외곽으로 경사진 돌턱(100)에 우수 배수관(30) 상부를 압입시키게 되면 우수 배수관(30) 내측의 환요홈(101)이 배수구(22)의 돌턱(100)에 끼워져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시 우수는 리브로 구성된 윗판(5)을 거쳐 걸름망(200)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악취차단판(20)의 우수 유치요홈(21)에서 유치되고 배수구(22)를 통하여 우수 배수관(30)으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배수조 본체(1) 내부의 부패된 악취는 악취차단판(20)과 우수 배수관(30)의 개폐판(40)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 본 고안에서 도5 및 도6에서와 같이 악취차단판(20)의 우수 유치요홈(21)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22)에 U형의 우수 배수관(30)을 압입시키면 우수 배수관(30) 선단은 탄성요홈(32)에서 외경이 신축되면서 끼워지고 우수 배수관(30)의 걸림턱(31)이 배수구(22)의 단턱(23)에 이르면 탄력으로 복원되면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사용시에는 우수는 리브로 구성된 윗판(5)을 통하여 걸름망(200)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악취차단판(20)의 우수유치요홈(21)으로 유치되어 배수구(22)로 유입된다.
이 때 배수구(22)로 유입된 우수는 U형의 우수 배수관(30)의 수위보다 많은 양은 출구로 배수가 이루어져 배수조 본체(1) 내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악취차단판(20) 하방의 배수조 본체(1)와 하수관등의 악취는 U형의 우수 배수관(30)에 유입되어 있는 용수에 의해서 차단되므로 외부로 발산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배수판(10)과 우수 배수관(30)이 구비되는 악취방지판(20) 및 걸름망(200)을 한 조로 구성하여 통상 배수조로 본체(1)에 수납 사용하게 되더라도 배수조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가 윗판(5)으로 발산되는 폐단을 해소할 수 있게 되고 윗판(5)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는 걸름망에서 이물질을 걸른 다음 배수조를 통하여 배수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배수조 본체(1)에 배수판(10)과 수개의 우수 배수관이 결합된 악취차단판(20)을 설치하여 구성하게 되므로서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배수조 본체(1)와 하수관에서 발생된 악취가 윗판(5)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우수의 배수를 간편히 하면서 하수관 및 배수조의 악취를 배수조 윗판으로 발산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고 동 배수조의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배수조 본체(1)의 일방에는 오수유입구(2)를, 타측에는 오수 배출구(3)가 구비되며 상부는 개방되는 단턱(4)에 리브로 구성된 윗판(5)이 설치되는 통상의 배수조에 있어서, 배수조 본체(1)의 단턱(4)에 얹히는 배수판(10)을 구비하되 중앙으로는 하향 경사지게 하여 배수공(11)을 형성하고, 동 배수판(10)의 단턱(12)에는 악취차단판(20)을 설치하되 악취차단판(20)의 윗면부에는 우수 유치요홈(21)을, 동 우수유치요홈(21) 저부로 수개의 배수구(22)를 구비한 내측에 단턱(23)을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우수 배수관(30)의 상부 외면으로는 걸림턱(31)을, 종으로는 탄성요홈(32)을, 우수 배수관(30) 하방은 경사지게 하여 연부의 경사면 상부 중심에는 돌편(31a)을 형성하여 개폐판(40)의 상부 돌편(41)과 핀(50)으로 결합하여 구성한 우수 배수관을 악취차단판(20)의 배수구(22)의 단턱(23)에, 우수 배수관(30)의, 걸림턱(31)으로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악취차단판(20)의 우수유치요홈(21)에서 저부로 돌출되는 배수구(22)의 외곽으로 경사진 돌턱(100)을 형성하고, 우수 배수관(30) 상부의 내측에는 환요홈(101)을 형성한 우수 배수관(30)으로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3. 제1항에 있어서,
    악취차단판(20)의 우수유치요홈(21) 저부에 단턱(23)이 구비된 배수구(22)에, 상부 외면으로는 걸림턱(31)을, 종으로는 탄성요홈(32)을 구비한 하방을 U형으로 한 우수 배수관(30)을 구성하여 배수구(22)의 단턱(23)에 우수 배수관(30)의 걸림턱(31)으로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2020020006953U 2002-03-09 2002-03-09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2002817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53U KR200281789Y1 (ko) 2002-03-09 2002-03-09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953U KR200281789Y1 (ko) 2002-03-09 2002-03-09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656A Division KR100454999B1 (ko) 2002-03-09 2002-03-09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789Y1 true KR200281789Y1 (ko) 2002-07-13

Family

ID=7305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953U KR200281789Y1 (ko) 2002-03-09 2002-03-09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7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92B1 (ko) * 2007-01-31 2007-08-21 (주)대흥엔지니어링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392B1 (ko) * 2007-01-31 2007-08-21 (주)대흥엔지니어링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054B1 (ko)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KR100935102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101291612B1 (ko)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100684174B1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200281789Y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100454999B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200361514Y1 (ko) 하수구의 방취·방충장치
KR101020719B1 (ko) 지하수 확보 및 악취 역류 방지용 빗물받이 구조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1632920B1 (ko) 악취 누출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빗물받이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0218232Y1 (ko)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KR101839373B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빗물받이장치
KR101704347B1 (ko) 빗물받이용 다단 악취 차단시스템
KR200439737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200218233Y1 (ko)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KR200361559Y1 (ko) 덮개식 하수도 빗물받이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KR200330263Y1 (ko) 우수 저수장치
KR102100834B1 (ko) 스틸 트렌치용 쓰레기 유입 방지 마개 장치
KR100535692B1 (ko) 역류방지용 집수정
KR102669508B1 (ko) 우수용 악취 제거형 이물질 수거 장치
JP4116909B2 (ja) 雨水ます
KR20030068514A (ko) 우수 저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