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392B1 -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 - Google Patents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392B1
KR100750392B1 KR1020070010243A KR20070010243A KR100750392B1 KR 100750392 B1 KR100750392 B1 KR 100750392B1 KR 1020070010243 A KR1020070010243 A KR 1020070010243A KR 20070010243 A KR20070010243 A KR 20070010243A KR 100750392 B1 KR100750392 B1 KR 10075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manhole
offensive odor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병헌
Original Assignee
(주)대흥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흥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흥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10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는 신도시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하수가 한곳으로 집수되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하수관거와 상기 하수관거와 상기 공동주택이 연결되도록 마련된 배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 하측에는 일정량의 하수가 담수되는 맨홀과; 상기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하여 상기 맨홀 내부에 회동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맨홀의 하측에 담수된 하수에 일정깊이로 잠겨 상기 하수관거에서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판과; 상기 배수관이 연결되는 상기 맨홀 부위에서 상기 배수관을 밀폐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으로 하수가 유입되면 상기 하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배수관을 개방시키는 역류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수관, 악취, 하수, 악취차단판

Description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SMELL PREVENTION DEVICE OF DRAIN PIP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공동주택 3 : 하수관
10 : 맨홀 20 : 악취차단판
30 : 역류방지판
본 발명은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 하수관거와 이 하수관거와 연결되는 배수관 사이에 악취차단판 및 역류방지판이 마련되어 있는 맨홀을 설치하여 하수관거를 통하여 악취가 주택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폭우시 하수관을 통하여 주택 내부로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및 오수는 일반적으로 하수관을 따라 정화조에 집수된 후 배수관을 통하여 대형의 하수관거로 유입되어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져 일정한 하수처리과정을 거쳐 하천 등으로 다시 방류된다. 그런데, 이러한 생활하수가 정화조에 집수된 후 배수관을 통하여 대형의 하수관거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하수관거의 심한 악취가 배수관으로 유입되고 배수관으로 유입된 악취는 정화조를 통해 주택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주택의 주위에 설치된 하수맨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더욱이, 정화조와 대형의 하수관거를 단순히 연통만 시켜주는 배수관만으로는 하수관거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정화조 및 하수맨홀로 빠르게 유입되고 있으며, 또한, 여름철 우기에는 하수관거로 일시에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되어 하수관거 내의 하수가 급격히 증가되면서 배수관을 통해 정화조 및 맨홀로 유입, 일반 주택으로 역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온이 상승하는 여름철에는 하수관거에서 하수나 배출물이 썩으면서 더 심한 악취가 배수관을 통하여 주택 내로 유입되므로, 주거생활자 등에게 많은 불쾌감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하수관거와 이 하수관거와 연결되는 배수관 사이에 악취차단판 및 역류방지판이 마련되어 있는 맨홀을 설치하여 하수관거를 통하여 악취가 주택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폭우시 하수관을 통하여 주택 내부로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를 제공하 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는 신도시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하수가 한곳으로 집수되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하수관거와 상기 하수관거와 상기 공동주택이 연결되도록 마련된 배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 하측에는 일정량의 하수가 담수되는 맨홀과; 상기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하여 상기 맨홀 내부에 회동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맨홀의 하측에 담수된 하수에 일정깊이로 잠겨 상기 하수관거에서 상기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판과; 상기 배수관이 연결되는 상기 맨홀 부위에서 상기 배수관을 밀폐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으로 하수가 유입되면 상기 하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배수관을 개방시키는 역류방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맨홀의 내부 바닥면은 상기 역류방지판(30)이 상기 하수의 압력에 의하여 회동될 때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역류방지판(30)에는 상기 하수의 수위에 따라 회동되도록 부레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 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신도시 공동주택(1)에서 발생되는 하수는 배수관(3)을 통하여 대형의 하수관거(5)로 배출된다. 배수관(3)과 하수관거(5) 사이에는 하수관거(5)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우기에 하수관거(5)에서 역류되는 하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맨홀(10)이 설치되어 있다.
맨홀(10)의 내부에는 배수관(3)을 통하여 악취가 공동주택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악취차단판(20)이 설치되고, 배수관(3)이 연결된 부위에는 우기에 하수관거(5)에서 역류되는 하수를 차단할 수 있는 역류방지판(30)이 마련되어 있다. 맨홀(10)의 상단을 밀폐시키는 커버(11)에는 상기 악취차단판(2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브래킷(13)이 결합되어 있다. 브래킷(13)에는 악취차단판(20)이 설치되도록 관통공(13b)이 형성된 리브(13a)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악취차단판(20)의 상단에는 상기 리브(13a)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13b)에 삽입되는 고정축(15)에 의하여 상기 브래킷(13)에 고정되도록 상기 관통공(13b)과 정렬되는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체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맨홀(10)의 하면은 상기 악취차단판(20)의 회동반경과 동일한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맨홀(10)의 바닥면은 상기 악취차단판(20)의 하단면과 일정간격 되어 있다. 맨홀(10)의 내부 하측에는 상기 악취차단판(20)의 하단부가 잠기도록 하수가 일정수위를 가지도록 담수되어 있다. 이는 하수관거(5)의 악취가 맨홀(10)을 통해 상기 배수관(3)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악취차단판(20)은 배수관(3)을 통해 상기 맨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 의 수압에 의하여 상기 맨홀(10) 내부에 회동된다. 이때, 역류방지판(30)의 일측에는 부레(25)가 더 부착되어 있으며, 역류방지판(30)은 부레(25)에 의하여 상기 하수의 수위에 따라 원활하게 회동된다.
역류방지판(30)은 상기 배수관(3)이 연결되는 상기 맨홀(10) 부위에서 상기 배수관(3)을 밀폐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역류방지판(30)은 상기 배수관(3)으로 하수가 유입되면 상기 하수의 수압에 의해 회동되면서 상기 배수관(3)을 개방시키고, 배수관(3)으로 유입되는 하수가 없으면, 자중에 의하여 배수관(3)을 밀폐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에 의하면, 하수관거와 이 하수관거와 연결되는 배수관 사이에 악취차단판 및 역류방지판이 마련되어 있는 맨홀을 설치하여 하수관거를 통하여 악취가 주택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폭우시 하수관을 통하여 주택 내부로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삭제
  2. 신도시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하수가 한곳으로 집수되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하수관거(5)와 상기 하수관거와 상기 공동주택이 연결되도록 마련된 배수관(3)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 하측에는 일정량의 하수가 담수되는 맨홀(10)과;
    상기 맨홀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하여 상기 맨홀 내부에 회동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상기 맨홀의 하측에 담수된 하수에 일정깊이로 잠겨 상기 하수관거에서 상기 배수관(3)으로 유입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악취차단판(20)과;
    상기 배수관이 연결되는 상기 맨홀 부위에서 상기 배수관을 밀폐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으로 하수가 유입되면 상기 하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배수관을 개방시키는 역류방지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맨홀의 내부 바닥면은 상기 역류방지판(30)이 상기 하수의 압력에 의하여 회동될 때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역류방지판(30)에는 상기 하수의 수위에 따라 회동되도록 부레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
KR1020070010243A 2007-01-31 2007-01-31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 KR100750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243A KR100750392B1 (ko) 2007-01-31 2007-01-31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243A KR100750392B1 (ko) 2007-01-31 2007-01-31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392B1 true KR100750392B1 (ko) 2007-08-21

Family

ID=3861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243A KR100750392B1 (ko) 2007-01-31 2007-01-31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3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379A (ko) * 1999-10-25 2001-05-15 정성채 악취 차단 장치
KR200281789Y1 (ko) * 2002-03-09 2002-07-13 김하용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200356591Y1 (ko) * 2004-04-22 2004-07-19 극동엔지니어링(주) 도로 및 주택가 하천의 오수악취방지 및 홍수시 역류방지장치
KR200420164Y1 (ko) * 2006-04-17 2006-06-2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379A (ko) * 1999-10-25 2001-05-15 정성채 악취 차단 장치
KR200281789Y1 (ko) * 2002-03-09 2002-07-13 김하용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200356591Y1 (ko) * 2004-04-22 2004-07-19 극동엔지니어링(주) 도로 및 주택가 하천의 오수악취방지 및 홍수시 역류방지장치
KR200420164Y1 (ko) * 2006-04-17 2006-06-28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CA2678710C (en) Sewer overflow relief device
KR100684174B1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101018776B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100750392B1 (ko) 신도시 하수관 악취차단구조
KR100655740B1 (ko) 역류 및 악취방지맨홀
KR20120040805A (ko) 맨홀의 하수역류 방지장치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384362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JP603473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とそれに用いる堰部材
CN111155606A (zh) 一种带有主副止回阀的新型下水管道
KR200333411Y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0429801Y1 (ko) 하수구용 맨홀의 악취 차단장치
KR20120080276A (ko) 배출관에 역류방지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RU13385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поверхностных вод на заиливаемых участках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й сети водоотведения
KR101769896B1 (ko) 무동력 하수구 개폐장치
CN211621821U (zh) 一种带有主副止回阀的新型下水管道
KR200310121Y1 (ko) 하수관의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200422006Y1 (ko)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KR200318087Y1 (ko) 하수용 맨홀통
KR100535692B1 (ko) 역류방지용 집수정
KR100515985B1 (ko) 악취역류방지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