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119Y1 -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 Google Patents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119Y1
KR200281119Y1 KR2020020009727U KR20020009727U KR200281119Y1 KR 200281119 Y1 KR200281119 Y1 KR 200281119Y1 KR 2020020009727 U KR2020020009727 U KR 2020020009727U KR 20020009727 U KR20020009727 U KR 20020009727U KR 200281119 Y1 KR200281119 Y1 KR 200281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ray
egg storage
cover
pai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암
Original Assignee
노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암 filed Critical 노암
Priority to KR2020020009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119Y1/ko

Links

Landscapes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란이 수납된 트레이들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계란이 깨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는, 계란수납 트레이(150)에 수납된 계란들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부(110)와, 상기 덮개부(110)의 양단으로부터 절곡연장되어 하단이 계란수납트레이의 양단에 지지되는 양쪽 지지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부(110) 중앙에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절취선(123)과, 상기 각 제1절취선(123)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2절취선(124)에 의하여 절취되고, 상기 제2절취선(124)들의 끝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1절곡선(123)에 의해 절곡된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150) 상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제1보조지지부(120)가 구비된다. 또한, 덮개부(110) 전후방으로부터 한 쌍의 제2보조지지부(140)가 아래로 절곡연장되어 그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150) 상면에 각각 지지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110)의 상부에 계란수납 트레이(150)를 쌓아 올릴 경우, 상부의 계란수납 트레이(150)가 걸림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수단(125, 135, 145)이 더 구비된다.

Description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COVER FOR EGG CONTAINER TRAY}
본 고안은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계란이 수납된 트레이들을 쌓아 올려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계란이 깨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으며 그 운반이 용이한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장에서는 계란의 보관 및 운반을 위하여 계란수납 트레이를 사용한다. 이러한 계란수납 트레이는 소정의 공통규격을 가지고 있고, 대체로 계란의 하단부가 수납되는 다수의 수납컵이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환경적인 측면, 제조원가, 제조공정, 계란에 대한 통기성, 보관성, 차광성 등을 고려하여 종이재로 구성되는 계란수납 트레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계란수납 트레이는 그 구조적인 특성상 계란을 단순히 아래에서 받치는 역할만을 할 뿐, 전체적인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하중을 받으면 중앙부가 아래로 처진다. 이 때문에 하부 계란수납 트레이에 수납된 계란들은 그 위에 쌓아 올린 상부 계란수납 트레이의 처진 저면에 의하여 작용하는 하중을 직접 접촉하여 받게 되므로 쉽게 깨지게 됨과 아울러, 이 상태에서 충격이나 유동이 심하게 발생하면 주변의 계란까지 연쇄적으로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제안된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의 일 예가, 도 1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1)는, 계란수납 트레이(50)에 수납되는 계란들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의 양단부로부터 아래로 절곡되어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50)의 양단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20, 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10)에는 계란의 통기를 위하여 다수의 통기공(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덮개부(10)의 양쪽으로 절곡연장된 지지부(20)의 하단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지지돌출부(22)가 형성된다. 이 지지돌출부(22)의 하단은 계란수납 트레이(50)의 양단에 형성된 요입부(51)에 삽입되어 덮개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렇게 하면, 덮개부(20)의 양단은 그 양단으로부터 굴곡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부(20, 2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상부로부터 수직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지지부(20)가 지지하는 지지한도 내에서는 덮개부(10)가 아래로 처지지 않아 계란이 깨지지 않고 보호될 수 있으며, 덮개부(10)의 통기공(2)들로 인해 계란의 보관상태가 양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부(10)의 저면이 계란에 접촉하고 있더라도 그 하중을 분산시키는 효과도 있으므로 계란을 더욱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1)는, 상부에서 작용하는 수직하중으로부터 계란이 깨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은 어느정도 수행하고 있으나, 종이재로 이루어진 덮개부(10) 및 지지부(20)는 일반적으로 계란수납 트레이(50)들이 위로 여러 단 높이 쌓아 올려진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그 하중을 견딜 수 없는 지지력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1)는,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영역이 지지부(20)가 설치된 덮개부(10)의 양측에 한정되어 중앙 및 전후방에 배치된계란들은 상부의 계란수납 트레이(50)가 아래로 처지면서 그 하단면과 접촉되어 쉽게 깨지고 이 상태에서 충격이나 유동이 심하게 발생하면 주변의 계란도 연쇄적으로 손상되는 취약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1)의 상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계란수납 트레이(50)를 위로 쌓아 올려 보관할 경우, 계란수납 트레이(50)가 미끄러져 계란들이 쏟아질 염려가 있으므로 안전성이 떨어진다.
또한, 운반시에 덮개(1)중 잡을 곳이 미비하여 불편할 뿐 아니라 덮개(1)와 계란수납 트레이(50)를 결속끈(미도시)으로 결속하고 이 결속끈을 잡고 운반하여야 하므로 운반자의 손에 부상의 위험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중, 충격 및, 유동에 의하여 계란이 깨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계란이 수납된 트레이들을 위로 쌓아 올려 보관하기 용이해지고, 운반하기 간편한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의 일예로서 계란수납 트레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가 적용된 계란수납 트레이를 위로 쌓아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를 계란수납 트레이에 적용하기 위하여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덮개 101,146...통기공
110...덮개부 120...제1보조지지부
121, 131, 132, 141...절곡선 125,135,145...걸림턱
123...제1절취선 124...제2절취선
130...지지부 133...지지돌출부
140...제2보조지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계란수납 트레이에 수납된 계란들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단으로부터 굴곡연장되어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의 양단에 지지되는 양쪽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중앙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절취선과, 상기 각 제1절취선들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2절취선에 의하여 절취되고, 상기 제2절취선들의 끝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절곡선에 의하여 절곡된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제1보조지지부; 상기 덮개부 전후방으로부터 아래로 절곡연장된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제2보조지지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계란수납 트레이를 쌓아 올릴 경우, 상부의 계란수납 트레이가 걸림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걸림수단으로서, 덮개부와 제1보조지지부들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각 절곡선을 중심으로 아래로 절곡했을 때 위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곡선을 따라 디듣자형으로 형성되는 절취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으로서, 덮개부와 한 쌍의 제2보조지지부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절곡선을 중심으로 제2보조지지부를 아래로 절곡할 때 위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곡선을 따라 디귿자형으로 형성되는 절취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으로서, 양쪽 지지부와 덮개부의 경계를 이루는 한 쌍의 절곡선과 그 외측에 나란하게 형성된 또 한 쌍의 다른절곡선을 상/하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위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턱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계란수납 트레이를 쌓아 올려 보관할 경우, 상부에 쌓아 올려진 계란수납 트레이가 양쪽 지지부와, 보조지지부들에 의하여 전후좌우 뿐만 아니라 중앙도 지지되므로 하중을 안전성있게 지탱할 수 있고 계란수납 트레이에 수납되는계란을 그 만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걸림수단들에 의해 위에 적재된 계란수납 트레이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전하게 지지되므로,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고, 상기 제1보조지지부들이 손잡이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계란수납 트레이의 운반이 간편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의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10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란수납 트레이(150)에 수납되는 계란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부(110)와, 상기 덮개부(110)의 양단으로부터 절곡연장되어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양단에 지지되는 양쪽 지지부(130)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덮개(110)는, 예컨대 골판지와 같은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부(110)에는 계란수납 트레이(150)에 수납되는 계란들의 통기를 위하여 다수의 통기공(101)들이 소정의 배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기공(101)들은 원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쪽 지지부(130)의 하단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지지돌출부(133)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지지돌출부(133)의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양단에 형성된 요입부(미도시:도 1참조)에 삽입되어 덮개부(1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지지부(130)들 또한 계란의 통기를 위하여 상기와 같은 통기공(101)들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110)의 중앙에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절취선(123, 123)과, 각 제1절취선(123)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2절취선(124)에 의해 절취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절취선(124)의 끝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절곡선(121)에 의해 절곡된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상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제1보조지지부(120)가 구비된다. 즉, 제1보조지지부(120)의 제1절취선(123)쪽 단부를 아래로 누르면 절곡선(121)들을 중심으로 제1보조지지부(120)가 아래로 절곡될 수 있고, 이 절곡된 제1보조지지부(120)의 하단이 수납된 계란들 사이를 통해 계란수납 트레이(150)들의 하중은 지지부(130)들 뿐만 아니라 제1보조지지부(120)들에 의해 분산되어 지지된다.
또한, 제1보조지지부(120)는,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계란 하나의 폭만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절취선(124)들은 직선, 곡선 및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나 각각의 높이(H:즉, 절곡했을 때의 높이를 의미함)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보조지지부(120)가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계란수납 트레이(150)에 수납된 계란의 돌출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보조지지부(120)는 덮개부(110)에 좌우방향 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덮개(100)는 상기 덮개부(110) 전후방으로부터 아래로절곡연장된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150) 상면(구체적으로는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전후단)에 지지되는 한 쌍의 제2보조지지부(140)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하중은 제2보조지지부(140)들에 의해서도 분산되어 지지됨에 따라, 하중이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전후좌우 뿐만 아니라 중앙으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지지부(140)도 계란의 통기를 위하여 반구형상으로 절취된 다수의 통기공(146)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통기공(146)과 통기공(146)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하단부가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전후단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덮개(100)는 상기 덮개부(110)의 상부에 쌓아 올린 계란수납 트레이(150)가 걸림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걸림수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에 따르면, 덮개부(110)의 양측은 그 양측으로부터 굴곡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고 중앙부는 한 쌍의 제1보조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전후방은 한 쌍의 제2보조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110)는 모두 6군데에서 지지되어 높은 수직하중에도 견딜 수 있다.
한편, 계란수납 트레이(150)를 덮개부(110) 상부에 쌓아올려 보관할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걸림수단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덮개부(110)의 상면에는 걸림수단으로서, 한 쌍의 걸림턱(125)이 설치되는데, 이 걸림턱(125)은 각 절곡선(121)을 중심으로 제1보조지지부(120)를 아래로절곡했을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곡선(121)을 따라 삼방향(디귿자형)으로 절취되는 절취선(122)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보조지지부(120)를 아래로 절곡하면 절곡선(121)이 절곡되면서 상기 절취선(122) 부분이 위로 돌출되므로 위로 적재되는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중앙저면이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걸림턱(125)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걸림수단으로서 한 쌍의 걸림턱(135, 135)이 양쪽 지지부(130)와 덮개부(110)의 경계를 이루는 한 쌍의 절곡선(131, 131)과 그 외측에 나란하게 형성된 또 한 쌍의 다른 절곡선(132, 132)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절곡선(131, 132)들이 각각 상/하방향으로 절곡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쌍의 걸림턱(135, 13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걸림턱(135)은 덮개부(110) 상부에 쌓아 올린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양쪽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계란수납 트레이(150)가 양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으로서 한 쌍의 걸림턱(145, 145)이 덮개부(110)와 한 쌍의 제2보조지지부(140)의 경계부에 형성된다. 즉, 상기 경계부에 형성된 절곡선(141)을 중심으로 제2보조지지부(140)를 아래로 절곡할 때 위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곡선(141)을 따라 삼방향(대략 디귿자형)으로 형성되는 절취선(142)에 의하여 걸림턱(14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45)들에 의해 위로 적재되는 계란수납 트레이(150)가 전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10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덮개부(110) 양측의 지지부(130)를 덮개부(110)와의 경계부에 형성된 절곡선(131)을 중심으로 위로 절곡시킨 후 그 외측에 형성된 다른 절곡선(132)을 중심으로 다시 아래로 절곡시켜 걸림턱(135)을 형성시키고 지지부(130)의 하단을 아래로 향하도록 접는다.
다음으로, 덮개부(110) 중앙의 제1, 제2절취선(123, 124)을 차례로 절취한 다음, 제2절취선(124)을 연결하는 절곡선(121)을 중심으로 아래로 절곡시켜 제1보조지지부(120)를 형성시킨다. 이렇게 하면 절곡되는 과정에서 상기 절곡선(121)의 소정구간에 형성된 절취선(122)에 의해 걸림턱(125)이 상부로 융기하게 된다. 아울러, 덮개부(110) 전후방에 형성된 제2보조지지부(140) 및 그 걸림턱(145)도 상기 제1보조지지부(120)와 같은 과정으로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100)는, 접혀져 계란덮개 트레이(150)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지지된다.
지지부(130)는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일측에 그 하단이 삽입되어 지지된다. 즉, 지지부(130) 하단의 지지돌출부(133)는 그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양단에 형성된 요입부에 삽입됨으로써 계란수납 트레이(150)가 요동하거나 충격을 받아도 지지돌출부(133)가 요입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덮개부(110)의 양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덮개부(110)의 양측에서 위로 돌출된 걸림턱(135)은, 덮개부(110) 상부로 계란수납 트레이(150)가 쌓아 올려질 경우, 위로 적재되는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하부에 걸림으로써 양측으로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상기 제1보조지지부(110)와 제2보조지지부(140)의 각 하단은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상단에 지지됨으로써 덮개부(110) 중앙과 전후방을 지지하며 각각의 절곡부에 형성된 걸림턱(125, 145)들은 덮개부(110) 상부로 계란수납 트레이(150)가 쌓아 올려질 경우, 위로 적재되는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하단부에 걸림으로써 계란수납 트레이(150)의 전후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따라서, 계란수납 트레이(150)에 수납된 계란들은, 덮개부(110)와 지지부(130) 및 제1, 제2보조지지부(120, 140)에 의해 사방이 모두 차단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계란수납 트레이(150) 중앙과 전후좌우가 모두 지지하게 되므로 종전과 같이 상부의 계란수납 트레이(150)가 자체 하중에 의해 처짐으로써 하부의 계란수납 트레이(150)에 수납된 계란들이 깨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보다 안전하게 계란들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계란들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계란들이 수납된 트레이(150) 및 덮개(100)를 끈으로 결속하여 운반하게 되는데 이 때, 양 제1보조지지부(120, 120)를 동시에 손으로 움켜잡게 되면 그 자체로서 손잡이 역할을 하게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계란을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잡을 곳이 미비하여 결속된 끈을 잡고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편함과 손에 입을 수 있는 부상의 소지가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에 의하면, 지지부와 각보조지지부들이 계란수납 트레이에 지지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덮개부를균일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덮개부의 지지부위도 증가하게 되어 트레이 내에 수납된 계란들을 하중, 충격 및, 유동에 의하여 깨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 상부로 계란수납 트레이가 쌓아 올려질 경우, 각각 형성된 걸림수단에 의해 계란수납 트레이의 미끄러짐이 방지되므로 보관하기 용이하며, 제1보조지지부가 손잡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운반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4)

  1. 계란수납 트레이에 수납된 계란들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연장되어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의 양단에 지지되는 양쪽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중앙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절취선과, 상기 각 제1절취선에 직교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제2절취선에 의하여 절취되고, 상기 제2절취선들의 끝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절곡선에 의해 절취된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제1보조지지부;
    상기 덮개부 전후방으로부터 아래로 절곡연장된 하단이 계란수납 트레이 상면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제2보조지지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계란수납 트레이를 쌓아 올릴 경우, 상부의 계란수납 트레이가 걸림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덮개부와 제1보조지지부들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각 절곡선을 중심으로 아래로 절곡했을 때 위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곡선을 따라 디귿자형으로 형성되는 절취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덮개부와 한 쌍의 제2보조지지부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절곡선을 중심으로 제2보조지지부를 아래로 절곡할 때 위로 돌출되도록 상기 절곡선을 따라 디귿자형으로 형성되는 절취선에 의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양쪽 지지부와 덮개부의 경계를 이루는 한 쌍의 절곡선과 그 외측에 나란하게 형성된 또 한 쌍의 다른 절곡선을 상/하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위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KR2020020009727U 2002-04-01 2002-04-01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KR200281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727U KR200281119Y1 (ko) 2002-04-01 2002-04-01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727U KR200281119Y1 (ko) 2002-04-01 2002-04-01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119Y1 true KR200281119Y1 (ko) 2002-07-13

Family

ID=7307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727U KR200281119Y1 (ko) 2002-04-01 2002-04-01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1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484A (ko) * 2020-12-10 2022-06-17 아이엠센트럼 (주) 계란 판란 케이스용 종이커버 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484A (ko) * 2020-12-10 2022-06-17 아이엠센트럼 (주) 계란 판란 케이스용 종이커버 성형장치
KR102485841B1 (ko) 2020-12-10 2023-01-09 아이엠센트럼(주) 계란 판란 케이스용 종이커버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9363A (en) Multiple tray-shaped packing and storage unit
KR980009049A (ko) 저장 용기
US6419087B1 (en) Floral shipper
US20060180491A1 (en) Nesting and stacking storage crate
KR200281119Y1 (ko)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JP2010083532A (ja) 薄肉ペットボトル用段ボール箱
KR200428425Y1 (ko) 상자의 손잡이 구조와 그 상자
JP3160397U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レット
MXPA06010300A (es) Portador de articulos y un paquete formado a partir del mismo.
JP4585680B2 (ja) 移送用トレイ
KR200445098Y1 (ko) 접철식 상자
KR20110130879A (ko) 적층형 포장 상자
KR101435078B1 (ko) 접이식 계란포장용기
JP7123382B2 (ja) 容器
KR200465430Y1 (ko) 수납형 상자 손잡이
JP3282671B2 (ja) 取手付果実類包装容器
EP1705130A1 (en) Pallet and method of securing goods onto a pallet
KR200188246Y1 (ko)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KR200188245Y1 (ko) 계란수납 트레이용 덮개
JP7219465B2 (ja) 容器
KR101935535B1 (ko) 복수의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대형우편상자
JP3289083B2 (ja) 梱包器具
CN215205918U (zh) 一种马桶配件包装结构
JP2018103997A (ja) パレット
JP2003128154A (ja) 生花等の梱包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