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009Y1 - 컨트롤러가 구비된 플러그 - Google Patents

컨트롤러가 구비된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009Y1
KR200281009Y1 KR2020020011707U KR20020011707U KR200281009Y1 KR 200281009 Y1 KR200281009 Y1 KR 200281009Y1 KR 2020020011707 U KR2020020011707 U KR 2020020011707U KR 20020011707 U KR20020011707 U KR 20020011707U KR 200281009 Y1 KR200281009 Y1 KR 200281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lug
power
controll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경
전창옥
Original Assignee
배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영경 filed Critical 배영경
Priority to KR2020020011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0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00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컨트롤러가 구비된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전열기구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전열기구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는 전열기구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 출력단; 교류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온도를 측정 센서가 부착되며 플러그에서 전열기구의 가열판에 연결되도록 하는 온도측정수단으로 구성되며,
컨트롤러는 온도설정, 가열동작 등의 전열기구의 가열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교류전원을 제어하여 가열하는 방식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교류 전원 출력단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전열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전열기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주물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프레싱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전열기구의 제작을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컨트롤러가 구비된 플러그{PLUG WITH CONTROLLER}
본 고안은 컨트롤러가 구비된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마이컴이 내장된 컨트롤러를 플러그에 내장하여 하나의 플러그를 이용해서 여러 종류의 전열기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사용되는 조리용 전열기구는 조리하는 동안 열을 지속적으로 가하기도 하며 전열기구 내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를 넘어가게 되면 전원을 차단하여 열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전기 밥솥과 같이 일정한 시간 동안 많은 열을 가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약한열을 가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전열기구가 이러한 여러 열을 가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일정한 열을 가해지면 바이메탈이 스위칭 동작을 하여 전원을 차단하게 되고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전원이 연결되어 열을 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계식 타이머를 부착하여 타이머가 바이메탈의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찜요리나 밥을 조리하는데에 적합하지 않아 요리를 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찜요리나 밥을 조리하는데에 적합하도록 전열기구에 컨트롤러와 센서를 부착하여 컨트롤러가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전열기구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전열기구가 찜요리나 밥 등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렇지만 전열기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전열기구에 부착되므로, 전열기구 혹은 센서와 컨트롤러간의 배선들을 하여야 하고 또한 이러한 배선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열기구를 제작하기 위하여 전열기구의 내솥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는 주물로 제작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많은 양의 사출물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전열기구를 제작하는데에 많은 비용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전열기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주물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프레싱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전열기구의 제작을 간편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는, 전열기구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전열기구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는 전열기구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 출력단; 교류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온도를 측정 센서가 부착되며 플러그에서 전열기구의 가열판에 연결되도록 하는 온도측정수단으로 구성되며,
컨트롤러는 온도설정, 가열동작 등의 전열기구의 가열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교류전원을 제어하여 가열하는 방식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교류 전원 출력단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전열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가 전열기구에 부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100)는 전원부(10), 입력부(20), 센서부(30), 전열제어부(40), 디스플레이부(50), 퓨즈부(60), 제어부(70), 발진부(80) 및 리셋회로(90)로 구성된다.
전원부(10)는 플러그의 각 구성부가 동작하도록 하는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각 구성부의 동작에 적합한 직류 전원을 생산하여 공급한다. 또한, 직류전원과 별도로 플러그에 입력된 교류전원을 전열기구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20)는 사용자가 플러그의 제어 동작에 관한 신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메뉴에 따라서, 시간 설정, 온도 설정, 조리할 요리 설정 등을 하여 입력부(20)의 설정에 의해 제어부에서 제어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부(30)는 전열기구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에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센서로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이용한다. 전열기구의 플러그와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은 수단에 서미스터를 삽입하여 전열기구의 열판바닥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서미스터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도록 하는 반도체 소자로 열용량이 적어 작은 온도변화에 의해서도 저항값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부저항온도계수를 가지고 있는 특성이 있는 소자가 있고,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증가하는 정저항온도계수를 가지고 있는 특성이 있는 소자가 있다.
따라서, 센서부(30)는 서미스터의 저항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저항값에 따라제어부(70)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전열 제어부(40)는 플러그를 통하여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전열기구는 하부에 열판을 구비하고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열판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열 제어부(40)는 제어부(70)의 신호를 스위칭 신호로 하여 제어부(70)의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차단하여 열판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전열 제어부(40)에서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수단으로는 릴레이나 트라이악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는 사용자가 입력부(20)를 통하여 입력한 사항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조리과정에서 남은 시간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조리에 필요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50)에서 디스플레이소자로는 LED 또는 LCD를 사용할 수 있다.
퓨즈부(60)는 전열기구가 오작동으로 인하여 이상 과열되는 경우에 입력전원을 차단하여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과전류가 흐르거나 혹은 센서부(30)에서 측정된 온도가 허용치 이상을 넘게 되는 경우에 퓨즈가 끊어지면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제어부(70)는 조리대상에 따라 전열기구의 가열을 제어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어부(70)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조리대상에 따른 가열방법에 대한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조리대상에 따라 각기 다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적합한 조리방법에 따라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70)는 센서부(30)의 입력을 통하여 전열기구의 온도를 파악하며 입력부(20)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조리할 대상을 파악하여 어떤 프로그램을 적용할지를 결정한다. 또한, 센서부의(30) 입력을 통하여 파악된 전열기구의 온도에 따라 전열 제어부(40)에서 교류전원을 차단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발진부(80)는 제어부(70)의 작동에 필요한 클럭을 발진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수정발진자 등을 이용한다.
리셋회로(90)는 제어부(70)를 초기화시켜 최초동작상태로 만드는 수단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의 일실시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가 전열기구에 부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100)는 교류입력단(110)과 입력된 교류전원이 전열기구(200)로 전달되도록 하는 교류 출력단(120)이 있으며, 플러그를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50)가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에 있고 디스플레이부(50)에는 입력부(20)가 있다.
교류전압 출력단(120)의 사이에 일정한 돌출부(130)가 있어 돌출부(130)가 전열기구(200)와 결합하여 전열기구(200)의 하부에 있는 열판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돌출부(130)에는 서미스터와 플러그(100)의 센서부(30)가 연결되어 있어 돌출부(130)를 통하여 열판의 열을 통하여 저항값이 변하는 서미스터의 저항값을 센서부(30)에서 파악하여 플러그의 제어부(70)에서 교류전원의 입력을 제어할수 있도록 한다. 돌출부(130)은 열전도도가 뛰어난 물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100)는 플러그와 전열기구(200)의 결합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러그의 표면상에 결합 지지수단(140)을 구비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가 쉽게 되지 않도록 하여 조리하는 도중에 플러그(100)가 전열기구(200)와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조리하는데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또한, 전열기구(200)는 플러그(100)와 결합이 되도록 구성되는 전원 공급수단(210)을 구비하며 전원 공급수단(210)을 통하여 플러그(100)의 돌출부(130)가 전열기구(200)의 열판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열기구(200)의 열판은 플러그(100)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 공급수단(210)은 플러그(100)에 구성되어 있는 결합 지지수단 (140)과 대응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결합지지수단(140)과 결합수단의 결합에 의해 전열기구(200)와 플러그(1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컨트롤러가 부가된 플러그에 의하면, 전열기구의 컨트롤부가 플러그에 형성되어 전열기구를 제작하는 과정에 컨트롤부에 입력되는 배선 등을 할 필요가 없어 주물을 이용하지 않고 프레스 작업을 통하여 전열기구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물제작을 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부에 연결되는 배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출물을 다량으로 투입하게 되어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되어 조리하는데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또한, 하나의 플러그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전열기구에 교류 전원을 공급하여 전열기구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전열기구에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교류전원 출력단;
    상기 교류 전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온도를 측정 센서가 부착되며 상기 플러그에서 상기 전열기구의 가열판에 연결되도록 하는 온도측정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온도설정, 가열동작 등의 상기 전열기구의 가열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교류전원을 제어하여 가열하는 방식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교류 전원 출력단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전열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은 서미스터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에 입력신호와 전열기구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가 부착된 플러그.
KR2020020011707U 2002-04-18 2002-04-18 컨트롤러가 구비된 플러그 KR200281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707U KR200281009Y1 (ko) 2002-04-18 2002-04-18 컨트롤러가 구비된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707U KR200281009Y1 (ko) 2002-04-18 2002-04-18 컨트롤러가 구비된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009Y1 true KR200281009Y1 (ko) 2002-07-13

Family

ID=7312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707U KR200281009Y1 (ko) 2002-04-18 2002-04-18 컨트롤러가 구비된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0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581B1 (en) Waffle maker with cooking temperature control
EP046975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ting of a liquid
EP1213543B1 (en) Cooking Heater
ITMI20020053A1 (it) Dispositivo di comando di un elettrodomestico di semplice realizzazione
CA2352987A1 (en) Kitchen appliance with improved heating element control
US6425319B1 (en) Griller with presettable cooking temperature and timed alarm capability
US6489596B2 (en) Quantitative cooking device
KR200281009Y1 (ko) 컨트롤러가 구비된 플러그
JPH04341785A (ja) 加熱調理器
CN101978216B (zh) 炊具及其控制方法
KR200232219Y1 (ko) 기계식전기보온밥솥의가열제어장치_
JP2856422B2 (ja) 電気調理器
JP2007280941A (ja) 加熱調理器
KR100674571B1 (ko) 전자레인지의 안전장치
CN1888568B (zh) 微波炉的安全装置
KR101017171B1 (ko) 전기오븐 및 그 작동방법
US20220287499A1 (en) Multi-functional slow cooker with temperature control features
JPH02282625A (ja) 加熱調理器
KR100348442B1 (ko) 전기압력 보온밥솥
KR200357729Y1 (ko) 컨트롤러가 부착된 전원플러그
KR0146922B1 (ko) 전기다리미
KR20000010375U (ko) 기계식 전기 보온 밥솥의 가열 제어장치
KR100531308B1 (ko) 커피 메이커 겸용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19470U (ko) 전기 보온 밥솥의 보온 온도 제어 장치
JPH06284960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