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0222Y1 -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 - Google Patents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0222Y1
KR200280222Y1 KR2020020009411U KR20020009411U KR200280222Y1 KR 200280222 Y1 KR200280222 Y1 KR 200280222Y1 KR 2020020009411 U KR2020020009411 U KR 2020020009411U KR 20020009411 U KR20020009411 U KR 20020009411U KR 200280222 Y1 KR200280222 Y1 KR 200280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ntrol valve
separator
gas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9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인식
문국찬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
Priority to KR2020020009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02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0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0222Y1/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연료탱크(10)내에 장착되고 그 내부에 연료출입을 제어하는 플로우트(44)가 구비되며 상단부에 캐니스터(22)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46)가 형성된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밸브(40)내의 가스배출구(46) 하방에는 차량의 요동에 따라 연료가 출렁일 때 상기 가스배출구(46)를 통해 연료가 누유되는 방지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42)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연료탱크(10)의 콘트롤밸브(40)에 세퍼레이터(42)가 내장된 형식으로 기존의 외장형과 다르게 연료라인이 간단하여 조립공정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으며, 또한, 연료 라인의 중간에 설치되어 액상의 연료가 누유되는 것을 다시 연료탱크로 보내는 세퍼레이터(36) 및 일방향밸브(38)를 삭제하고 이 기능의 세퍼레이터(42)를 콘트롤밸브(40)내에 설치함으로써 연료의 누유차단 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연료복귀 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Control valve for on 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
본 고안은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ORVR SYSTEM)용 콘트롤밸브(CONTROL VALV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요동에 따라 연료가 출렁일 때 이 연료가 가스배출구를 통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증발가스 배출제어 시스템(ORVR SYSTEM : On-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은 연료 주유시 연료가 연료탱크의 지정면까지 주유되면 작동이 되어 캐니스터로 가는 통로를 차단하고 연료탱크압력을 순간적으로 상승시켜 주유가 차단되도록 하며, 또한, 차량이 기울어지거나 전복되었을 때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상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연료탱크(10)의 일측에 체크밸브(12a)를 갖는 주유관(12)이 설치되고 그 측부에 연료탱크(10)내의 증발가스압을 감지하기 위한 탱크압력센서(14)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 상면에 콘크롤밸브(16) 및 롤오버밸브(1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콘트롤밸브(16)는 연결관(20)을 통해 외측으로 분기되어 하나는 탱크압력센서(14)쪽으로 연결되고, 다른 관로를 통해서는 대형 캐니스터(22)로 연결되며 상기 탱크압력센서(14)측 관로에는 이방향밸브(2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대형 캐니스터(22)에는 유입된 증발가스를 여과하여 배출하기 위한 캐니스터클로즈밸브(26)와 필터(28)가 연결되어 있고, 일측으로는 퍼지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30)를 통해 인테이크 메니폴드(32)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탱크압력센서(14)와 캐니스터클로즈밸브(26) 및 퍼지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30)는 전자제어장치(34)와 연결되어 각각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밸브(16)의 측부에는 차량의 요동에 의해 연료가 출렁거리면서 이 콘트롤밸브(16)를 통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퍼레이터(36)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누유된 연료는 일방향밸브(38)를 통해 다시 연료탱크(10)내로 보내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기술은 콘트롤밸브(16)를 통해 연료가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 콘트롤밸브(16) 및 연료탱크(10)와 이탈되어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는 세퍼레이터(36)와 일방향밸브(38)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36)와 일방향밸브(38) 및 콘트롤밸브(16)가 각각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연료의 누유차단 성능이 떨어지는 동시에 연료탱크(10)로의 연료복귀 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콘트롤밸브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는 세퍼레이터와 일방향밸브를 삭제하고 콘트롤밸브 자체에 차량의 유동시 연료의 출렁임에 의해 누유될 우려있는 연료가 콘트롤밸브의 가스배출구까지 도달하기 전에 다시 연료탱크로 되돌려 보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비용절감 및 능률향상을 꾀할 수 있고, 연료의 누유차단 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연료복귀 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연료증발가스배출억지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연료증발가스배출억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콘트롤밸브 내부에 세퍼레이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탱크 12 : 주유관
12a : 체크밸브 14 : 탱크압력센서
16 : 콘트롤밸브 18 : 롤오버밸브
20 : 연결관 22 : 대형캐니스터
24 : 이방향밸브 26 : 캐니스터클로즈밸브
28 : 필터 30 : 퍼지콘트롤 솔레노이드밸브
32 : 인테이크 메니폴드 34 : 전자제어장치
36 : 세퍼레이터 38 : 일방향밸브
40 : 콘트롤밸브 42 : 세퍼레이터
44 : 플로우트 46 : 가스배출구
48 : 틈새 50 : 연료통로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는 연료탱크내에 장착되고 그 내부에 연료출입을 제어하는 플로우트가 구비되며 상단부에 캐니스터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밸브내의 가스배출구 하방에는 차량의 요동에 따라 연료가 출렁일 때 상기 가스배출구를 통해 연료가 누유되는 방지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가스배출구를 통해 연료탱크내의 연료가스는 배출되면서 액상연료의 배출은 차단될 수 있도록 그 테두리가 콘트롤밸브의 내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틈새를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는 콘트롤밸브(40)의 내부에 누유를 방지하는 세퍼레이터(42)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새퍼레이터(42)는 콘트롤밸브(40)의 플로우트(44)와 가스배출구(46)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판재 형상으로, 그 테두리는 연료탱크(10)로부터 발생되는 연료가스가 배출될 수 있도록 콘트롤밸브(40)의 공간부 내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틈새(48)를 형성시킨다.
미설명 부호 50은 롤오버밸브(18)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통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는 차량에 요동에 의해 연료탱크(10)내의 연료가 출렁일 때 일차적으로 플로우트(44)가 승강하면서 연료의 누유를 차단하고, 이 플로우트(44)에 의해 차단되지 못하고 콘트롤밸브(40) 상방으로 누출되는 액상연료는 새퍼레이터(42)에 의해 이차적으로 누유차단이 되면서 연료는 다시 연료탱크(10)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리고, 연료탱크(10)에서 발생되는 연료가스는 상기 새퍼레이터(42)와 콘트롤밸브(40) 사이의 틈새(48)를 통해 가스배출구(46)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는 연료탱크의 콘트롤밸브에 세퍼레이터가 내장된 형식으로 기존의 외장형과 다르게 연료라인이 간단하여 조립공정의 단순화 및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으며, 또한, 연료 라인의 중간에 설치되어 액상의 연료가 누유되는 것을 다시 연료탱크로 보내는 세퍼레이터 및 일방향밸브를 삭제하고 이 기능의 세퍼레이터를 콘트롤밸브내에 설치함으로써 연료의 누유차단 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연료복귀 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2)

  1. 연료탱크내에 장착되고 그 내부에 연료출입을 제어하는 플로우트가 구비되며 상단부에 캐니스터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밸브내의 가스배출구 하방에는 차량의 요동에 따라 연료가 출렁일 때 상기 가스배출구를 통해 연료가 누유되는 방지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는 가스배출구를 통해 연료탱크내의 연료가스는 배출되면서 액상연료의 배출은 차단될 수 있도록 그 테두리가 콘트롤밸브의 내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틈새를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
KR2020020009411U 2002-03-29 2002-03-29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 KR200280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11U KR200280222Y1 (ko) 2002-03-29 2002-03-29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9411U KR200280222Y1 (ko) 2002-03-29 2002-03-29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0222Y1 true KR200280222Y1 (ko) 2002-07-02

Family

ID=7307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11U KR200280222Y1 (ko) 2002-03-29 2002-03-29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02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75B1 (ko) * 2005-11-04 2007-11-27 주식회사 유니크 연료 증발가스 배출제어 시스템용 콘트롤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975B1 (ko) * 2005-11-04 2007-11-27 주식회사 유니크 연료 증발가스 배출제어 시스템용 콘트롤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2694B2 (ja) 燃料蒸気排出防止装置
KR20060046247A (ko) 급유시 증기회수시스템
US6964268B2 (en) Fuel tank having a venting system
KR20090106923A (ko) 차량용 연료증발가스 재순환 장치
US5803054A (en) Evaporative fuel-process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for vehicles
US5653211A (en) Canister
KR200280222Y1 (ko)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지 시스템용 콘트롤밸브
KR20120032759A (ko) 연료의 증발가스 제어 시스템
JP4163352B2 (ja) 燃料タンク
KR100245876B1 (ko)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JP2002021649A (ja) エバポシステムモジュール
KR200193478Y1 (ko) 차량용 연료펌프 플랜지
KR100436967B1 (ko) 통합밸브장치
CN216278224U (zh) 一种带多功能翻车阀的燃油泵总成
KR102161538B1 (ko) 퍼지 효율의 증가 및 연료가스 유출 감소를 위한 캐니스터 구조
KR100470778B1 (ko) 자동차용 연료 시스템
CN102102605B (zh) 摩托车燃油蒸发结构总成及其摩托车
KR100501438B1 (ko) 연료탱크의 누유 방지장치
KR100201493B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저감장치
JP3412597B2 (ja) 燃料タンクシステム
KR100392391B1 (ko) 연료증발가스 배출제어 시스템용 투웨이 앤드 컷 밸브
KR100205849B1 (ko) 자동차의 오알브이알 시스템
KR100251212B1 (ko)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설치 구조
KR100779975B1 (ko) 연료 증발가스 배출제어 시스템용 콘트롤 밸브
JP3397186B2 (ja) 燃料タン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