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100Y1 - 다목적 침대 - Google Patents

다목적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100Y1
KR200279100Y1 KR2020020008826U KR20020008826U KR200279100Y1 KR 200279100 Y1 KR200279100 Y1 KR 200279100Y1 KR 2020020008826 U KR2020020008826 U KR 2020020008826U KR 20020008826 U KR20020008826 U KR 20020008826U KR 200279100 Y1 KR200279100 Y1 KR 200279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stone
main body
mattress
stone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수산업
최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수산업, 최창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수산업
Priority to KR2020020008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1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100Y1/ko

Link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트리스 침대와 돌침대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다목적 침대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부에 통상의 쿠션 매트리스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온돌 효과를 낼수 있도록 설치되는 돌매트와, 상기 돌매트의 일측에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장식대로 구성되며, 상기 쿠션 매트리스와 돌매트는 일정 낙차가 발생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대.
이에따라, 한 종류의 침대만을 사용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허리 또는 척추등의 피로를 방지하고 잠자리와 온열 보료로도 쓸수 있으며, 부부 잠자리를 편하게 할 수 있는 다목적 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침대{a multipurpose bed}
본 고안은 매트리스 침대와 돌침대의 기능을 동시에 부여하는 다목적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조절이 가능한 돌매트를 침대에 설치하여 한가지 침대만을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허리의 피로를 풀어주는 동시에 편안한 잠자리를 제공하는 다목적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일정한 형틀의 상면에 탄성체의 스프링을 다수개 설치하고 섬유재로 감싼 매트리스를 설치하여 취침시 사용하는 것으로, 매트리스 본체의 재질로는 주로 취침시에 편안한 자세를 유지시켜 주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원형복구 기능도 겸한 라덱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매트리스 내부에는 쿠션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이 설치되는데, 이 스프링은 완충작용이 뛰어나나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킨 물체가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대로 되돌아가려는 탄성 작용이 완화되어 허리가 굽어진 상태를 계속 유지 시켜 신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스프링이 설치된 침대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디스크가 걸리거나가 척추가 휠 수도 있고, 침대 자체에는 온돌기능이 없으므로 오랜기간 온돌방에서 생활한 노인들에게는 부적합하고 특히, 산모가 푹신한 침대에 누워자면 관절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기존 매트리스 침대의 불편함 때문에 온돌 효과를 주는 돌침대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의 취침문화는 온돌 위에 직물 또는 섬유재로 된 요를 깔고 다시 직물 또는 섬유재로 된 이불을 덮어 온돌에서 발생하는 온기로 보온하고 따뜻한 온돌로는 찜질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등 온돌을 이용해서 취침하는 생활을 하였다. 상기와 같은 온돌의 잇점을 살려 종래에는 온돌을 침대 형식으로 만든 돌침대가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이 돌침대는 인체와 맞닿는 부분은 돌판으로 구성되고 내측으로 돌판에 열을 주는 히팅장치가 설치되어 한옥의 온돌방과 같은 온돌 효과와 함께 찜질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돌침대도, 침대만을 써 오던 신세대에게는 낯설어서 사용하기를 꺼리거나, 다양한 변화를 요구하는 신세대들에게 일반 매트리스 침대나 돌침대 중 한가지만을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지루함과 싫증감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장시간 딱딱한 돌판에서 취침할 경우 딱딱한 돌판으로 인해, 노약자의 경우 허리등에 무리가 오거나, 쿠션감이 없으므로 특히 신혼 부부의 잠자리 생활에서 불편한 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매트리스 침대나 돌침대 중 한 가지 침대만을 사용하는데서 오는 불편함을 없애고, 온돌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침대 생활을 가능하도록 하여 매트리스 침대만을 사용하거나 돌침대만을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단점을 상호 보완 할 수 있고, 특히 신혼 부부간의 잠자리를 편하게 할 수 있는 다목적 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2은 본 고안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3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6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7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쿠션 매트리스 20...본체
22...레일 30...돌매트
32...수납공간 33...바퀴
40...수납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에 통상의 쿠션 매트리스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온돌 효과를 낼수 있도록 설치되는 돌매트와, 상기 돌매트의 일측에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장식대로 구성되며, 상기 쿠션 매트리스와 돌매트는 일정 낙차가 발생토록 하여 쿠션 매트리스 침대와 돌침대의 기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다목적 침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돌매트는, 쿠션 매트리스 일측에 낮게 설치되어 온열 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돌매트는, 쿠션 매트리스 양측에 낮은 높이로 설치되어 온열 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돌매트는, 쿠션 매트리스 일측에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 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본체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매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본체는, 상기 돌매트의 저부에 형성된 레일이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토록 상기 레일과 맞닿아 대응되는 홈레일이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본체에는, 저부에 장착된 바퀴에 의해 이동가능한 상기 돌매트가 내측으로 수납가능토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쿠션 매트리스(10)와 상기 쿠션 매트리스(10)를 지지하는 본체(20), 그리고 상기 본체(20)에 결합 연결되는 돌매트(30) 및 상기 돌매트(30)에 장착되는 장식대(31)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쿠션 매트리스(10)는, 박테리아나 집먼지, 진드기 같은 세균, 해충이 기생할 수 없으며, 먼지 발생이 적어 알레르기를 방지할 수 있는 라덱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측으로 쿠션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위치토록 설치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는, 상부에 통상의 쿠션 매트리스(1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20)의 일측으로 온돌 효과를 낼수 있도록 돌매트(30)가 쿠션 매트리스(10) 일측에 낮게 설치되어 온열 보료로 사용 가능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매트(30)는, 상기 본체(20)의 측면 양측에서 결합 연결되어 보다 넓은 공간을 갖고 온열 보료로도 사용 가능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매트(30)는, 쿠션 매트리스(10)의 일측에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 쿠션 매트리스(10)를 사용하다 필요시에 돌매트(30)를 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른 실시예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와 상기 돌매트(30)에는,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40)이 내측으로 입,출입이 가능토록 상기 수납함(40)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상기 본체(20)와 돌매트(30)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돌매트(30)는, 보온 가능토록 내측으로 히팅 장치가 장착되고, 일측으로 상기 본체(20)와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연결되어도 좋다.
더하여, 상기 돌매트(30)은, 조명등이나 기타 물건을 장치하거나 장식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평면 일측으로 장식대(3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는, 상부로 상기 쿠션 매트리스(10)를 구비하고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매트(3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다른 실시예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돌매트(30)가 본체(2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며 왕복 이동 가능토록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홈레일(21)이 설치되고, 상기 돌매트(30)의 저부에는, 상기 홈레일(2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본체(2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토록, 상기 홈레일(21)과 대응되어 맞물리면서 이동 가능한 레일(22)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에는, 돌매트(30)가 상기 본체(20)의 내측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소정 공간의 수납공간(32)이 형성되고, 상기 돌매트(30)에는, 상기 본체(20)의 내측으로 일,출입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한 줄일 수 있는 다수의 바퀴(33)가 저부에 부착된다.
더하여, 상기 본체(20)에 결합되는 돌매트(30)의 상면에는, 신체의 일부를 지압토록 지압돌기(35)가 형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지압돌기(35)는, 상기 돌매트(30)와 동일 성분으로 이루어져 일체로 형성되어 인체와 맞닿아 지압 가능토록 다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압돌기(35)는 취침시 인체의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 하도록 옥돌, 맥반석, 자수정, 세라믹, 황토, 전기석 등의 광물질에 대해서도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여 상기 돌매트(30)의 상면 소정 위치에 다수개가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특히 임산부에 있어서, 출산 후에는 모든 관절이 이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아기를 낳고 나서 산모가 푹신한 침대에 누워 지내면 자칫 관절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평소에는 매트리스 침대에서 생활을 하더라도 임신후에는 푹신한 침대보다는 온돌효과를 낼 수 있는 딱딱한 돌매트(30)를 사용 함으로서 척추를 비롯한 다른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을 막고, 산모의 골격을 바로 잡아 건강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임산부는 출산 후에는 빈혈이 생기기 쉬우므로 상체를 약간 세운 자세로 누우면 어지럼증과 두통을 줄일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돌매트(30)와 쿠션 매트리스(10)가 낙차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매트(30)에 누워 베개를 높이고 양쪽 무릎을 세운 상태로 반듯하게 눕고 다리는 쿠션 매트리스(10)위로 올려 누우면 오로 배출과 자궁 수축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고, 출산 후 골반이 벌어지는 것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특히 노약자나 임산부의 건강에 탁월한 도움을 주며, 통상의 침대나 돌침대 중 한 가지 침대만을 사용하는데서 발생되는 허리나 척추의무리를 줄여주고, 필요시에 따라 매트리스 침대와 돌침대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편안한 수면 생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은 다목적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침대에 돌매트를 구비하여 한가지 침대를 장시간 사용하는 데서 오는 척추나 허리의 피로를 방지하여 수면시 불편함을 없애고, 잠자리와 온열 보료로도 쓸수 있으며, 특히, 산모의 경우 척추를 비롯한 다른 관절에 무리가 가는 것을 막고, 산모의 골격을 바로 잡는 등 매트리스 침대와 돌침대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침대 생활을 가능토록 하여 부부간의 잠자리를 편하게 가질수 있는 다목적 침대를 제공한다.

Claims (7)

  1. 상부에 통상의 쿠션 매트리스(10)가 구비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일측으로 형성되어 온돌 효과를 낼수 있도록 설치되는 돌매트(30)와, 상기 돌매트(30)의 일측에 착탈 가능토록 설치되는 장식대(31)로 구성되며, 상기 쿠션 매트리스(10)와 돌매트(30)는 일정 낙차가 발생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매트(30)는, 쿠션 매트리스(10) 일측에 낮게 설치되어 온열 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매트(30)는, 쿠션 매트리스(10) 양측에 낮은 높이로 설치되어 온열 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매트(30)는, 쿠션 매트리스(10) 일측에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 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을 하는 다목적 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매트(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상기 돌매트(30)의 저부에 형성된 레일(22)이 슬라이딩 왕복 이동 가능토록 상기 레일(22)과 맞닿아 대응되는 홈레일(21)이 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에는, 저부에 장착된 바퀴(33)에 의해 이동가능한 상기 돌매트(30)가 내측으로 수납가능토록 수납공간(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침대.
KR2020020008826U 2002-03-25 2002-03-25 다목적 침대 KR200279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826U KR200279100Y1 (ko) 2002-03-25 2002-03-25 다목적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826U KR200279100Y1 (ko) 2002-03-25 2002-03-25 다목적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100Y1 true KR200279100Y1 (ko) 2002-06-22

Family

ID=7311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826U KR200279100Y1 (ko) 2002-03-25 2002-03-25 다목적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1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30931A1 (en) 2003-11-11 2005-05-18 Jang Soo Industrial Co.Ltd. Multipurpose stone bed with cushion sheet
KR100710476B1 (ko) * 2006-05-03 2007-04-23 이경환 더블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30931A1 (en) 2003-11-11 2005-05-18 Jang Soo Industrial Co.Ltd. Multipurpose stone bed with cushion sheet
KR100710476B1 (ko) * 2006-05-03 2007-04-23 이경환 더블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4183B1 (en) S-shaped pillow for flexible body support
US20140082843A1 (en) Sleeping System with Interchangeable Panels
US20130145555A1 (en) Mattress
JP2016506797A (ja) マットレス構造、及びマットレス構造の技術的特徴を利用してユーザがその使用に適しているか否かについての理解及び決定を促す方法
KR200279100Y1 (ko) 다목적 침대
KR200247324Y1 (ko) 침대 매트리스
CN207639995U (zh) 一种具有医疗保健功能的床垫
CN213155069U (zh) 一种婴儿床垫
KR200397421Y1 (ko) 접이식 온열 이동침대
US2095459A (en) End mattress
CN205457533U (zh) 一种多层调节式床垫
US20210307520A1 (en) Adaptable Mattress for Prone and Side Positions
JP2006015129A (ja) 看護用マット
JP3171680U (ja)
KR200433808Y1 (ko) 경사진 침대
CN212650619U (zh) 一种用于母乳喂养的多功能哺乳座具
KR200262216Y1 (ko) 원적외선 방출부재를 갖는 매트리스의 외피
JP3234680U (ja)
KR102153753B1 (ko) 2중 매트리스 기능을 가진 침대 프레임
CN216293581U (zh) 一种保健床垫
CN213721193U (zh) 一种新生儿舒适型水枕
CN209713466U (zh) 具有防滑舒适枕的医疗床
KR200306011Y1 (ko) 다목적 침대
KR200258436Y1 (ko) 목침 겸용 베개
TWM506533U (zh) 嬰兒床墊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